top of page

Newsletter/Webzine

이미지 제공: Martin Adams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한국 예술계.jpg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현대 한국 예술계의 변화와 발전

연구책임자

한준

주관연구기관

연세대학교

​발행년월

2024.12.24.

저서명

한국 예술계: 기원, 발전, 쟁점

저자

한준

출판사

역사공간

초록

  한국의 근대 예술계는 일제강점기에 문학, 음악, 미술 분야에서 형성되었지만 불완전하고 식민지적 예술계였다. 해방 이후 이들 분야의 예술계는 다시 재형성되었으며, 일제시대에 미처 형성되지 못한 연극, 영화, 무용의 예술계도 형성되었다. 해방 이후 한국 예술계는 권위주의적 정치권력과의 관계, 민족주의와의 관계 속에서 복잡한 경로를 거쳐 발전했다. 정치권력은 예술에 대해 한편에서는 간섭과 제약을 다른 한편에서는 동원과 지원의 관계를 맺으며 문화자본을 정치자본이 우월한 관계에서 결정했다.

  민족적 측면에서 해방 이후 한국 예술계는 민족문화 형성을 지향했지만 외래와 전통문화의 대립 과정에서 혼종적 문화가 발전하면서 민족문화는 전통과 외래, 혼종이 결합되어 형성되었다. 민족문화는 정치권력의 변화에 따라 수구적 민족주의와 저항적 민족주의를 번갈아 가며 복잡한 경로로 발전했다. 문화적 위계 측면에서 대중적 예술과 전통적 예술은 외래 고급 예술의 주도 속에서 점점 자신들의 지위를 상향이동하며 문화적 위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KSPS

온라인뉴스레터Newsletter

Naself CEO Hye-Young Kim | Business number: 162-87-00920

Tel. 02 900 8653 ~ 5 | Fax. 02 6455-8654 | Mail: master@myonkorea.com


Location: 48th floor, 48, 191, Dongil-ro, Nowon-gu, Seoul

Location: (Governor) 12th Floor, Prime Business Center (Gongdeok Building), Mapo-gu, Seoul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Dong-sub Song 02-900-8655

  • Facebook
  • YouTube

SSL / TLS authentication sit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