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온라인뉴스레터
Newsletter
검색 결과
All (205)
Other Pages (77)
Forum Posts (128)
Filter by
Type
Category
128 results found with an empty search
- [성과] 뉴질랜드 와이카토대학교,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홍보 포스터 공유In KSPS Outcome·2025년 9월 26일뉴질랜드 와이카토대학교에서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의 성과와 활동을 알리기 위해 제작한 홍보 포스터를 공유드립니다. 이번 포스터에는 사업의 주요 내용과 참여 프로그램 등이 잘 담겨 있어, 해외에서 한국학을 알리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첨부파일을 통해 포스터 원본을 다운로드하실 수 있으니, 관심 있는 분들은 자유롭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001
- 이후락과 그의 시대In Project Outcome·2025년 9월 24일ㅤ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권위주의 정권 시기 정보기관의 형성과 변천 연구책임자 정주진 주관연구기관 연세대학교 발행년월 2025.02.25. 저서명 이후락과 그의 시대 저자 정주진 출판사 (주)북랩 초록 이후락이 중앙정보부장으로 재임하던 시기(1970.12.22.-1973.12.3.), 한국 현대사에 많은 변화가 있었고 그 변화를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이 주도했다. 이 책은 이후락 중정부장 시기 주요한 정치안보적 사건을 분석한 책자이다. 책의 중심골자를 보면 첫째, 박정희와 김대중이 경합한 제7대 대통령 선거가 있었다. 이후락은 박정희의 편에 서서 이 선거를 기획하고 지휘했다. 그리고 박정희를 당선시킴으로써 박정희의 장기집권 가도를 열었다. 둘째, 해외에서는 미국이 아시아에서 발을 빼기 시작했다. 베트남전을 종결짓고 중공과 화해했다. 주한미군도 감축했다. 월남에 이어 한국도 패망할 수 있다는 공포감이 팽배해졌다. 그러한 시기 이후락은 평양을 비밀리 방문해서 김일성을 만나고 돌아왔다. 남북대화의 시대를 개척한 것이다. 셋째, 남북대화로 통일의 기운이 높아지자 이후락은 이것을 박정희의 장기집권에 접목했다. 유신이라는 박정희 종신집권의 시대를 연 것이다. 정치보다는 통치가 앞서는 시대가 열렸다. 넷째, 박정희 중심의 통치구조를 원활히 가동하기 위해서는 그 구조를 떠받치는 조직의 맹목적 충성이 필요했다. 그러나 중앙정보부를 장악한 이후락과 수도권 군권을 장악한 윤필용이 연합하는 모습을 보였다. 윤필용이 이후락을 박정희 후임으로 옹립하려는 기세였다. 그 순간 박정희는 이를 놏치지 않고 윤필용을 거세했다. 이후락까지 내치려 했으나 권력의 누수를 우려한 주변의 만류로 거둬들였다. 윤필용의 숙청에 겁을 먹은 김형욱은 해외로 달아났다. 다섯째, 윤필용-이후락 커넥션으로 대통령의 신임에 금이 간 이후락은 이제 대통령의 신임을 회복하기 위한 카드가 필요했다. 그 카드로 해외에 머무르던 박정희의 정적 김대중을 강제로 연행하는 방법을 동원했다. 하지만 고심 끝에 둔 이 악수가 이후락을 나락으로 몰아넣는 단초가 됐다. 그 악수가 부메랑이 되어 이후락은 중앙정보부장에서 물러났다. 이후락이 중정부장에 재임하던 시기 권력암투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미국의 일방적인 주한미군 감축에 대응해 자주적으로 국방력을 키우려는 노력이 있었다. 북한의 게릴라전에 대응해 지역 단위 대게릴라 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새마을운동이 일어났다. 미국 몰래 핵폭탄 개발을 추진했으나 미국에 발각되어 미국의 견제로 핵폭탄 개발을 중단해야 했다. 미국 행정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커가던 미 의회를 움직여 더 많은 군사원조를 받아내려는 노력도 있었다. 이제 이후락 중정부장 시대 주역들도 대부분 이승을 떠났다. 그리고 그 시대를 평가한, 다양한 기록들만 남아있다. 그 기록을 객관적이고도 중립적인 입장에서 교차 검증해볼 시간에 이르렀다. 이 책은 그러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기획됐다. 당대를 주름잡았던 사람들의 시각, 그리고 진영논리를 벗어나 가급적 가치중립적 입장에서 그 시대를 기록하려는 의도에서 구상됐다. 그 시대에 대한 다양한 기록 가운데 비교적 정확하고 사실에 가깝다고 생각되는 사료들을 선별해서 시계열적으로 적었다...0011
- 인공지능 시대의 문학In Project Outcome·2025년 9월 24일ㅤ 사업명 K학술확산연구소사업 과제명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연구책임자 안숭범 주관연구기관 경희대학교 발행년월 2025.06.30. 저서명 인공지능 시대의 문학 저자 박주택 외 13인 출판사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초록 인공지능은 인간의 언어를 분석하고 모사함으로써 새로운 창작의 조건을 제공하고 있다. 인간은 그러한 결과물을 통해 오히려 자신의 언어와 감성을 재발견하는 계기를 갖게 된다. 이 전환의 시대에 중요한 것은 기술의 발전 그 자체가 아니라 기술이 인간의 삶과 세계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성찰적 태도이다. 『인공지능 시대의 문학』은 전작 『인공지능과 문학의 미래』(아포리아 학술총서 02)에 이어 종래 문학 연구에 인공지능이라는 관점이 더해졌을 때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한계를 고찰한다. 인공지능 시대의 문학은 인간과 기계 간의 언어적 조율 능력을 포괄하는 새로운 복합 능력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전통적으로 리터러시는 문해력이라는 의미로 쓰였으나, 오늘날에는 알고리즘 기반 언어모델과의 상호작용, 프롬프트 설계와 결과 분석 능력까지 포함하는 ‘AI 리터러시’의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아울러 이는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언어 결과물에 대해 비판적이고 해석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인공지능 시대의 문학』에서는 인공지능이 동반한 문학ㆍ교육ㆍ번역ㆍ윤리적 전환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창작의 주체ㆍ행위ㆍ해석의 가능성과 수용자의 지위와 기술 매개의 윤리적 통제에 이르기까지 학술적 분야 간 경계를 넘나드는 복합적 사유의 지평을 경험할 수 있다. 문학 생산의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사례들을 구체적 실천과 연결했으며, 문학의 잠재성과 위기를 응시하여 인공지능 시대의 문학에 대한 비판적 사유로 이끈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새로운 문학적 감각과 윤리적 상상력을 되짚는 하나의 이론적 실마리가 될 것이다...0025
- 붓과 칼 사이의 질서In Project Outcome·2025년 9월 24일ㅤ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연구책임자 정해은 주관연구기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발행년월 2025.06.10. 저서명 붓과 칼 사이의 질서-조선의 무관 제도사 저자 정해은 출판사 역사산책 초록 이 책은 총 5부 17장에 걸쳐 조선 후기 무관의 개념과 용어, 전체 관직의 구조와 체계를 정리하고, 각각의 직책이 현실 속에서 어떻게 작동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추적했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 무관 제도가 군사와 행정, 그리고 사회 질서 속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 또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갔는지를 밝혔다...0023
- Acculturation of Korean New Zealander YouthIn Project Outcome·2025년 9월 24일ㅤ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호주와 뉴질랜드의 한인 연구: 새로운 세대의 부상과 (탈)공동체적 삶의 현재와 미래 연구책임자 문경희 주관연구기관 창원대학교 발행년월 2025.09.01. 저서명 Acculturation of Korean New Zealander Youth 저자 송창주 Open Access e-book 다운로드 초록 This open access book explores the acculturation, identity development, and cultural reconnection of newer-generation (1.5- and second-generation) Korean New Zealander youth who grew up in New Zealand after the 1990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it shows how many of them initially sought to assimilate into the dominant culture but later experienced a process of re-ethnicization, rediscovering their Korean heritage during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Chapters explore key themes such as cultural adaptation, ethnic identity, racism, co-ethnic friendships, and the role of digital media and the Korean Wave in fostering re-ethnicization. This book also situates these youth experiences within the broader contexts of New Zealand’s multicultural policies, its bicultural foundation, multicultural frameworks and the global dynamics of diaspora and migration. Drawing on theories of segmented assimilation, transnationalism, and ethnic belonging, this book offers new insights into how young migrants navigate dual identities and negotiate belonging in an increasingly diverse and complex society for scholars and students in migration studies, sociology, diaspora studies, Asian studies and cultural studies...005
