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진흥사업단 한국학기초자료사업의 지원을 통해
2024년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50선' 한국학분야에 선정된 성과물 리뷰 입니다.

도현철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연구책임자
● 사업명
한국학기초자료사업
● 과제명
조선시대 가례 자료의 항목별 분류와 집성
<가례대전>의 구축 (3단계)
●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대한민국)
● 연구기간
2018-07-01 ~ 2022-06-30 (48개월)
Review
1950년대에는 조선시대 예학(禮學) 연구와 관련하여 중요한 하나의 관점이 제기됩니다.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17세기 예학시대론’이 그것입니다. ‘17세기 예학시대론’은 한편으로 당쟁(黨爭)이 조선 사회의 고질적인 병폐라는 인식을 기초로 하여, 예송(禮訟)을 당쟁의 시대적 변형으로 보고 이에 대한 극복으로서 실학(實學) 연구가 추동되었다고 분석합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당쟁을 자연스러운 정치 현상으로 파악하고, 예송에 나타난 견해 차이가 예(禮)에 대한 학문적 입장의 차이에 근거한다고 봄으로써 예송의 사상적 측면을 해명합니다. 이를 통해 17세기와 18세기를 성리학(性理學)의 진전과정으로 통합하는 예학 연구가 활성화되었습니다.
그런데 ‘17세기 예학시대론’에 의해 촉발된 예학 연구는 개별 연구가 심화, 축적됨에 따라 두 주요한 입각점, 즉 ‘성리학(性理學)의 심화에 따른 예학의 발달’이라는 단계적 발전 도식과 ‘학파의 분기에 따른 예학적 차이’라는 이분법적 전제와 관련하여 비판에 직면합니다. 전자의 경우, 16세기에서 17세기로의 이행을 ‘개국 초 전례(典禮) 체제의 정비를 거쳐 16세기 성리학적 사고의 심화에 따른 예학의 발전’으로 설명합니다. 그러나 이는 15세기에 이미 국가 전례뿐만 아니라 대부(大夫), 사서인(士庶人)의 예와 관련된 연구가 축적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 ‘철학적 차이에 기반한 학파의 분기’의 관점을 예학 연구에까지 확장합니다. 그러나 ‘학파의 분기에 따른 예학적 차이’를 규명하려는 작업은 개별 학자들에 대한 미시적 분석에 그치는 난관에 봉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현재의 예학 연구는 실증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17세기 예학시대론’을 보완하는 논리를 개발하거나 이를 대체할 새로운 시각을 마련해야 하는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이 연구는 조선시대 예학 연구를 위한 새로운 시각과 방법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먼저 ‘새로운 시각’이란 조선 예학의 전개에 대하여 그 정점을 17세기가 아닌 18세기로 간주하고, 학파의 분기를 넘어서는 동일한 문제의식 위에서 진전되고 축적된 흐름으로 읽어내는 것입니다. 이는 16세기 중반 이후부터 20세기 전반기까지 조선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가례(家禮)」 주석서 및 연구서를 서지적으로 분석하여 얻은 실증적 관점입니다. 한편 ‘새로운 방법’이란 15~16세기부터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조선에서 산출된 「가례(家禮)」 연구의 성과들을 집성하는 것입니다. 이는 조선시대 예학사를 통합적으로 조망하는 데 효율적인 방법이며, 예설(禮說)의 같고 다름을 실증적 차원에서 검토할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는 작업입니다. 이러한 시각과 방법론은 기존의 연구와 구별되는 본 연구만의 독창적인 것입니다.


