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진흥사업단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의 지원을 통해
한국학술총서를 집필하신 강원택 연구책임자님의 인터뷰 입니다.

강원택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연구책임자
●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20세기한국학술총서
● 과제명
제 5 공화국 연구
●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대한민국)
● 연구기간
2021-06-01 ~ 2023-05-31 (24개월)
Q. 한국학진흥사업단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을 위해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에서 한국정치, 정당, 선거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한국정치를 비교정치적 관점에서 학문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 한국의 고유하고 독특한 특성이나 역사가 아니라, 다른 민주주의 국가와 비교가능한 방식으로 한국 정치를 바라보고 분석해야, 우리 정치의 제도적 특성이나 작동 방식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오늘날의 한국 정치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 정치가 걸어온 역사적 과정이나 과거 시대의 정치적 맥락을 살펴봐야 한다고 생각하고, 그런 관점에서 현대한국정치사를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국 정치의 양극화와 갈등을 어떻게 해소하고 한국 민주주의가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에 대해 학문적 관심을 갖고 살펴보고 있습니다.

Q. 선생님께서는 제5공화국 시기를 연구 주제로 삼으셨습니다. 이 시기는 민주화 운동이나 시민 저항에 집중된 연구가 많았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왜 이 시기를 연구를 통해 체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사실 제5공화국 시기는 연구자들이 방기(放棄)했다고 할까요. 그동안 많이 다뤄지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된 데에는 전두환 정권에 대한 강한 거부감, 그리고 전두환을 통치자로 인정하기 싫은 불편함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전두환 정권은 ‘태어나서는 안 됐던 잉여 정권’으로 부르는 연구자도 있었습니다. 마찬가지 이유로 이 시기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전두환 정권에 대한 저항, 민주화 운동을 다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전두환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 이후 1988년 2월 24일 87년 체제 첫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날까지 나라를 통치했던 통치자였습니다. 그 시간은 무려 8년 4개월이나 됩니다. 이 시기에 우리 사회는 제5공화국이라는 통치 체제하에서, 억압적이었지만, 많은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었고, 그러한 변화 중 적지 않은 것들이 그 이후 우리의 삶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이 시기에 일어난 일에 대해, 저항 수준을 넘어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살펴봐야 한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Q. 2021년부터 2년간 한국학진흥사업단의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20세기 한국학술총서 분야> 연구를 수행하셨고, 그 결과물로 『제5공화국』을 출간하셨습니다. 이 책의 주요 내용을 독자들께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 책 저술 과정에서 제가 가졌던 핵심 질문은 “왜 1979년 박정희 사망 이후에는 민주화가 되지 않았는데, 제5공화국 시기를 거친 후 민주화를 이뤘을까”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애매했던 제5공화국의 정치사적 의미를 찾는 질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1979년 10.26 사건 이후 민주화가 될 수 있었는데 전두환 때문에 안 됐다고 하는 주장은, 당시 상황을 너무 단순화한 것이고, 또 전두환의 영향력을 과대평가한 것입니다. ‘서울의 봄’이 무너진 책임을 전두환이라는 한 명의 ‘악당’에게 전가하는 것은, 당시 정치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맡거나 영향력을 가졌던 이들에게는 아무런 책임이 없다는 말이 됩니다. 또한 당시 국민은 어떤 입장이었는지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이 전두환 정권에게 면죄부를 주는 건 결코 아니지만, 당시 우리 사회는 민주화로 나아갈 충분한 조건이 마련되지 못했다고 봅니다.
이 책에서는 제5공화국 시기를 거치면서 우리 국민이 민주화에 대한 염원을 갖게 되었다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광주민주화운동과 신한민주당의 돌풍을 몰고 온 1985년 12대 국회의원 선거를 제시합니다. 광주민주화운동은 군의 오랜 정치적 지배에 대한 거부와 단절로 이끌었고, 선명 야당의 부상과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라는 어젠더는 정치적 변화를 향한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이 두 사건과 제5공화국 시기에 발생한 사회경제적 변화가 함께 맞물려 우리 사회가 민주화로 나아가게 되었다고 주장합니다.
Q. 책『제5공화국』에서는 제5공화국이 남긴 정치적·사회적 흔적과, 민주화로 향하는 전환점을 중심으로 다양한 주제를 다루셨습니다. 이 가운데 특히 주목해야 할 쟁점이나 연구 과정에서 새롭게 드러난 부분이 있다면 들려주실 수 있을까요?
첫 째는, 최규하 대통령의 역할에 대한 것입니다. 최 대통령은 전두환 정권에 의해 강제로 쫓겨난 탓에 피해자로서의 이미지가 강했는데, 이 연구에서는 최 대통령이 정치적 욕심을 갖고 있었고 5.17 계엄 확대 당시에도 자발적으로 협력했다는 점입니다. 위태로운 시기에 중요한 직책을 맡고 있던 최 대통령 역시 ‘서울의 봄’이 무너지는 데 일조를 했습니다.