- 한국근대전환기 농업정책과 농정론In Project Outcome·2025년 9월 24일ㅤ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한국 근대의 토지와 농민 연구책임자 이영학 주관연구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용인캠퍼스) 발행년월 2025.03.05. 저서명 한국근대전환기 농업정책과 농정론 저자 이영학 출판사 도서출판 혜안 초록 이 책은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전반까지 정부의 농업정책을 고찰한 글이다.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전반부는 조선 정부의 농업정책을 고찰하였으며, 후반부는 1905년 통감부부터 조선총독부의 농업정책을 고찰하였다. 조선 정부는 1880년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면서 여러 가지 개혁정책을 실시하였다. 개항 이후 조선 정부와 지식인들이 추진한 농업정책 중 주요 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정부가 추진한 농업정책 중 심혈을 기울인 부분은 황무지의 개간이었다. 당시는 가뭄·홍수 등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가 매우 취약했기 때문에, 빈번히 일어나는 자연재해로 인하여 황무지가 자주 발생하였다. 그리하여 황무지와 진전의 개간은 조선 정부의 입장에서 민생을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 할 일이었다. 정부에서는 농상국 등 관청에서 개간에 관심을 가지고 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당시 국가의 재정이 풍족한 편이 아니었기 때문에 정부가 직접 개간을 주도할 여력이 없었다. 그리하여 정부는 농상회사를 설립하여 관료와 민의 투자를 유발하여 황무지와 진전을 개간하고자 하였다...0023
- Vol 95. 2024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 조선시대 가례 자료의 항목별 분류와 집성<가례대전>의 구축In Book Review·2025년 9월 24일한국학진흥사업단 한국학기초자료사업의 지원을 통해 2024년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50선' 한국학분야에 선정된 성과물 리뷰 입니다. 도현철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연구책임자 ● 사업명 한국학기초자료사업 ● 과제명 조선시대 가례 자료의 항목별 분류와 집성 <가례대전>의 구축 (3단계) ●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대한민국) ● 연구기간 2018-07-01 ~ 2022-06-30 (48개월) Review 1950년대에는 조선시대 예학(禮學) 연구와 관련하여 중요한 하나의 관점이 제기됩니다.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17세기 예학시대론’이 그것입니다. ‘17세기 예학시대론’은 한편으로 당쟁(黨爭)이 조선 사회의 고질적인 병폐라는 인식을 기초로 하여, 예송(禮訟)을 당쟁의 시대적 변형으로 보고 이에 대한 극복으로서 실학(實學) 연구가 추동되었다고 분석합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당쟁을 자연스러운 정치 현상으로 파악하고, 예송에 나타난 견해 차이가 예(禮)에 대한 학문적 입장의 차이에 근거한다고 봄으로써 예송의 사상적 측면을 해명합니다. 이를 통해 17세기와 18세기를 성리학(性理學)의 진전과정으로 통합하는 예학 연구가 활성화되었습니다. 그런데 ‘17세기 예학시대론’에 의해 촉발된 예학 연구는 개별 연구가 심화, 축적됨에 따라 두 주요한 입각점, 즉 ‘성리학(性理學)의 심화에 따른 예학의 발달’이라는 단계적 발전 도식과 ‘학파의 분기에 따른 예학적 차이’라는 이분법적 전제와 관련하여 비판에 직면합니다. 전자의 경우, 16세기에서 17세기로의 이행을 ‘개국 초 전례(典禮) 체제의 정비를 거쳐 16세기 성리학적 사고의 심화에 따른 예학의 발전’으로 설명합니다. 그러나 이는 15세기에 이미 국가 전례뿐만 아니라 대부(大夫), 사서인(士庶人)의 예와 관련된 연구가 축적되어 있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 ‘철학적 차이에 기반한 학파의 분기’의 관점을 예학 연구에까지 확장합니다. 그러나 ‘학파의 분기에 따른 예학적 차이’를 규명하려는 작업은 개별 학자들에 대한 미시적 분석에 그치는 난관에 봉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현재의 예학 연구는 실증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17세기 예학시대론’을 보완하는 논리를 개발하거나 이를 대체할 새로운 시각을 마련해야 하는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현초 이유태(1916~1999) 화백이 그린 퇴계 이황의 영정 (한국은행) 이 연구는 조선시대 예학 연구를 위한 새로운 시각과 방법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먼저 ‘새로운 시각’이란 조선 예학의 전개에 대하여 그 정점을 17세기가 아닌 18세기로 간주하고, 학파의 분기를 넘어서는 동일한 문제의식 위에서 진전되고 축적된 흐름으로 읽어내는 것입니다. 이는 16세기 중반 이후부터 20세기 전반기까지 조선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가례(家禮)」 주석서 및 연구서를 서지적으로 분석하여 얻은 실증적 관점입니다. 한편 ‘새로운 방법’이란 15~16세기부터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조선에서 산출된 「가례(家禮)」 연구의 성과들을 집성하는 것입니다. 이는 조선시대 예학사를 통합적으로 조망하는 데 효율적인 방법이며, 예설(禮說)의 같고 다름을 실증적 차원에서 검토할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는 작업입니다. 이러한 시각과 방법론은 기존의 연구와 구별되는 본 연구만의 독창적인 것입니다. 가례대전 작업 이미지 (연구팀 제공) 유가(儒家)의 예(禮)에 대해서 말하자면, 그것은 사회구성의 근본적인 지침으로서 동아시아 역사 내내 개발되고 제도화되었습니다. 왕조마다 전례(典禮)를 수립하여 국가의 공적 행위에서 제도로 실행하였고, 민간에서는 집안에서 지켜야 할 의식과 규범, 즉 ‘가례(家禮)’를 수행함으로써 유교적 삶을 구현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렇게 조정과 민간에서 예(禮)가 제도화되고 수행되었던 것이 바로 동아시아 사회가 타 문화권과 다른 정체성을 지니게 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따라서 동아시아의 사회상을 새롭게 해명하기 위해서는 동아시아 사회가 구축한 예치(禮治) 문화의 성격을 밝히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민간에서 자율적으로 구현한 예(禮)는 중국 송대(宋代) 주희(朱熹)의「가례(家禮)」가 탄생한 이후로 각 지역의 사정에 따라, 또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용이 있었고, 무수한 관련 텍스트들이 산출되었습니다. 더구나 예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가례(家禮)」로 해소되지 않는 문제들이 생겨날 때마다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텍스트와 제도의 끊임없는 창신(創新)을 낳았습니다. 신행길, 『단원 풍속도첩』 혼례를 치르기 위해 신부 집으로 향하는 신랑 행렬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의 경우, 고려 말 「가례(家禮)」가 도입된 이후 점진적으로 확산되다가 15~16세기에는 조선의 현실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예설(禮說)의 차원에서 재정립하고 텍스트화하기에 이릅니다. 이후 19세기까지 제도와 텍스트 양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창신되었고 「가례(家禮)」를 수행하는 계층도 점차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조선에서는 15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 500종에 가까운 「가례(家禮)」주석서 및 연구서가 산출되었습니다. 조선에서 이룩한 제도와 텍스트의 유산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중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어느 지역도 능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가례(家禮)」를 통해 민간에서 구현한 동아시아 사회의 예치(禮治) 문화가 조선에서 정점에 도달하였음을 말해줍니다. 이 연구는 15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조선에서 산출된 「가례(家禮)」 주석서 및 연구서 234종의 내용을 「가례(家禮)」의 항목에 따라 시기별로 분류, 집성하고 선별 번역함으로써 조선시대 「가례(家禮)」연구의 현황과 쟁점을 전체적으로 재조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구축한 것입니다. 