유가(儒家)의 예(禮)에 대해서 말하자면, 그것은 사회구성의 근본적인 지침으로서 동아시아 역사 내내 개발되고 제도화되었습니다. 왕조마다 전례(典禮)를 수립하여 국가의 공적 행위에서 제도로 실행하였고, 민간에서는 집안에서 지켜야 할 의식과 규범, 즉 ‘가례(家禮)’를 수행함으로써 유교적 삶을 구현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렇게 조정과 민간에서 예(禮)가 제도화되고 수행되었던 것이 바로 동아시아 사회가 타 문화권과 다른 정체성을 지니게 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따라서 동아시아의 사회상을 새롭게 해명하기 위해서는 동아시아 사회가 구축한 예치(禮治) 문화의 성격을 밝히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민간에서 자율적으로 구현한 예(禮)는 중국 송대(宋代) 주희(朱熹)의「가례(家禮)」가 탄생한 이후로 각 지역의 사정에 따라, 또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용이 있었고, 무수한 관련 텍스트들이 산출되었습니다. 더구나 예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가례(家禮)」로 해소되지 않는 문제들이 생겨날 때마다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텍스트와 제도의 끊임없는 창신(創新)을 낳았습니다.

조선의 경우, 고려 말 「가례(家禮)」가 도입된 이후 점진적으로 확산되다가 15~16세기에는 조선의 현실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예설(禮說)의 차원에서 재정립하고 텍스트화하기에 이릅니다. 이후 19세기까지 제도와 텍스트 양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창신되었고 「가례(家禮)」를 수행하는 계층도 점차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조선에서는 15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 500종에 가까운 「가례(家禮)」주석서 및 연구서가 산출되었습니다. 조선에서 이룩한 제도와 텍스트의 유산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중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어느 지역도 능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가례(家禮)」를 통해 민간에서 구현한 동아시아 사회의 예치(禮治) 문화가 조선에서 정점에 도달하였음을 말해줍니다.
이 연구는 15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조선에서 산출된 「가례(家禮)」 주석서 및 연구서 234종의 내용을 「가례(家禮)」의 항목에 따라 시기별로 분류, 집성하고 선별 번역함으로써 조선시대 「가례(家禮)」연구의 현황과 쟁점을 전체적으로 재조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구축한 것입니다. 이렇게 마련된 자료집을 「가례대전(家禮大全)」이라고 명명합니다. 「가례대전(家禮大全)」은 「가례(家禮)」의 본문에 조선 학자들의 주석을 집성하고, 각 항목마다 「가례(家禮)」시행 과정에서 제기되는 의문 사항 및 새로운 예(禮) 구성에 관한 조선 학자들의 토론을 집성한 체재로 구성됩니다.


「가례대전(家禮大全)」의 구축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첫째 「가례(家禮)」가 조선 사회에서 수행된 방식과 그 변화상을 15세기에서 20세기 초반까지 장기간에 걸쳐 전국적 규모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유교 국가로서 조선이 도달하였던 예치(禮治) 문화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습니다.
둘째 예설(禮說)의 쟁점들에 관한 지역별, 학파별 공통점과 차이점을 시기에 따른 변화상과 함께 교차적으로 재조명할 수 있습니다. 특히「가례(家禮)」로 해소되지 않는 문제에 대한 논의들을 체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가례(家禮)」의 조선화 과정을 밝힐 수 있습니다.
셋째 중국, 베트남, 일본 등 전근대 동아시아 각 지역에서 확산된 예(禮) 문화를 상호 비교하여 연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국가적 경계를 넘어서 동아시아 사회의 특질을 해명하고, 동아시아 문화의 보편적 함의를 발견하는 창구가 될 수 있습니다.
이렇듯 「가례대전(家禮大全)」의 구축은 조선 시대 예학(禮學) 연구 및 동아시아 유교 문화 연구를 위한 종합적인 기초자료의 마련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지니지만, 이것이 끝은 아닙니다.
