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진흥사업단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의 지원을 통해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를 설립 및 운영하고 계신 문만용 연구책임자님의 인터뷰 입니다.

문만용
K학술확산연구소사업 연구책임자
● 사업명
K학술확산연구소사업 / 역사와 민속
● 과제명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 연구수행기관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대한민국)
● 연구기간
2021-07-01~2026-06-30 (60개월)
Q. 한국학진흥사업단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을 위해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에서 생물교육을 전공한 후 대학원에서 한국 과학사를 공부했습니다. 일제강점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과학기술의 역사를 살피고 있으며, 과학기술 정책사나 과학기술 연구기관 역사 등을 중심으로 한국 과학기술의 압축적 성장 과정을 규명하는 한편 한국 과학 활동의 독특성이 잘 드러나는 생물학, 농학 등의 분야에도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전북대 쌀·삶·문명연구원에서 HK 교수를 지냈으며, 현재는 같은 대학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교수로서 K-학술확산연구센터를 이끌고 있습니다. 3년간 「한국과학사학회지」 편집장을 지내면서 한국 과학사의 외연을 넓히는 한편 동아시아 차원의 비교 연구 비중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국제동아시아환경사학회 부회장을 지내면서 한국 과학사 연구가 생태·환경사로 뻗어나가야 하며, 일국사적 관점을 넘어서 트랜스내셔널이라는 접근법을 택할 수 있도록 힘을 보탰습니다. 「한국의 현대적 연구체제의 형성」, 「한국 근대과학 형성과정 자료」, 「한국 과학기술 연구체제의 진화」등을 집필했고, The Compresse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under Authoritarian Regimes in South Korea라는 제목으로 한국 현대 과학기술사를 다룬 단행본 출판을 앞두고 있습니다.


Q.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K학술확산연구센터'에서 지금까지 가장 의미 있다고 생각하시는 성과는 무엇인가요?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라는 제목으로 전근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사의 흐름에 과학기술이 중요한 변수였음을 보여주는 강좌를 제공해 국내외에 알리는 것 자체가 한국사, 더 나아가 한국학의 외연을 넓히는 데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간 한국의 전통 과학사는 중국 과학사의 아류라는 인식이 없지 않았는데, 이 강좌를 통해 우리의 독자적인 과학사를 특히 해외의 학생과 연구자들에게 새롭게 인식시키고 있다는 점을 가장 의미 있는 일로 꼽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 현대는 압축적 성장이라고 표현되는, 매우 빠른 시간에 놀라운 과학기술의 성장을 이룩했는데, 많은 개발도상국이 그 비결을 알고 싶어 합니다. 우리가 만드는 강좌에서 그 메커니즘을 제시함으로써 해외의 궁금증을 풀어줄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그 과정은 단순히 성공의 역사만은 아니고, 현재 한국 사회가 겪고 있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여러 문제도 함께 담겨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을 모델로 삼는 여러 나라들이 우리와 같은 어려움을 겪지 않게 하겠다는 의지도 내보이고자 합니다.
●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 연구소 홈페이지
https://sck.jbnu.ac.kr/sck/index.do

Q. ‘한국의 과학기술사’라는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계신가요? 연구소에서는 이를 어떤 범위와 관점에서 접근하고 계신지도 궁금합니다.
보통 과학은 보편타당한 지식이라고 여겨집니다. 실제 세계 모든 곳의 과학 시간에 배우는 내용은 거의 같습니다. 하지만 지금 전 세계가 익히고 활용하고 있는 근대과학이 형성되기 전까지 각 문명 혹은 나라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자연을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과학을, 자연을 이해하려는 지식체계라는 가장 일반적인 정의로 본다면 전근대 많은 지역이 각자의 과학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지요.
한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물론 모든 과학을 우리가 자체로 만든 것은 아니고, 주변 국가나 문명과의 교류 속에서 비슷하면서도 조금씩 다른 지식을 만들어 냈습니다. 따라서 우리 조상들은 어떠한 방식으로 자연을 이해했고, 이는 주변 국가들과 비교해서 어떤 점에서 유사하고 다른지를 파악한다면 한국의 독특한 역사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근대과학의 경우에도 과학 법칙이나 이론은 동일하지만, 나라마다 어떤 분야에 더 중점을 두고, 어떠한 방식으로 성장을 시키는가는 상당한 차이가 납니다. 이를 나라마다 과학의 스타일이 다르다고 얘기하지요. 이런 경향이 현대에도 완전히 없어진 것은 아닙니다. 결국 우리는 전근대 사회와 현대 사회의 한국 과학기술에서 주변 지역이나 국가와는 비교되는 한국만의 방식이 무엇이었고, 그것이 어떤 배경에서 만들어졌는지를 밝힘으로써 한국의 과학기술사를 만들어보고자 합니다.