이렇게 마련된 자료집을 「가례대전(家禮大全)」이라고 명명합니다. 「가례대전(家禮大全)」은 「가례(家禮)」의 본문에 조선 학자들의 주석을 집성하고, 각 항목마다 「가례(家禮)」시행 과정에서 제기되는 의문 사항 및 새로운 예(禮) 구성에 관한 조선 학자들의 토론을 집성한 체재로 구성됩니다. 「가례대전(家禮大全)」의 구축은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첫째 「가례(家禮)」가 조선 사회에서 수행된 방식과 그 변화상을 15세기에서 20세기 초반까지 장기간에 걸쳐 전국적 규모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유교 국가로서 조선이 도달하였던 예치(禮治) 문화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드러낼 수 있습니다. 둘째 예설(禮說)의 쟁점들에 관한 지역별, 학파별 공통점과 차이점을 시기에 따른 변화상과 함께 교차적으로 재조명할 수 있습니다. 특히「가례(家禮)」로 해소되지 않는 문제에 대한 논의들을 체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가례(家禮)」의 조선화 과정을 밝힐 수 있습니다. 셋째 중국, 베트남, 일본 등 전근대 동아시아 각 지역에서 확산된 예(禮) 문화를 상호 비교하여 연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국가적 경계를 넘어서 동아시아 사회의 특질을 해명하고, 동아시아 문화의 보편적 함의를 발견하는 창구가 될 수 있습니다. 이렇듯 「가례대전(家禮大全)」의 구축은 조선 시대 예학(禮學) 연구 및 동아시아 유교 문화 연구를 위한 종합적인 기초자료의 마련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지니지만, 이것이 끝은 아닙니다. 첫째 「가례대전(家禮大全)」이 조선 시대 「가례(家禮)」 주석서 및 연구서를 집성한 자료이기는 하지만 그 외의 문헌, 예를 들어 조선 학자들의 개별 문집(文集)에도 「가례(家禮)」관련 자료가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둘째 현재 「가례대전(家禮大全)」집성 자료는 실제 연구에 활용하기에 용이한 방식으로 가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례대전(家禮大全)」은 더욱 다양한 문헌에 수록된 「가례(家禮)」관련 자료까지 포함하여 보다 방대하고 통합적인 규모로 확대되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고, 동시에 유기적이고 협력적인 연구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 연구의 연구책임자 및 연구진 [장동우(대진대), 한재훈(성공회대), 전성건(경국대), 김윤정(한국학중앙연구원), 정현정(연세대), 박윤미(한림대), 차서연(경국대)]은 조선 시대 전체의 「가례(家禮)」 관련 자료가 한국의 인문사회 학계에 융합적 접근의 학문 방법을 창발시켜, 향후 조선 시대 연구 및 동아시아 문화 연구를 새롭게 진작시키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상해 복단대학에서 열린 <동아예학여경학(東亞禮學與經學)> 국제학술회의에 연구진이 참석한 모습 (2019년 6월) 2024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Research Excellence Award The Classification and Compilation of Joseon Dynasty Family Ritual Materials by Category: The Creation of the Completed Collection of Joseon Family Rituals DO Hyeon Chul (Yonsei University, Korea) In the 1950s, an important perspective was raised in relation to the study of ritual scholarship (yehak, 禮學)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so-called “theory of the seventeenth century as the age of ritual studies,” which continues to this day. This theory, on the one hand, analyzes ritual litigation (yesong, 禮訟) as a temporal transformation of factional strife (dangjaeng, 黨爭), grounded in the perception that factionalism was a chronic ailment of Joseon society, and thus sees the study of practical learning (silhak, 實學) as driven by the need to overcome it. On the other hand, it interprets factional strife as a natural political phenomenon, explaining the differences revealed in ritual litigation as rooted in divergent scholarly positions on ritual (ye, 禮), thereby elucidating its intellectual dimension. Through this approach, research integrating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as a process of the advancement of Neo-Confucianism (seongnihak, 性理學) was invigorated. However, the ritual studies research sparked by this theory has faced criticism as individual scholarship has deepened and accumulated, particularly in relation to two major premises: the developmental model of “the advancement of ritual studies following the deepening of Neo-Confucianism” and the binary framework of “differences in ritual studies based on factional divisions.” The former explains the transition from the sixteenth to the seventeenth century as “the development of ritual studies through the deepening of Neo-Confucian thought in the sixteenth century,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dynastic ritual (jeonrye, 典禮) system in the early Joseon period.” Yet this neglects the fact that as early as the fifteenth century, research had already accumulated on rituals not only of state ceremonies but also those concerning the yangban elite (daebu, 大夫) and the commoners (saseoin, 士庶人). The latter extends the perspective of “factional divisions rooted in philosophical differences” into the study of ritual scholarship. However, attempts to identify “differences in ritual studies based on factional divisions” have run into difficulties, remaining at the level of micro-analysis of individual scholars. In this regard, current scholarship on ritual studies stands at a turning point: it must either develop an empirical, evidence-based approach to complement the “seventeenth-century ritual studies theory” or establish a new perspective to replace it. This study is based on new perspectives and methods for the study of ritual scholarship in the Joseon dynasty. The “new perspective” regards the culmination of Joseon ritual studies not as the seventeenth century but as the eighteenth century, and interprets its development as a cumulative flow advancing from shared concerns beyond factional divisions. This empirical viewpoint is grounded in a bibliographical analysis of commentaries and studies on Zhu Xi’s Family Rituals (Garye, 家禮) produced by Joseon scholars from the mid-sixteenth century through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new method” involves the comprehensive compilation of the achievements of Family Rituals research in Joseon from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through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is provides an effective approach for comprehensively viewing the history of Joseon ritual