두 번째, 6월 항쟁의 성공 요인 중에 전두환이 미국의 압력으로 군의 출동을 자제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그보다 중요한 요인은 우리 군 내부의 군 동원에 대한 강한 거부감이 있었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병력을 관장하는 고위 장교층에서 군의 동원에 부정적이었고 전두환은 군을 출동시키면 그것이 자신을 향할 수도 있다는 분위기를 느끼고 군 출동을 포기했습니다.
세 번째, 1985년 12대 국회의원 선거, 즉 2.12 총선 결과에 대한 사회경제적 분석입니다. 도시화, 고등교육, 중산층 성장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민주화는 ‘운동에 의한 민주화’라기보다 민주화 세력을 하나로 모으는 어젠더를 던지고 이끌어 간 야당 지도자들과 6월 항쟁 중 적극 참여하게 된 중산층의 역할이 더욱 중요했다는 점입니다.

Q. 제5공화국과 관련된 자료 확보나 해석의 어려움이 적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연구 과정 중에 직면하셨던 주요 어려움은 무엇이었고, 이를 어떻게 풀어나가셨는지 궁금합니다.
처음에는 생존해 있는 당시 주요 인물들과의 인터뷰를 계획했습니다. 기존 연구 성과가 많지 않고 남겨진 당시의 핵심 자료도 많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인터뷰 대상자 중 세상을 떠났거나 노령으로 인터뷰가 어려운 분들이 많고, 그나마 인터뷰를 한 분들도 당시 상황을 곡해하거나 사후적으로 정당화하는 경향이 있어 어려움이 컸습니다. 대신 그 시대를 사셨던 분들이 남긴 회고록이나 자서전을 찾아서 당시 상황을, 서로 대조하면서, 모자이크처럼 조립해 가는 방식으로 풀어 나갔습니다. 동아일보를 비롯한 당시 언론 기사 역시 당시 상황과 맥락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Q. 이번 연구가 제5공화국에 대한 이해를 넘어 한국 정치사 전반을 바라보는 데 어떤 기여를 하길 바라시는지요? 또 앞으로 이어가고자 하시는 후속 연구 과제나 관심 분야가 있으시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제가 현대한국정치사에 대한 대학원 수업을 할 때 제5공화국 시기의 학문적 공백을 처음 느꼈습니다. 수업 시간에 마땅히 읽힐 자료가 없었습니다. 그런 점에서 소홀하게 다뤄졌던 우리 역사의 한 시기를 본격적으로 다뤄봤다는 데서 의미를 찾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 시대에 대한 후속 연구들을 통해 한국 민주화에 대한 보다 폭넓은 학문적 논의가 생겨나기를 기대합니다.
현재는 제헌국회의 활동을 새로운 관점에서 분석하고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 말까지는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하지만 마감일은 언제나 불투명합니다^^) 그 이후에는 1945년 이후의 한국정치사를 인물이나 정권 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에서 정리하고 싶은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Q. 질문에 답변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과 국내외 한국학 연구자들, 한국학과 학생들, 그리고 한국학진흥사업단에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우선 한국학진흥사업단에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오래전부터 제5공화국을 한번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싶다는 생각만 갖고 있었는데, 사업단의 지원으로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또 완수할 수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무척 하고 싶었던 연구를 할 수 있게 지원해 주신 데 대해 감사드립니다.
한국학이 한국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이지만 한국적 특수성이나 독특함만을 강조하는 것으로는 폭넓은 이해와 공감을 얻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커진 만큼 이런 점은 더욱 중요합니다. 한국의 주제를 담으면서도 비교가능하고 보편성 있는 해석과 설명을 찾아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Meeting with Korean Studies Scholars
KANG Won-taek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Q.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Hello. I teach about Korean politics, political parties, and elections in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m interested in academically analyzing and evaluating Korean politics from a comparative politics perspective. I believe that we can properly assess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al mechanisms of Korean politics only by viewing and analyzing it in a way that is comparable with other democratic countries, rather than focusing on Korea’s unique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r history.
I also believe that to properly understand today’s Korean politics, we must examine the historical processes Korean politics has undergone and the political contexts of past eras. It’s from this perspective that I research and teach modern Korean political history.
Recently, I’ve been examining with academic interest how to resolve polarization and conflicts in Korean politics and how Korean democracy can escape from crisis.
Q. You’ve choses the Fifth Republic period as the subject of your research. I understand much research on this period has focused on democratization movements or civic resistance, so I’m curious why you thought this period needed to be systematically examined through research?
In fact, researchers have abandoned the Fifth Republic period, so to speak. It hadn’t been covered much until now. This happened because of a strong rejection toward the Chun Doo-hwan regime, as well as the discomfort of not wanting to recognize him as a ruler. Some researchers have even called the Chun Doo-hwan regime a “surplus regime that should never have been born.” For these reasons, most research on this period deals with democratization movements and resistance against the regime.
However, realistically, Chun Doo-hwan was the ruler who governed the country from after President Park Chung-hee’s death on October 26, 1979, until the day before the first president of the 1987 system took office on February 24, 1988—a period that lasted as long as eight years and four months. During this time, Korean society underwent many oppressive but inevitable changes under the governance system known as the “Fifth Republic,” many of which continue to have lasting effects on the lives of the Korean people. It was in this regard that I thought we should examine what happened during this period from a broader perspective that goes beyond the level of “resistance.”