Q. 연구소가 다루고 있는 ‘과학과 기술을 통해 본 한국사’라는 접근은 기존 한국사 교육이나 담론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보시나요?
한국사는 보통 시대에 따라 나누며 시대마다 특유한 정치·사회·문화적 특징이 있습니다. 주제별로 본다면 정치사, 사회사, 경제사, 사상사, 문화사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과학사는 주제별로 나누는 분야사의 하나라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루는 소재가 과학과 기술이라는 점은 다르지만 기존 한국사와 완전히 다르지는 않습니다. 사회와 국가로부터 동떨어진 과학과 기술은 없기 때문입니다. 그보다 기존 한국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부분들을 본격적으로 다룬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사에는 과학이나 기술의 내적인 발전을 추적하는 연구도 있지만, 우리는 과학기술의 변화 자체에 주목하기보다는 한국 사회에서 과학기술이 어떤 역할을 했고, 그러한 관계가 어떠한 배경에서 달라졌는지를 더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과학과 기술을 통해 본 한국사’는 정치·경제나 사상 중심의 한국사를 더욱 풍성하게 해줄 것입니다.

Q. K학술확산연구센터로서 전북대 연구소만의 강점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나요? 다른 연구팀과 비교했을 때 차별화된 지점이 있다면 어떤 부분인가요?
우리 K학술확산연구센터는 전북대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에 속해 있습니다.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는 한국에서 사실상 유일한 한국 과학사 전문 연구기관이며, 소장 외에 3명의 전임교수, 7명의 연구교수가 한국 과학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10여 년의 연구 끝에 2023년 총 30권에 달하는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완성했습니다. 국내 최고의 연구자를 섭외해 지속적인 세미나를 통해 연구의 내용을 조율하고, 연구소가 일정을 관리하면서 한 권의 차질도 없이 계획대로 완수해 낸 것입니다. 이는 국내는 물론, 세계 과학사학계에서도 매우 드문 성과입니다. 우리 센터가 제작하는 강좌의 상당수는 이 총서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이미 국내 학계에서 충분히 검증된 콘텐츠를 토대로 강의를 제작한다는 점이 다른 연구팀과 비교했을 때 우리가 갖는 강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일부 강좌는 새롭게 기획되었지만, 이미 총서를 기획하고 관리했던 경험이 있으므로 더 체계적으로 업무를 수행함은 물론, 오류 없는 강의 제작을 진행할 수 있다고 자부합니다.

Q. 제작하신 한국학 온라인 강좌가 단순한 콘텐츠 제공을 넘어서 교육적 전환을 이끌 수 있다고 보시나요? 수업 구성에서 특별히 고민하신 점이 있다면요?
모두 느끼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전 세계에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매우 큽니다. 당연히 한국학에 대한 수요도 큽니다. 현재 해외에서 주로 관심을 보이는 분야는 문화예술이나 음식 등 당장에 눈에 보이는 것들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한국에 대한 관심이 조금 더 심화되어 한국 사회 자체에 대한 본격적인 추구와 이해로 이어졌으면 좋겠습니다. K학술확산연구센터에서 제작하는 한국학 온라인 강좌가 그러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조금 더 효과적인 교육적 전환으로 끌어내기 위해서는 온라인 강좌 외에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방식이 더 늘어나야 한다고 봅니다. 온라인 강좌를 본 학생들이 한국을 직접 찾아 현장을 확인하고 실제 한국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겠지요.