studies, while also assembling the materials necessary for empirically examin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ritual theories (yesol, 禮說). This perspective and methodology distinguish the present study as original. With respect to Confucian ritual (ye, 禮), it functioned as a fundamental guideline for social organization, developed and institutionalized throughout East Asian history. Each dynasty established dynastic rituals (jeonrye, 典禮) to be enacted in official state ceremonies, while in the private sphere, households carried out family rites (garye, 家禮) to embody Confucian life. Such institutionalization and practice of ritual, in both the state and society, were critical factors that shaped East Asian identity in contrast to other cultural spheres. Therefore,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ritual governance (yechi, 禮治) culture established in East Asia is essential to reinterpret its social formation. In particular, the rituals autonomously practiced in society underwent diverse adaptations depending on local and temporal conditions after the emergence of Zhu Xi’s Family Rituals in the Song dynasty. Numerous related texts were produced. Moreover, whenever problems arose in the performance of rituals that could not be resolved through Family Rituals, attempts to resolve them generated continuous innovation in both texts and institutions. In Joseon, after the introduction of Family Rituals in the late Goryeo period, it gradually spread and by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issues arising in Joseon society were redefined and textualized at the level of ritual theory (yesol, 禮說). Thereafter, through the nineteenth century, continuous innovations occurred in both institutions and texts, and the social strata that practiced Family Rituals gradually expanded. As a result, nearly 500 commentaries and studies on Family Rituals were produced in Joseon from the fifteenth century through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institutional and textual legacy achieved in Joseon surpasses that of not only China but of any region in East Asia,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is indicates that the culture of ritual governance in East Asia, realized through Family Rituals in the private sphere, reached its apex in Joseon. This study has compiled, classified, and partially translated 234 commentaries and studies on Family Rituals produced in Joseon from the fifteenth century through the early twentieth century, organized by the categories of Family Rituals, in order to reconstruct the overall state and issues of Joseon ritual studies. The resulting compilation is named the Completed Collection of Joseon Family Rituals (Garye Daejeon, 家禮大全). The Completed Collection compiles the annotations of Joseon scholars alongside the text of Family Rituals, and, for each category, assembles both the questions raised in the course of ritual implementation and the debates of Joseon scholars regarding the composition of new ritual practices. The creation of the Completed Collection of Joseon Family Rituals is significant in three major aspects. First, it allows for a nationwide, long-term view of how Family Rituals were practiced and how they changed in Joseon society from the fifteenth through the early twentieth centuries. This concretely reveals the reality of ritual governance culture as it was realized in Joseon as a Confucian state. Second, it enables a cross-sectional reevaluation of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ritual theories across regions and scholarly lineages, together with their changes over time. In particular, by systematically examining discussions of problems unresolved by Family Rituals, it clarifies the process of the indigenization of Family Rituals in Joseon. Third, it enables comparative study of ritual culture across premodern East Asia, including China, Vietnam, and Japan. This can serve as a window for explaining the distinctive features of East Asian society beyond national boundaries and for discovering the universal implications of East Asian culture. Thus,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leted Collection of Joseon Family Rituals is meaningful as the creation of a comprehensive foundational resource for the study of Joseon ritual scholarship and East Asian Confucian culture. Yet this is not the end. First, although the Completed Collection compiles Joseon commentaries and studies on Family Rituals, other sources, such as individual literary collections (munjip, 文集) of Joseon scholars, also contain related materials. Second, the current compilation of the Completed Collection has not yet been processed into a format convenient for actual research use. Therefore, the Completed Collection must be expanded to include Family Rituals materials preserved in a wider range of sources, so that it becomes larger in scale and more comprehensive. Furthermore, it must be developed into a database to enhance its usability, making it applicable in diverse ways across disciplines, and reconstructed as an organic, collaborative research enterprise. The project’s principal investigator and research team [Jang Dong-woo (Daejin University), Han Jae-hoon (Sungkonghoe University), Jeon Seong-geon (Kyung-guk University), Kim Yun-jeong (Academy of Korean Studies), Jeong Hyeon-jeong (Yonsei University), Park Yun-mi (Hallym University), and Cha Seo-yeon (Kyung-guk University)] expect that this comprehensive body of Joseon ritual scholarship materials will stimulate innovativ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in the Kore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exerting significant influence in reinvigorating the study of Joseon history and East Asian culture in the future.0063