Q. From 2021 to 2023, you conducted a 20th-Century Korean Academic Series project as part of the Grand Series of Korean Studies Program, publishing the book Je 5 Gonghwaguk (The Fifth Republic). Please introduce the main content of this book to our readers.
The core question I had while writing this book was “Why didn’t democratization occur after Park Chung-hee’s death in 1979, but was achieved after going through the Fifth Republic period?” I thought this question would help find the political-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Fifth Republic and this ambiguity. The argument that democratization could have happened after the incident on October 26, 1979, but didn’t because of Chun Doo-hwan oversimplifies the situation at the time and overestimates Chun Doo-hwan’s influence. Placing responsibility for the collapse of the “Seoul Spring” on a single “villain,” Chun Doo-hwan, means that those who played politically important roles or had influence at the time bore no responsibility. We also need to examine the positions taken by the citizens at the time. While this perspective by no means gives the Chun Doo-hwan regime absolution, I believe that Korean society at the time had not established sufficient conditions to move toward democratization.
This book argues that through he experience of the Fifth Republic period, Korean citizens gained aspirations for democratization. It presents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and the 1985 Twelf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which brought the whirlwind of the New Korea Democratic Party, as events that had important influence in this process.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led to the rejection of and severance from the military’s long political domination, while the rise of a clear opposition party and the agenda of a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direct presidential elections” presented goals toward political change. I argue that these two events, combined with the socioeconomic changes that occurred during the Fifth Republic period, led Korean society toward democratization.
Q. In the book, you covered various topics centered on the social and political traces left by the fifth Republic and the turning points towards democratization. Among them, are there any particular issues that deserve attention or newly revealed aspects from your research process that you could share?
The first is regarding the role of President Choi Kyu-hah. President Choi had been seen primarily as a victim because he was forcibly ousted by the Chun Doo-hwan regime, but this research revealed that he had political ambitions and voluntarily cooperated even during the May 17 expansion of martial law. As someone who held an important position during a precarious time, President Choi also contributed to the collapse of the “Seoul Spring.”
Second, among the success factors of the June Uprising, it was known that Chun Doo-hwan restrained military deployment due to U.S. pressure. But a more important factor was the strong resistance to military mobilization within the Korean military. In reality, high-ranking officers in charge of troops held negative opinions about military mobilization, and Chun Doo-hwan sense that if he deployed the military, it could turn against him, so he abandoned its deployment.
The third regards the socioeconomic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Twelf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1985, namely the February 12 general election. Urbanization, higher education, and the growth of the middle class influenced the election results. In relation to this, Korean democratization was not so much “democracy by movement.” Rather, what was more important was the role of opposition leaders, who presented and led agendas that unities democratic forces, and the middle clas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June Uprising.
Q. I imagine there were significant difficulties in obtaining or interpreting materials related to the Fifth Republic. What were the main difficulties you fac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and how did you overcome them?
Initially, I planned to conduct interviews with key figures from that time who were still alive, as there weren’t many existing research findings or key remaining materials from the time. However, many of the interview subjects either passed away in the interim or were difficult to interview due to old age, and even those whom I was able to interview tended to distort the situation at the time or justify it post hoc, which created significant difficulties. Instead, I resolved this by finding memoirs or autobiographies left by people who lived through the era and assembling the situation of the time like a mosaic, cross-referencing them with each other. Newspaper articles from that time, including those from the Dong-A Ilbo, also were a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period.
Q. How do you hope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o Korean political history in general, beyond just the Fifth Republic? Also, please share any follow-up research projects or areas of interest you’d like to persue.
I first felt the academic void regarding the Fifth Republic period while teaching graduate courses on modern Korean political history. There were no appropriate materials to assign for class reading. In that regard, I’d like to find meaning in having thoroughly addressed a period of Korean history that had been neglected. And I hope that through follow-up research on this era, broader academic discussions about Korean democratization will emerge.
Currently, I’m conducting research that analyzes and evaluates the activities of the Constitutional Assembly from a new perspective. My goal is to complete it by the end of this year. (Though deadlines are always unclear.^^) After that, I’m thinking of organizing the history of Korean politics since 1945 from a new perspective that moves away from figure-centered or regime-centered viewpoints.
Q. Thank you for answering our questions. In conclusion, please share a word with the newsletter’s readers, Korean Studies researchers and students both in Korea and abroad, and the KSPS.
First,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KSPS. I had long thought of conducting a thorough study of the Fifth Republic, but with KSPS’s support, I was able to finally start and complete this project. I’m grateful for the support that allowed me to conduct research I personally very much wanted to do.
While Korean Studies involves research on the subject of Korea, I believe it is difficult to gain broad understanding or empathy by emphasizing only Korean particularizes or uniqueness. This point becomes even more important as global interest in Korea has grown. I think we need to make efforts to find interpretations and explanations that are comparable and universal while still covering Korean top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