첫째 「가례대전(家禮大全)」이 조선 시대 「가례(家禮)」 주석서 및 연구서를 집성한 자료이기는 하지만 그 외의 문헌, 예를 들어 조선 학자들의 개별 문집(文集)에도 「가례(家禮)」관련 자료가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둘째 현재 「가례대전(家禮大全)」집성 자료는 실제 연구에 활용하기에 용이한 방식으로 가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례대전(家禮大全)」은 더욱 다양한 문헌에 수록된 「가례(家禮)」관련 자료까지 포함하여 보다 방대하고 통합적인 규모로 확대되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고, 동시에 유기적이고 협력적인 연구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 연구의 연구책임자 및 연구진 [장동우(대진대), 한재훈(성공회대), 전성건(경국대), 김윤정(한국학중앙연구원), 정현정(연세대), 박윤미(한림대), 차서연(경국대)]은 조선 시대 전체의 「가례(家禮)」 관련 자료가 한국의 인문사회 학계에 융합적 접근의 학문 방법을 창발시켜, 향후 조선 시대 연구 및 동아시아 문화 연구를 새롭게 진작시키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024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Research Excellence Award
The Classification and Compilation of Joseon Dynasty Family Ritual Materials by Category:
The Creation of the Completed Collection of Joseon Family Rituals
DO Hyeon Chul
(Yonsei University, Korea)
In the 1950s, an important perspective was raised in relation to the study of ritual scholarship (yehak, 禮學)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so-called “theory of the seventeenth century as the age of ritual studies,” which continues to this day. This theory, on the one hand, analyzes ritual litigation (yesong, 禮訟) as a temporal transformation of factional strife (dangjaeng, 黨爭), grounded in the perception that factionalism was a chronic ailment of Joseon society, and thus sees the study of practical learning (silhak, 實學) as driven by the need to overcome it. On the other hand, it interprets factional strife as a natural political phenomenon, explaining the differences revealed in ritual litigation as rooted in divergent scholarly positions on ritual (ye, 禮), thereby elucidating its intellectual dimension. Through this approach, research integrating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as a process of the advancement of Neo-Confucianism (seongnihak, 性理學) was invigorated.
However, the ritual studies research sparked by this theory has faced criticism as individual scholarship has deepened and accumulated, particularly in relation to two major premises: the developmental model of “the advancement of ritual studies following the deepening of Neo-Confucianism” and the binary framework of “differences in ritual studies based on factional divisions.” The former explains the transition from the sixteenth to the seventeenth century as “the development of ritual studies through the deepening of Neo-Confucian thought in the sixteenth century,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dynastic ritual (jeonrye, 典禮) system in the early Joseon period.” Yet this neglects the fact that as early as the fifteenth century, research had already accumulated on rituals not only of state ceremonies but also those concerning the yangban elite (daebu, 大夫) and the commoners (saseoin, 士庶人). The latter extends the perspective of “factional divisions rooted in philosophical differences” into the study of ritual scholarship. However, attempts to identify “differences in ritual studies based on factional divisions” have run into difficulties, remaining at the level of micro-analysis of individual scholars. In this regard, current scholarship on ritual studies stands at a turning point: it must either develop an empirical, evidence-based approach to complement the “seventeenth-century ritual studies theory” or establish a new perspective to replace it.
This study is based on new perspectives and methods for the study of ritual scholarship in the Joseon dynasty. The “new perspective” regards the culmination of Joseon ritual studies not as the seventeenth century but as the eighteenth century, and interprets its development as a cumulative flow advancing from shared concerns beyond factional divisions. This empirical viewpoint is grounded in a bibliographical analysis of commentaries and studies on Zhu Xi’s Family Rituals (Garye, 家禮) produced by Joseon scholars from the mid-sixteenth century through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new method” involves the comprehensive compilation of the achievements of Family Rituals research in Joseon from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through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is provides an effective approach for comprehensively viewing the history of Joseon ritual studies, while also assembling the materials necessary for empirically examin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ritual theories (yesol, 禮說). This perspective and methodology distinguish the present study as original.
With respect to Confucian ritual (ye, 禮), it functioned as a fundamental guideline for social organization, developed and institutionalized throughout East Asian history. Each dynasty established dynastic rituals (jeonrye, 典禮) to be enacted in official state ceremonies, while in the private sphere, households carried out family rites (garye, 家禮) to embody Confucian life. Such institutionalization and practice of ritual, in both the state and society, were critical factors that shaped East Asian identity in contrast to other cultural spheres. Therefore,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ritual governance (yechi, 禮治) culture established in East Asia is essential to reinterpret its social formation.