과학기술은 문화이기도 하지만 문명의 기초를 이루기도 합니다. 과학기술 내용 자체가 그리 쉽지 않고, 시간이 흐를수록 어려워지고 복잡해지는 게 사실입니다. 한편으로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과거의 과학 개념은 설명하기도 이해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일방향 강의로는 적지 않은 한계를 느끼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려운 개념들을 효과적으로 해외에 발신하기 위해서는 많은 고민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쉽게 설명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시청각 자료들을 사용해야 하며, 답사나 현장 강의 등 조금 더 직접적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방식을 활용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K-MOOC 전북대학교 온라인 강좌 바로보기
https://www.kmooc.kr/view/course/detail/13982?tm=20250625131529


Q. 사업 수행 중 특히 기억에 남는 수강생의 피드백이나 인상 깊은 에피소드가 있으셨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천지인의 자연학에서 근대과학으로’ 강의를 들은 한국 학생이 우리가 선진문물을 받아들이려는 노력을 게을리해서 식민지가 되었다고 생각했는데, 대한제국 정부가 추진했던 다양한 근대과학 수용 시도에 대해 알고 나서 당시 정책 당국이나 지식인을 시대에 뒤처진 혹은 고루한 성리학적 세계관에만 빠져 있다고 여겼던 생각이 너무 단순하고 왜곡되어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는 의견이 기억에 남습니다.
또 ‘병, 약, 몸의 한국사’ 강의를 듣고 내용 자체가 너무 새롭고 재미있었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사실 한국 과학사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이러한 얘기는 그리 새로운 사실이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한편으로 그동안의 한국 과학사 연구 성과가 사람들에게 그렇게 많이 전파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사업 수행의 일환으로 에콰도르의 학생들에게 원격으로 한국 현대 과학기술의 압축적 성장에 대해 강의했는데, 강의 후 한 학생이 한국 과학이 “빨리빨리” 정신으로 빠르게 발전하게 된 과정은 잘 알았는데, “빨리빨리”를 강조하는 속에서 생겨난 부작용이나 문제점은 없었냐고 질문했습니다. 우리는 흔히 한국 현대과학의 발전 과정을 모델화해서 후발 국가에 잘 전달해 주면 그들도 유사한 성과를 낼 수 있겠다고 생각하지만, 요즘 젊은 학생들의 생각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습니다. 이는 한국 현대과학을 해외에 발신할 때 밝은 면뿐 아니라 어두운 면까지 함께 다루어야 함을 말해줍니다. 이 에피소드는 한국 현대과학사를 연구하는 저에게 당연하지만 앞으로 더욱 신경을 써야 하는 숙제를 던져주었습니다.

Q. 질문에 대해 답변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과 국내외 한국학 연구자들, 한국학과 학생들 또는 한국학진흥사업단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우리 연구센터의 홈페이지는 sck.re.kr입니다. SCK는 ‘한국의 과학과 문명’(Science and Civilization in Korea)의 줄임말입니다. SCK는 국제 과학사학계에서 나름 알려진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이에 우리 연구센터는 SCK를 넘어 SCA, 즉 아시아의 과학과 문명을 함께 다룰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우리는 흔히 K라는 접두사를 붙여 우리가 가진 학문이나 문화를 자랑하곤 합니다. 그런데 우리 학문은 단순히 한국 내에서만이 아니라 국제 무대에서도 그 가치와 위상을 인정받아야 합니다. K학술을 넘어 아시아를 뜻하는 A학술, 혹은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W학술로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우선 국제 과학사학계에서 한국의 과학사가 단순히 한국의 독특한 사례에만 머무르지 않고 세계 여러 곳의 과학사를 이해할 수 있는 흥미로운 접근법이자 지식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한국 과학사는 전 세계 과학사의 박물관이 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아시아 다른 나라의 과학사, 더 나아가 세계 여러 나라의 과학사까지 이해할 수 있는 기틀을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러한 과제는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관련 연구자만의 노력으로 될 수 있는 일이 아닐 것입니다.
하지만 많은 연구자들이 자신의 학문이 나아갈 방향으로 조금 더 넓고 큰 비전을 갖는 것이 그러한 시도의 출발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K학술에서 W학술까지” 조금은 과장되게 들리지만, 우리 연구소가 지향하는 목표라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K학술확산연구소사업 전체 강의 안내 브로슈어 (다운로드)
Meeting with Korean Studies Scholars
Manyong Mo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Q.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Hello! After majoring in biology education for my undergraduate degree, I studied Korean science history at graduate school. I research the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til today, investigating the compressed development of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by focusing on the history of related policies or research institutions. I’m also interested in fields such as biology and agricultural science that demonstrate the unique character of Korea’s scientific activities. I served as an HK professor at the Institute of Rice, Life and Civilization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BNU) and now lead the Academic Center for K-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as a professor of the JBNU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Science, Technology and Civilization. While serving for three years as the editor-in-chief of The Korean Journal for the History of Science, I worked to broaden the reach of Korean science history and increase the proportion of comparative studies on East Asia. While serving as vice-president of the Asi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History, I sought to extend Korean science history research into the broader study of ecological/environmental history and adopted a transnational approach that went beyond a single country’s perspective. I’ve edited several books in Korean, including Hanguk ui hyeondaejeok yeongu cheje ui hyeongseong (The Formation of Korea’s Modern Research System), Hanguk geundae gwahak hyeongseong gwajeong jaryo (Materials on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Science in Korea), and Hanguk gwahak gisul yeongu cheje ui jinhwa (The Evolution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System in Korea). I’m also awaiting the publication of a book in English on the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modern Korea, entitled The Compresse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under Authoritarian Regimes in South Korea.
