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진흥사업단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의 지원을 통해
이븐 토파일 대학교 한국학연구센터를 설립 및 운영하고 계신 Hindou BADDIH 연구책임자님의 인터뷰 입니다.

Hindou BADDIH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 연구책임자
● 사업명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
● 과제명
모로코 차세대 한국학 전문가 육성 사업
● 연구수행기관
이븐 토파일 대학교 (모로코)
● 연구기간
2023-06-01 ~ 2026-05-31 (36개월)
Q. 한국학진흥사업단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을 위해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저는 모로코 케니트라(Kénitra) 이븐 토파일 대학교(Ibn Tofail University) 경제·경영학부에서 강의하고 있는 힌두바디(Hindou BADDIH) 교수입니다. 저의 주된 연구 분야는 개발경제학, 환경경제학, 공공정책, 그리고 현대 경제·환경 변화와 관련된 사회적 역동성입니다. 최근에는 경제·환경정책의 비교 분석, 인적자본·혁신·성장·지속가능발전 간의 상호작용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학은 저에게 매우 흥미로운 연구 영역입니다. 한국의 성장·교육·현대화 경험을 탐구하고, 이를 모로코와 아프리카 환경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한국학 연구자로서 제 목표는 한국의 경제·교육·사회적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동시에, 한-모로코 간 학술 공동 프로젝트와 인적 교류, 학술적 교환을 강화해 모로코와 아프리카 학생들에게 한국학을 확산시켜 학문적·문화적 시야를 넓히는 것입니다.
Q. 모로코에서 한국학을 연구하시게 된 계기와 함께 한국학이 현지 학문 및 사회와 어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보셨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당시 모로코 사회 전반에서 한국학에 대한 관심과 인식은 어떠했는지도 말씀 부탁드립니다.
제가 한국학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짧은 기간에 사회와 경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한국의 발전 모델을 이해하고자 하는 갈망이었습니다. 한국 사례는 교육·산업화·거버넌스의 전략적 선택이 한 나라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 생각합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학은 모로코가 직면한 포용적 성장, 인적자본 활용, 교육·연구의 발전, 국제 개방 등 여러 과제를 조망해 볼 수 있는 좋은 틀이며, 이를 통해 모로코 사회에 새로운 방향과 영감을 줄 수 있다고 확신했습니다.
제가 한국학에 관심을 두었을 당시 모로코에서는 K-pop과 한국 드라마 등 대중문화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지만, 학문적으로는 아직 초기 단계였습니다. 그러나 체계적인 협력사업과 특히 우리 대학의 한국학연구센터 설립을 계기로 한국학은 다양한 가시적 성과를 내며 학문적 정당성도 점차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즉 모로코에서 한국학은 단순한 문화적 호기심을 넘어 학술과 문화외교 영역에서 유망한 학문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Q.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을 수행하시면서 예상치 못하게 현지에서 큰 반향을 일으킨 활동이나 성과가 있었다면 소개해 주실 수 있을까요? 이러한 성과를 가능하게 했던 주요 프로그램이나 활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함께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희 이븐 토파일 대학교에서 시작된 “해외한국학씨앗형” 프로젝트는 모로코에서 한국학 교육·연구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한국과 모로코 간 학술협력을 강화하고, 학생들에게 한국적 경험을 알리며, 이 신생 분야를 위한 제도적 공간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2024년 12월 10일, 주모로코 윤연진 대사와 모하메드 라르비 케르켑(Mohamed Larbi KERKEB) 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학 내 한국학연구센터(Centre des Études Coréennes)를 설립하였습니다. 이 센터는 학생·연구자뿐 아니라 모로코의 제도·문화 분야 관계자들에게도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사회과학 전공 학생들이 한국의 역사·문화·발전 모델에 대해 진정한 호기심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관심은 박사과정생들의 연구 주제로까지 확산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수미아 레프누네(Soumia Lefnoune) 학생은 “물관리 기술 효율성이 수자원 스트레스 관리에 기여하는 방식 – 한국사례를 중심으로”(La contribution de l’efficacité des techniques de gestion de l’eau au management du stress hydrique : le cas de la Corée du Sud), 엘 마문 바크림(El Mamoun Bakrim) 학생은 “의료서비스 질이 보건 시스템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례-”(La contribution de la qualité de l’offre de soins à la gouvernance du système sanitaire : le cas de la Corée du Sud) 라는 주제로 박사논문을 준비 중입니다. 또한 마리엠 리우아에딘(Mariem Liouaeddin) 교수는 대학원생을 위해 <한국 경제모델> 강의를 개설하여 매 학기 20명 이상의 석사 과정생이 한국학을 수강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국제 워크숍, 학술교류, 장학금 제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연구·제도협력을 지원하며, 한국학연구센터는 문화 간 대화와 공공정책·거버넌스·지속가능발전 연구의 중심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Q. 모로코 내 현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진 연구·교육 활동 중, 해외 한국학 확산에 가장 기여한 사례는 무엇이라고 평가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주요 기여 사례는 <모로코-한국 협력 워크숍> 기획 시리즈입니다. 이 시리즈는 2025년 10월 25일 예정된 국제학술대회의 준비 단계로 기획되었습니다. 워크숍에서는 한국․모로코․아프리카의 경험을 비교․논의하며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 교육 등 전략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의 장을 확보하였고, 그 결과를 한국 및 아프리카 여러 대학과 공유하였습니다.