- [행사] 강원대학교, "국한혼용문(國漢混用文)을 통해 본 근대적 지식의 새 전선" 콜로키움 개최In KSPS Outcome·2025년 9월 23일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강원대학교 콜로키움 개최 ○제목 : 전유(專有)에서 공유(公有)로의 독서 문화사–국한혼용문(國漢混用文)을 통해 본 근대적 지식의 새 전선 ○발표 내용 : 독서사에서 소수 특권층의 ‘전유(물)’가 아닌, 일반 대중의 ‘공유(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인 시기가 ‘근대전환기이다. 이 시기에 나타난 물질적, 의식적, 제도적 변화를 하나의 사회현상으로 인식하고 시대적 이해를 새롭게 하기 위해 근대전환기에 발달한(/출현한) 국한 혼용문 사용 문제를 다각도로 진단하고자 한다. 국한 혼용문 사용은 글의 주제나 독자 계층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지식 확산과 문학적 글쓰기에도 지대한 변화를 야기했다. 특별히 19세기말-1910년대에 대거 출현한 국한 혼용 필사본 고소설 80여 종을 종합, 분석해 이를 향유한 교양인, 내지 지식인층을 구체적으로 지목하고자 한다. 국한 혼용문은 근대에 새롭게 발명된 것이 아니라, 계승된 것이다. ○일시 : 2025년 9월 26일(금) 16:30 ○장소 :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정하상관 610호000
- Vol 95. 해외 한국학자를 만나다: 이븐 토파일 대학교 Hindou BADDIH 연구책임자In Korean Studies Interview·2025년 9월 23일한국학진흥사업단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의 지원을 통해 이븐 토파일 대학교 한국학연구센터를 설립 및 운영하고 계신 Hindou BADDIH 연구책임자님의 인터뷰 입니다. Hindou BADDIH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 연구책임자 ● 사업명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 ● 과제명 모로코 차세대 한국학 전문가 육성 사업 ● 연구수행기관 이븐 토파일 대학교 (모로코) ● 연구기간 2023-06-01 ~ 2026-05-31 (36개월) Q. 한국학진흥사업단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을 위해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저는 모로코 케니트라(Kénitra) 이븐 토파일 대학교(Ibn Tofail University) 경제·경영학부에서 강의하고 있는 힌두바디(Hindou BADDIH) 교수입니다. 저의 주된 연구 분야는 개발경제학, 환경경제학, 공공정책, 그리고 현대 경제·환경 변화와 관련된 사회적 역동성입니다. 최근에는 경제·환경정책의 비교 분석, 인적자본·혁신·성장·지속가능발전 간의 상호작용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학은 저에게 매우 흥미로운 연구 영역입니다. 한국의 성장·교육·현대화 경험을 탐구하고, 이를 모로코와 아프리카 환경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한국학 연구자로서 제 목표는 한국의 경제·교육·사회적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동시에, 한-모로코 간 학술 공동 프로젝트와 인적 교류, 학술적 교환을 강화해 모로코와 아프리카 학생들에게 한국학을 확산시켜 학문적·문화적 시야를 넓히는 것입니다. Q. 모로코에서 한국학을 연구하시게 된 계기와 함께 한국학이 현지 학문 및 사회와 어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보셨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당시 모로코 사회 전반에서 한국학에 대한 관심과 인식은 어떠했는지도 말씀 부탁드립니다. 제가 한국학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짧은 기간에 사회와 경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한국의 발전 모델을 이해하고자 하는 갈망이었습니다. 한국 사례는 교육·산업화·거버넌스의 전략적 선택이 한 나라를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 생각합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학은 모로코가 직면한 포용적 성장, 인적자본 활용, 교육·연구의 발전, 국제 개방 등 여러 과제를 조망해 볼 수 있는 좋은 틀이며, 이를 통해 모로코 사회에 새로운 방향과 영감을 줄 수 있다고 확신했습니다. 제가 한국학에 관심을 두었을 당시 모로코에서는 K-pop과 한국 드라마 등 대중문화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지만, 학문적으로는 아직 초기 단계였습니다. 그러나 체계적인 협력사업과 특히 우리 대학의 한국학연구센터 설립을 계기로 한국학은 다양한 가시적 성과를 내며 학문적 정당성도 점차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즉 모로코에서 한국학은 단순한 문화적 호기심을 넘어 학술과 문화외교 영역에서 유망한 학문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여러 문화를 소개하는 전시회 현장 (2025년) Q.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을 수행하시면서 예상치 못하게 현지에서 큰 반향을 일으킨 활동이나 성과가 있었다면 소개해 주실 수 있을까요? 이러한 성과를 가능하게 했던 주요 프로그램이나 활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함께 소개 부탁드립니다. 저희 이븐 토파일 대학교에서 시작된 “해외한국학씨앗형” 프로젝트는 모로코에서 한국학 교육·연구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한국과 모로코 간 학술협력을 강화하고, 학생들에게 한국적 경험을 알리며, 이 신생 분야를 위한 제도적 공간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2024년 12월 10일, 주모로코 윤연진 대사와 모하메드 라르비 케르켑(Mohamed Larbi KERKEB) 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학 내 한국학연구센터(Centre des Études Coréennes)를 설립하였습니다. 이 센터는 학생·연구자뿐 아니라 모로코의 제도·문화 분야 관계자들에게도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사회과학 전공 학생들이 한국의 역사·문화·발전 모델에 대해 진정한 호기심을 보였습니다. 이븐토파일대학교 한국학연구센터 개소식 현장 (2024년12월) 한국학 관련 주제를 발표하고 있는 대학원생들 (2025년) 이러한 관심은 박사과정생들의 연구 주제로까지 확산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수미아 레프누네(Soumia Lefnoune) 학생은 “물관리 기술 효율성이 수자원 스트레스 관리에 기여하는 방식 – 한국사례를 중심으로”(La contribution de l’efficacité des techniques de gestion de l’eau au management du stress hydrique : le cas de la Corée du Sud), 엘 마문 바크림(El Mamoun Bakrim) 학생은 “의료서비스 질이 보건 시스템 거버넌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례-”(La contribution de la qualité de l’offre de soins à la gouvernance du système sanitaire : le cas de la Corée du Sud) 라는 주제로 박사논문을 준비 중입니다. 또한 마리엠 리우아에딘(Mariem Liouaeddin) 교수는 대학원생을 위해 <한국 경제모델> 강의를 개설하여 매 학기 20명 이상의 석사 과정생이 한국학을 수강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국제 워크숍, 학술교류, 장학금 제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연구·제도협력을 지원하며, 한국학연구센터는 문화 간 대화와 공공정책·거버넌스·지속가능발전 연구의 중심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Q. 모로코 내 현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진 연구·교육 활동 중, 해외 한국학 확산에 가장 기여한 사례는 무엇이라고 평가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주요 기여 사례는 <모로코-한국 협력 워크숍> 기획 시리즈입니다. 이 시리즈는 2025년 10월 25일 예정된 국제학술대회의 준비 단계로 기획되었습니다. 워크숍에서는 한국․모로코․아프리카의 경험을 비교․논의하며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 교육 등 전략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의 장을 확보하였고, 그 결과를 한국 및 아프리카 여러 대학과 공유하였습니다. 또한 한국과 아프리카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해 한국의 경제, 문화, 디지털 등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도 마련했습니다. 