In particular, the rituals autonomously practiced in society underwent diverse adaptations depending on local and temporal conditions after the emergence of Zhu Xi’s Family Rituals in the Song dynasty. Numerous related texts were produced. Moreover, whenever problems arose in the performance of rituals that could not be resolved through Family Rituals, attempts to resolve them generated continuous innovation in both texts and institutions.
In Joseon, after the introduction of Family Rituals in the late Goryeo period, it gradually spread and by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issues arising in Joseon society were redefined and textualized at the level of ritual theory (yesol, 禮說). Thereafter, through the nineteenth century, continuous innovations occurred in both institutions and texts, and the social strata that practiced Family Rituals gradually expanded. As a result, nearly 500 commentaries and studies on Family Rituals were produced in Joseon from the fifteenth century through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institutional and textual legacy achieved in Joseon surpasses that of not only China but of any region in East Asia,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is indicates that the culture of ritual governance in East Asia, realized through Family Rituals in the private sphere, reached its apex in Joseon.
This study has compiled, classified, and partially translated 234 commentaries and studies on Family Rituals produced in Joseon from the fifteenth century through the early twentieth century, organized by the categories of Family Rituals, in order to reconstruct the overall state and issues of Joseon ritual studies. The resulting compilation is named the Completed Collection of Joseon Family Rituals (Garye Daejeon, 家禮大全). The Completed Collection compiles the annotations of Joseon scholars alongside the text of Family Rituals, and, for each category, assembles both the questions raised in the course of ritual implementation and the debates of Joseon scholars regarding the composition of new ritual practices.
The creation of the Completed Collection of Joseon Family Rituals is significant in three major aspects. First, it allows for a nationwide, long-term view of how Family Rituals were practiced and how they changed in Joseon society from the fifteenth through the early twentieth centuries. This concretely reveals the reality of ritual governance culture as it was realized in Joseon as a Confucian state. Second, it enables a cross-sectional reevaluation of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ritual theories across regions and scholarly lineages, together with their changes over time. In particular, by systematically examining discussions of problems unresolved by Family Rituals, it clarifies the process of the indigenization of Family Rituals in Joseon. Third, it enables comparative study of ritual culture across premodern East Asia, including China, Vietnam, and Japan. This can serve as a window for explaining the distinctive features of East Asian society beyond national boundaries and for discovering the universal implications of East Asian culture.
Thus,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leted Collection of Joseon Family Rituals is meaningful as the creation of a comprehensive foundational resource for the study of Joseon ritual scholarship and East Asian Confucian culture. Yet this is not the end. First, although the Completed Collection compiles Joseon commentaries and studies on Family Rituals, other sources, such as individual literary collections (munjip, 文集) of Joseon scholars, also contain related materials. Second, the current compilation of the Completed Collection has not yet been processed into a format convenient for actual research use.
Therefore, the Completed Collection must be expanded to include Family Rituals materials preserved in a wider range of sources, so that it becomes larger in scale and more comprehensive. Furthermore, it must be developed into a database to enhance its usability, making it applicable in diverse ways across disciplines, and reconstructed as an organic, collaborative research enterprise. The project’s principal investigator and research team [Jang Dong-woo (Daejin University), Han Jae-hoon (Sungkonghoe University), Jeon Seong-geon (Kyung-guk University), Kim Yun-jeong (Academy of Korean Studies), Jeong Hyeon-jeong (Yonsei University), Park Yun-mi (Hallym University), and Cha Seo-yeon (Kyung-guk University)] expect that this comprehensive body of Joseon ritual scholarship materials will stimulate innovativ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in the Kore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exerting significant influence in reinvigorating the study of Joseon history and East Asian cultur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