또한 한국과 아프리카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해 한국의 경제, 문화, 디지털 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도 마련했습니다. 이 워크숍 시리즈는 국제학술대회로 확장될 예정으로, 모로코뿐 아니라 아프리카 학계에서도 한국학의 입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Q.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을 통해 한국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학문적 흥미를 넘어 삶이나 진로에 긍정적 영향을 받은 사례가 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현재 우리 대학 학생들은 한국학연구센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K-pop과 한국 드라마 등 문화적 흥미에서 출발했지만, 워크숍과 한국 경제·사회 강의를 통해 학문적 호기심이 점차 커졌습니다. 일부 학생은 연구 주제를 한국 관련 연구로 전환하기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한국학은 모로코 학생들에게 단순한 관심사를 넘어 학문적·개인적·직업적 발전의 지렛대가 되고 있으며, 연구와 문화 간 대화를 넓혀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Q. 모로코에서 한국학 연구를 확대해 나가는 과정에서 얻은 통찰이나 Tip을 다른 해외 한국학 연구자들에게 전하신다면, 가장 강조하고 싶은 점은 무엇인지 말씀해 주세요.
한국학은 단순한 전공이 아니라 문화 간 대화와 국제협력의 도구로 인식하고, 이를 통해 지식의 공동 구축과 지적․인적 교량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한국학은 아프리카 현지 대학과 학계에 뿌리내려 각 국가의 현실을 반영할 수 있는 영감으로 기능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경제·정치·사회·역사·문화가 교차하는 폭넓은 이해와 다양한 대상을 포용할 수 있도록 학제 간 연구를 장려해야 하며, 학생들과 젊은 연구자들의 호기심과 역동성이 한국학의 지속성을 뒷받침하는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Q. 질문에 대해 답변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과 국내외 한국학 연구자들, 한국학과 학생들 또는 한국학진흥사업단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 한국·해외 연구자들에게: 우리의 힘은 협력과 네트워크에 있으며, 각 지역의 고유한 관점이 한국학 세계를 더욱 풍요롭게 합니다.
• 학생들에게: 여러분의 호기심과 참여가 필수적이며, 여러분이 문화·학문 교류의 진정한 주역입니다.
• 한국학진흥사업단에: 전 세계 연구자와 기관을 꾸준히 지원하여 이 분야를 구조화·확산하는 데 기여해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한국 측 파트너(조화림·김덕수 교수님), 이븐 토파일 대학 연구팀과 동료 교수님들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한국학은 오늘 날 역동적이고 열린 학문 분야로, 한국 경험을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사회 간 학문·문화적 대화를 풍부하게 합니다. 한국학이 앞으로도 한국과 세계를 잇는 지속가능한 대화·이해·협력의 가교가 되기를 바랍니다.
Meeting with Korean Studies Scholars Abroad
Hindou BADDIH
(Ibn Tofail University, Morocco)
Q.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My name is Hindou Baddih, and I am a professor in the Faculty of Economics and Business Management at Ibn Tofail University in Kénitra, Morocco. My main research areas are development economics, environmental economics, public policy, and social dynamics related to contemporary economic and environmental changes. Recently, my research has focu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policie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human capital, innovation,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rom this perspective, Korean Studies is a very fascinating field of research for me. As I explore Korea’s experience of growth, education, and modernization, I’m considering how this could be applied in the Moroccan and African context. My goal as a Korean Studies researcher is to deeply understand Korea’s economic, educational, and social experience, while simultaneously strengthening both joint academic projects and human/scholarly exchange between Korea and Morocco, and expanding Korean Studies to students in Morocco and Africa to broaden their academic and cultural horizons.
Q. I’m curious about what led you to research Korean Studies in Morocco, how do see Korean Studies connecting with local scholarship and society, and what the level of interest and recognition of Korean Studies was in Moroccan society at the time?
What led me to become interested in Korean Studies was my desire to understand Korea’s development model, which fundamentally transformed society and the economy in a short period of time. I believe the Korean cas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that shows how strategic choices in education, industrialization, and governance can transform a country. In this regard, I was convinced that Korean Studies provides an excellent framework examining various challenges facing Morocco, such as inclusive growth, the utilization of human capital, advancement in education and research, and international openness, and could offer new directions and inspiration to Moroccan society.