이 워크숍 시리즈는 국제학술대회로 확장될 예정으로, 모로코뿐 아니라 아프리카 학계에서도 한국학의 입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모로코-한국 양국 간의 협력을 도모하는 워크숍 현장 (2025년) Q.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을 통해 한국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학문적 흥미를 넘어 삶이나 진로에 긍정적 영향을 받은 사례가 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현재 우리 대학 학생들은 한국학연구센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K-pop과 한국 드라마 등 문화적 흥미에서 출발했지만, 워크숍과 한국 경제·사회 강의를 통해 학문적 호기심이 점차 커졌습니다. 일부 학생은 연구 주제를 한국 관련 연구로 전환하기도 하였습니다. 이처럼 한국학은 모로코 학생들에게 단순한 관심사를 넘어 학문적·개인적·직업적 발전의 지렛대가 되고 있으며, 연구와 문화 간 대화를 넓혀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Q. 모로코에서 한국학 연구를 확대해 나가는 과정에서 얻은 통찰이나 Tip을 다른 해외 한국학 연구자들에게 전하신다면, 가장 강조하고 싶은 점은 무엇인지 말씀해 주세요. 한국학은 단순한 전공이 아니라 문화 간 대화와 국제협력의 도구로 인식하고, 이를 통해 지식의 공동 구축과 지적․인적 교량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한국학은 아프리카 현지 대학과 학계에 뿌리내려 각 국가의 현실을 반영할 수 있는 영감으로 기능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경제·정치·사회·역사·문화가 교차하는 폭넓은 이해와 다양한 대상을 포용할 수 있도록 학제 간 연구를 장려해야 하며, 학생들과 젊은 연구자들의 호기심과 역동성이 한국학의 지속성을 뒷받침하는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전북대학교와 ‘모로코 차세대 한국학 전문가 육성사업’ 공동 수행을 위해 협력하며 이븐토파일대학교 한국학연구센터 설립과 공동 학위제 운영을 논의한 현장 기념촬영 (2023년 5월) Q. 질문에 대해 답변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과 국내외 한국학 연구자들, 한국학과 학생들 또는 한국학진흥사업단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 한국·해외 연구자들에게: 우리의 힘은 협력과 네트워크에 있으며, 각 지역의 고유한 관점이 한국학 세계를 더욱 풍요롭게 합니다. • 학생들에게: 여러분의 호기심과 참여가 필수적이며, 여러분이 문화·학문 교류의 진정한 주역입니다. • 한국학진흥사업단에: 전 세계 연구자와 기관을 꾸준히 지원하여 이 분야를 구조화·확산하는 데 기여해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한국 측 파트너(조화림·김덕수 교수님), 이븐 토파일 대학 연구팀과 동료 교수님들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한국학은 오늘 날 역동적이고 열린 학문 분야로, 한국 경험을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고 사회 간 학문·문화적 대화를 풍부하게 합니다. 한국학이 앞으로도 한국과 세계를 잇는 지속가능한 대화·이해·협력의 가교가 되기를 바랍니다. Meeting with Korean Studies Scholars Abroad Hindou BADDIH (Ibn Tofail University, Morocco) Q.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My name is Hindou Baddih, and I am a professor in the Faculty of Economics and Business Management at Ibn Tofail University in Kénitra, Morocco. My main research areas are development economics, environmental economics, public policy, and social dynamics related to contemporary economic and environmental changes. Recently, my research has focu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policie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human capital, innovation, grow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rom this perspective, Korean Studies is a very fascinating field of research for me. As I explore Korea’s experience of growth, education, and modernization, I’m considering how this could be applied in the Moroccan and African context. My goal as a Korean Studies researcher is to deeply understand Korea’s economic, educational, and social experience, while simultaneously strengthening both joint academic projects and human/scholarly exchange between Korea and Morocco, and expanding Korean Studies to students in Morocco and Africa to broaden their academic and cultural horizons. Q. I’m curious about what led you to research Korean Studies in Morocco, how do see Korean Studies connecting with local scholarship and society, and what the level of interest and recognition of Korean Studies was in Moroccan society at the time? What led me to become interested in Korean Studies was my desire to understand Korea’s development model, which fundamentally transformed society and the economy in a short period of time. I believe the Korean cas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that shows how strategic choices in education, industrialization, and governance can transform a country. In this regard, I was convinced that Korean Studies provides an excellent framework examining various challenges facing Morocco, such as inclusive growth, the utilization of human capital, advancement in education and research, and international openness, and could offer new directions and inspiration to Moroccan society. When I first became interested in Korean Studies, popular culture like K-pop and Korean dramas were gaining popularity among young people in Morocco, but academically it was still in its early stages. However, through systematic cooperation projects, particularly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er for Korean Studies at our university, Korean Studies has been producing various visible outcomes and gradually security academic legitimacy. In other words, Korean Studies in Morocco is positioning itself as a promising academic field in the realms of scholarship and cultural diplomacy, beyond mere cultural curiosity. Q. Could you introduce any activities or outcomes that unexpectedly resonated with locals while implementing the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Please also introduce the key programs or activities that made such outcomes possible. The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project launched at Ibn Tofail University aime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Korean Studies education and research in Morocco. The core objectives were to strengthen acade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Morocco, introduce Korean experiences to students, and create an institutional space for this emerging field. To achieve this, we established the Center for Korean Studies (Centre des