Q. What do you consider to be the most meaningful research outcome produced thus far at the JBNU Academic Center for K-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By offering courses under the theme of “K-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inform both domestic and overseas audiences about the role of science technology a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flow of Korean history from the premodern period until today, I believe we’re making a very important contribution in broadening of the reach of not only Korean history, but Korean Studies as well.
Thus far, the history of Korea’s traditional sciences has been perceived at times as an imitation of Chinese science history. However, through these courses, we can make audiences, especially foreign students and researchers, newly aware of Korea’s unique science history, which I consider to be the most meaningful work of this project. Furthermore, as contemporary Korea is shown as an example of compressed development—having achieved an astonishing growth of scientific technology in an extremely short amount of time, many developing countries want to discover Korea’s know-how. By presenting the mechanisms of such development through our courses, we can answer such overseas curiosities. Of course, this development process is not simply a history of successes alone. It also contains various problems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that fac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By showing such angles, we hope that the various countries using Korea as a model will not have to face the same difficulties that Koreans did.
Q. How do you define the concept of “K-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With what scope and from what perspective do you approach this concept at your center?
Science is usually considered universally valid knowledge. And, in reality, the content learned during science lessons is basically the same in any place across the globe. However, before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cience that is now familiar to and utilized across the globe, each civilization or country understood nature in their own way. If we look at the most general definition of a knowledge system for understanding science and nature, many places in the modern period had their own science.
Korea is no exception. Of course, Koreans didn’t make all science into a system. Amidst exchange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civilizations, Koreans made similar if slightly different knowledge. Thus, by understanding the ways in which the Korean ancestors understood nature, and by seeing which aspects are similar and different in comparison to neighboring countries, we can create a unique Korean history. In the case of modern science as well, although the scientific laws of theories as the same, there are great differences among countries regarding the fields that were emphasized and the directions that were pursued for development. In other words, each country had a difference style to their science. This tendency didn’t completely disappear in the contemporary era either. Ultimately, in terms of Korean science and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society, by revealing the Korean method and its background in comparison to nearby regions or countries, we can create a K-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Q. How does your center’s “Science and Technology as Seen through Korean History” approach differ from existing Korean history education or scholarly discussions?
Korean history is usually divided by historical period, with each period having its own special political, soci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r, when looking at it by topic, history can be divided into political history, social history, economic history, intellectual history, cultural history, etc. Scientific history can be considered one of the fields of history divided by topic. Thus, although the subject being covered differs as it is science and technology, it’s not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Korean history. This is because there is no science or technology that is completely separate from the society or the nation. Moreover, this subject area actively covers aspects that were overlooked in the existing Korean history field.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history, although there have been studies tracking the internal advancement of science or technology, we historians of science and technology primarily look at the role science and technology has played in Korean society and within what context that relationship changed, rather than focusing on the change of science and technology itself. Therefore, “Science and Technology as Seen through Korean History” can enrich the study of Korean history, which has primarily focused on political, economic, or intellectual history.
Q. What is your center’s advantage as a KSPS Fostering a New Wave of K-Academics Program center? What differentiates your team from other research teams?
The Academic Center for K-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affiliated with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Science, Technology and Civilization at JBNU.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Science, Technology and Civilization is, in effect, the only research institute specialized in Korea’s science history. The institute’s team comprises three full-time professors, including the institute director, and seven research professors who research the history of science in Korea. Above all, thanks to the support of the KSPS, the institute was able to publish a series of 30 books in 2023 on the topic of “The Science and Civilization of Korea” based on a decade of research. By adjusting the research content through a series of seminars with the country’s top researchers and by managing the project schedule, the institute was able to carry out the plans without missing a single volume. This is a very rare research outcome in the field of science history—not only in Korea, but globally as well. The majority of the lectures produced by our center are based on this series. The fact that the lectures are produced based on content that has already been thoroughly verified by Korean academia could be considered our advantage when compared to other research teams. Of course, some of the lectures have been newly designed, but we are proud that our experience planning and managing the book series has allowed us to not only carry out these duties more systematically, but also produce the lectures without errors.