When I first became interested in Korean Studies, popular culture like K-pop and Korean dramas were gaining popularity among young people in Morocco, but academically it was still in its early stages. However, through systematic cooperation projects, particularly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er for Korean Studies at our university, Korean Studies has been producing various visible outcomes and gradually security academic legitimacy. In other words, Korean Studies in Morocco is positioning itself as a promising academic field in the realms of scholarship and cultural diplomacy, beyond mere cultural curiosity.
Q. Could you introduce any activities or outcomes that unexpectedly resonated with locals while implementing the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Please also introduce the key programs or activities that made such outcomes possible.
The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project launched at Ibn Tofail University aime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Korean Studies education and research in Morocco. The core objectives were to strengthen acade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Morocco, introduce Korean experiences to students, and create an institutional space for this emerging field.
To achieve this, we established the Center for Korean Studies (Centre des Études Coréennes) within the university on December 10, 2024, with attendance from the South Korean ambassador to Morocco Yun Yeon-jin and the university president Mohamed Larbi Kerkeb. Our center attracted significant interest not only from students and researchers but also from those involved in Morocco’s institutional and culture sectors. In particular, social science students showed genuine curiosity about Korea’s models of history, culture, and development.
This interest has extended to the research topics of our doctoral students. For example, student Soumia Lefnoune is preparing her doctoral dissertation on “The Contribution of Water Management Technology Efficiency to Water Stress Management: The Case of South Korea” (La contribution de l’efficacité des techniques de gestion de l’eau au management du stress hydrique : le cas de la Corée du Sud), while El Mamoun Bakrim is working on “The Impact of Healthcare Service Quality on Health System Governance: The Korean Case” (La contribution de la qualité de l’offre de soins à la gouvernance du système sanitaire : le cas de la Corée du Sud). Additionally, Professor Mariem Liouaeddin has established a course titled “The Korean Economic Model” for graduate students, with over 20 master’s students taking Korean Studies each semester.
In addition, we support educational, scholarly, and institutional cooperation through various programs, such as international workshops, academic exchanges, and scholarships. Our Center for Korean Studies is establishing itself as a central space for intercultural dialogue and research on public policy, governa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Q. Among the scholarly and educational achieved through cooperation with local institutions in Morocco, what do you consider to be the case that mos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Korean Studies abroad?
The main contributing case is the “Morocco-Korea Cooperation Workshop” planned series. This series was designed as a preparatory stage for an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scheduled for October 25, 2025. The workshops secured new research venues in strategic fields such as sustainable development, governance, and education by comparing and discussing the experiences of Korea, Morocco, and Africa, and the results were shared with several universities in Korea and Africa.
In addition, i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experts from Korea and Africa to participate together in recognizing the academic importance of diverse fields such as Korea’s economy, culture, and digital sectors. This workshop series is expected to be expanded into an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and I anticipate it will serve as a catalyst for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Korean Studies not only in Morocco but in African academia more broadly.
Q. Please share any example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Studies Program through the Seed Program of Korean Studies who were positively influenced in their lives or careers beyond mere academic interest.
Currently, students at our university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our Center for Korean Studies activities. Initially, they started with cultural interest in K-pop and Korean dramas, but through workshops and lectures on Korean economy and society, their academic curiosity has gradually grown. Some students have even changed their research topics to be related to Korea. In this way, for Moroccan students, Korean Studies has become more than just an area of interest, now serving as a lever for academic,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laying a role in broadening research and intercultural dialogue.
Q. What insights or tips gained while expanding Korean Studies research in Morocco would you most like to emphasize to other overseas Korean Studies researchers?
I believe Korean Studies should be recognized not merely an academic discipline but as a tool for intercultural dialogu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through which it should play a role in the joint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serve as an intellectual and human bridge. In particular, Korean Studies must take root in local African universities and academia to function as an inspiration that can reflect the realities of reach country.
To this end, we must encourage a broad understanding that intersects economics, politics, society, history, and culture, and promote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at can embrace diverse subjects. I also think it's important to actively encourage participation so that curiosity and dynamism of students and young researchers can serve as the driving force that supports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studies.
Q. Thank you for answering our questions. In conclusion, please share a word with the online newsletter’s readers, Korean Studies researchers and students both in Korea and abroad, and the KSPS.
• To researchers in Korea and overseas: Our strength lies in cooperation and networks, and each region’s unique perspective makes the world of Korean Studies even richer.
• To students: Your curiosity and participation as essential, and you are the true protagonists of cultural and academic exchange.
• To KSPS: Thank you for your contribution to structuring and expanding this field through your consistent support of researchers and institutions worldwide.
• To partners in Korea, Professors Jo Hwa-rim and Kim Deok-su, and the research team and fellow faculty at Ibn Tofail University: I extend my deepest gratitude to you as well.
Korean Studies today is a dynamic and open academic field that goes beyond understanding the Korean experience to enrich scholarly and cultural dialogue between societies. I hope that Korean Studies will continue to serve as a bridge for sustainable dialogue,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connecting Korea and th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