Études Coréennes) within the university on December 10, 2024, with attendance from the South Korean ambassador to Morocco Yun Yeon-jin and the university president Mohamed Larbi Kerkeb. Our center attracted significant interest not only from students and researchers but also from those involved in Morocco’s institutional and culture sectors. In particular, social science students showed genuine curiosity about Korea’s models of history, culture, and development. This interest has extended to the research topics of our doctoral students. For example, student Soumia Lefnoune is preparing her doctoral dissertation on “The Contribution of Water Management Technology Efficiency to Water Stress Management: The Case of South Korea” (La contribution de l’efficacité des techniques de gestion de l’eau au management du stress hydrique : le cas de la Corée du Sud), while El Mamoun Bakrim is working on “The Impact of Healthcare Service Quality on Health System Governance: The Korean Case” (La contribution de la qualité de l’offre de soins à la gouvernance du système sanitaire : le cas de la Corée du Sud). Additionally, Professor Mariem Liouaeddin has established a course titled “The Korean Economic Model” for graduate students, with over 20 master’s students taking Korean Studies each semester. In addition, we support educational, scholarly, and institutional cooperation through various programs, such as international workshops, academic exchanges, and scholarships. Our Center for Korean Studies is establishing itself as a central space for intercultural dialogue and research on public policy, governa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Q. Among the scholarly and educational achieved through cooperation with local institutions in Morocco, what do you consider to be the case that mos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Korean Studies abroad? The main contributing case is the “Morocco-Korea Cooperation Workshop” planned series. This series was designed as a preparatory stage for an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scheduled for October 25, 2025. The workshops secured new research venues in strategic fields such as sustainable development, governance, and education by comparing and discussing the experiences of Korea, Morocco, and Africa, and the results were shared with several universities in Korea and Africa. In addition, i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experts from Korea and Africa to participate together in recognizing the academic importance of diverse fields such as Korea’s economy, culture, and digital sectors. This workshop series is expected to be expanded into an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 and I anticipate it will serve as a catalyst for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Korean Studies not only in Morocco but in African academia more broadly. Q. Please share any example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Studies Program through the Seed Program of Korean Studies who were positively influenced in their lives or careers beyond mere academic interest. Currently, students at our university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our Center for Korean Studies activities. Initially, they started with cultural interest in K-pop and Korean dramas, but through workshops and lectures on Korean economy and society, their academic curiosity has gradually grown. Some students have even changed their research topics to be related to Korea. In this way, for Moroccan students, Korean Studies has become more than just an area of interest, now serving as a lever for academic,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playing a role in broadening research and intercultural dialogue. Q. What insights or tips gained while expanding Korean Studies research in Morocco would you most like to emphasize to other overseas Korean Studies researchers? I believe Korean Studies should be recognized not merely an academic discipline but as a tool for intercultural dialogu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through which it should play a role in the joint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serve as an intellectual and human bridge. In particular, Korean Studies must take root in local African universities and academia to function as an inspiration that can reflect the realities of reach country. To this end, we must encourage a broad understanding that intersects economics, politics, society, history, and culture, and promote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at can embrace diverse subjects. I also think it's important to actively encourage participation so that curiosity and dynamism of students and young researchers can serve as the driving force that supports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studies. Q. Thank you for answering our questions. In conclusion, please share a word with the online newsletter’s readers, Korean Studies researchers and students both in Korea and abroad, and the KSPS. • To researchers in Korea and overseas: Our strength lies in cooperation and networks, and each region’s unique perspective makes the world of Korean Studies even richer. • To students: Your curiosity and participation as essential, and you are the true protagonists of cultural and academic exchange. • To KSPS: Thank you for your contribution to structuring and expanding this field through your consistent support of researchers and institutions worldwide. • To partners in Korea, Professors Jo Hwa-rim and Kim Deok-su, and the research team and fellow faculty at Ibn Tofail University: I extend my deepest gratitude to you as well. Korean Studies today is a dynamic and open academic field that goes beyond understanding the Korean experience to enrich scholarly and cultural dialogue between societies. I hope that Korean Studies will continue to serve as a bridge for sustainable dialogue,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connecting Korea and the world.00125