Q. Do you think that the online Korean Studies lectures that you’ve produced can go beyond a simple offering of content to lead an educational transformation? Was there any particular considerations made in the design of the courses?
I think we’ve all sensed that, fundamentally, there is a great interest in Korea all across the globe. The demand for Korean Studies is, of course, significant. Currently, the fields that interest people overseas generally include things that can be seen with the eyes, such as culture and arts, or even food. However, I hope that interest in Korea is deepened such that Korean society itself can be actively sought out and understood. Playing a role in this will be the online Korean Studies lectures produced by the Academic Center for K-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order to make this a more effective educational transformation, we are looking to add methods that allow for direct communication outside of the online lectures. We need to work toward having the student audiences visit Korea in person and experience Korea for themselves.
Science and technology is not only a part of culture but also forms the basis of civilization. The cont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not that easy, it only becomes more difficult and complex over time. At the same time, it’s also difficult to explain and understand scientific concepts of the past that are no longer used today. As a result, there is a non-insignificant limit to one-directional lectures. More considerations must be made toward more effectively conveying difficult concepts to students abroad. To this end, we’ve been working to go beyond simply explaining things in an easy way by making use of diverse audio-visual materials, and we also plan to utilize methods that allow for more direct interaction, such as field trips and on-site lectures.
Q. Was there any memorable student feedback from the courses?
One of the most memorable responses was from a Korean student who watched our lecture entitled, “From Nature Studies of the Heavens, Earth and Humans to Science: The Dawn of Modern Science.” This student had believed that Korea was colonized as a result of its slow efforts to adopt advanced civilization, with the policy makers and intellectuals of the time having been caught up in an outdated and antiquated Neo-Confucian ideology. However, after learning about the Korean Empire’s diverse attempts to adopt modern science, the student realized that their understanding was distorted and too simplistic
Furthermore, we also received feedback that the content of the “A Korean History of Diseases, Drugs, and the Body” lecture was very novel and fun. From the perspective of someone studying Korean science history, I honestly didn’t consider this topic to be that novel. So, on one hand, this showed me that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science history haven’t yet reached many people.
In addition, as part of the project, we hosted a virtual lecture for students in Ecuador about the compressed development of contemporary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 After the lecture, one student asked whether there were any side effects or problems that arose from the emphasis on the “ppalli, ppalli” mindset that led Korea’s fast scientific development. We generally think that if we provide developing nations with Korea’s contemporary science development process as a model, then they will be able to achieve a similar result. However, young students these days do not think so simplistically on the matter. This tells me that we must convey not only the bright aspects but also the dark aspects of Korea’s contemporary history to overseas audiences. This episode presented me, as a researcher of contemporary Korean science history, with a new challenge that is at once both obvious and warranting of further attention.
Q. Thank you for your detailed answers to our questions. In conclusion, please share a word with the newsletter’s readers, Korean Studies researchers and students both in Korea and abroad, and the KSPS.
You can access our center’s website at http://eng.sck.re.kr/. The acronym SCK refers to “Science and Civilization in Korea.” SCK has become a relatively well-known brand in the international science history community. Continuing on from this, our center plans to expand beyond “SCK” to cover “SCA,” that is, “Science and Civilization in Asia.”
We often attach the “K-” prefix to promote Korean scholarship or culture. However, the value and status of Korean scholarship needs to be recognized not only within Korea alone, but on the global stage. I believe that we need to go beyond “K-Academics” to the “A-Academics” of Asia, and even to the “W-Academics” of the world. To this end, we should emphasize that, within the broader international field of science history, Korean science history can serve as entertaining approach and area of knowledge for understanding not only the unique Korean case but the history of science is various places worldwide. In other words, Korean science history can become a museum of world science history. And, upon this basis, we can make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not only the science history of other Asian countries, but other countries across the globe. Of course, this task cannot be achieved in the short-term, not is it something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efforts of our researchers alone.
However, I believe that if many researchers can broaden their directions to hold a greater vision that goes beyond their own scholarly field, then this can become the beginnings of such an endeavor. Although the phrase “from K-Academics to W-Academics” may sound a bit exaggerated, it conveys the goal toward which our center str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