- Vol 95. 국내 한국학자를 만나다: 서울대학교 강원택 연구책임자In Korean Studies Interview·2025년 9월 23일한국학진흥사업단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의 지원을 통해 한국학술총서를 집필하신 강원택 연구책임자님의 인터뷰 입니다. 강원택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연구책임자 ●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20세기한국학술총서 ● 과제명 제 5 공화국 연구 ●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대한민국) ● 연구기간 2021-06-01 ~ 2023-05-31 (24개월) Q. 한국학진흥사업단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을 위해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에서 한국정치, 정당, 선거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한국정치를 비교정치적 관점에서 학문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 한국의 고유하고 독특한 특성이나 역사가 아니라, 다른 민주주의 국가와 비교가능한 방식으로 한국 정치를 바라보고 분석해야, 우리 정치의 제도적 특성이나 작동 방식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오늘날의 한국 정치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 정치가 걸어온 역사적 과정이나 과거 시대의 정치적 맥락을 살펴봐야 한다고 생각하고, 그런 관점에서 현대한국정치사를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국 정치의 양극화와 갈등을 어떻게 해소하고 한국 민주주의가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에 대해 학문적 관심을 갖고 살펴보고 있습니다. 강의를 진행하고 있는 강원택 연구책임자의 모습 (2021년 10월) Q. 선생님께서는 제5공화국 시기를 연구 주제로 삼으셨습니다. 이 시기는 민주화 운동이나 시민 저항에 집중된 연구가 많았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왜 이 시기를 연구를 통해 체계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사실 제5공화국 시기는 연구자들이 방기(放棄)했다고 할까요. 그동안 많이 다뤄지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된 데에는 전두환 정권에 대한 강한 거부감, 그리고 전두환을 통치자로 인정하기 싫은 불편함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전두환 정권은 ‘태어나서는 안 됐던 잉여 정권’으로 부르는 연구자도 있었습니다. 마찬가지 이유로 이 시기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전두환 정권에 대한 저항, 민주화 운동을 다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전두환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 이후 1988년 2월 24일 87년 체제 첫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날까지 나라를 통치했던 통치자였습니다. 그 시간은 무려 8년 4개월이나 됩니다. 이 시기에 우리 사회는 제5공화국이라는 통치 체제하에서, 억압적이었지만, 많은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었고, 그러한 변화 중 적지 않은 것들이 그 이후 우리의 삶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이 시기에 일어난 일에 대해, 저항 수준을 넘어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살펴봐야 한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Q. 2021년부터 2년간 한국학진흥사업단의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20세기 한국학술총서 분야> 연구를 수행하셨고, 그 결과물로 『제5공화국』을 출간하셨습니다. 이 책의 주요 내용을 독자들께 소개 부탁드립니다. 책 『제5공화국』표지 이 책 저술 과정에서 제가 가졌던 핵심 질문은 “왜 1979년 박정희 사망 이후에는 민주화가 되지 않았는데, 제5공화국 시기를 거친 후 민주화를 이뤘을까”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애매했던 제5공화국의 정치사적 의미를 찾는 질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1979년 10.26 사건 이후 민주화가 될 수 있었는데 전두환 때문에 안 됐다고 하는 주장은, 당시 상황을 너무 단순화한 것이고, 또 전두환의 영향력을 과대평가한 것입니다. ‘서울의 봄’이 무너진 책임을 전두환이라는 한 명의 ‘악당’에게 전가하는 것은, 당시 정치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맡거나 영향력을 가졌던 이들에게는 아무런 책임이 없다는 말이 됩니다. 또한 당시 국민은 어떤 입장이었는지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이 전두환 정권에게 면죄부를 주는 건 결코 아니지만, 당시 우리 사회는 민주화로 나아갈 충분한 조건이 마련되지 못했다고 봅니다. 이 책에서는 제5공화국 시기를 거치면서 우리 국민이 민주화에 대한 염원을 갖게 되었다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광주민주화운동과 신한민주당의 돌풍을 몰고 온 1985년 12대 국회의원 선거를 제시합니다. 광주민주화운동은 군의 오랜 정치적 지배에 대한 거부와 단절로 이끌었고, 선명 야당의 부상과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라는 어젠더는 정치적 변화를 향한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이 두 사건과 제5공화국 시기에 발생한 사회경제적 변화가 함께 맞물려 우리 사회가 민주화로 나아가게 되었다고 주장합니다. Q. 책『제5공화국』에서는 제5공화국이 남긴 정치적·사회적 흔적과, 민주화로 향하는 전환점을 중심으로 다양한 주제를 다루셨습니다. 이 가운데 특히 주목해야 할 쟁점이나 연구 과정에서 새롭게 드러난 부분이 있다면 들려주실 수 있을까요? 첫 째는, 최규하 대통령의 역할에 대한 것입니다. 최 대통령은 전두환 정권에 의해 강제로 쫓겨난 탓에 피해자로서의 이미지가 강했는데, 이 연구에서는 최 대통령이 정치적 욕심을 갖고 있었고 5.17 계엄 확대 당시에도 자발적으로 협력했다는 점입니다. 위태로운 시기에 중요한 직책을 맡고 있던 최 대통령 역시 ‘서울의 봄’이 무너지는 데 일조를 했습니다. 두 번째, 6월 항쟁의 성공 요인 중에 전두환이 미국의 압력으로 군의 출동을 자제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그보다 중요한 요인은 우리 군 내부의 군 동원에 대한 강한 거부감이 있었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병력을 관장하는 고위 장교층에서 군의 동원에 부정적이었고 전두환은 군을 출동시키면 그것이 자신을 향할 수도 있다는 분위기를 느끼고 군 출동을 포기했습니다. 세 번째, 1985년 12대 국회의원 선거, 즉 2.12 총선 결과에 대한 사회경제적 분석입니다. 도시화, 고등교육, 중산층 성장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민주화는 ‘운동에 의한 민주화’라기보다 민주화 세력을 하나로 모으는 어젠더를 던지고 이끌어 간 야당 지도자들과 6월 항쟁 중 적극 참여하게 된 중산층의 역할이 더욱 중요했다는 점입니다. 전례 없는 '불확실성의 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의 삶이 반영된 올해의 책 10권에 포함된 책「제5공화국」(2024년) Q. 제5공화국과 관련된 자료 확보나 해석의 어려움이 적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연구 과정 중에 직면하셨던 주요 어려움은 무엇이었고, 이를 어떻게 풀어나가셨는지 궁금합니다. 처음에는 생존해 있는 당시 주요 인물들과의 인터뷰를 계획했습니다. 기존 연구 성과가 많지 않고 남겨진 당시의 핵심 자료도 많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인터뷰 대상자 중 세상을 떠났거나 노령으로 인터뷰가 어려운 분들이 많고, 그나마 인터뷰를 한 분들도 당시 상황을 곡해하거나 사후적으로 정당화하는 경향이 있어 어려움이 컸습니다. 대신 그 시대를 사셨던 분들이 남긴 회고록이나 자서전을 찾아서 당시 상황을, 서로 대조하면서, 모자이크처럼 조립해 가는 방식으로 풀어 나갔습니다. 동아일보를 비롯한 당시 언론 기사 역시 당시 상황과 맥락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Q. 이번 연구가 제5공화국에 대한 이해를 넘어 한국 정치사 전반을 바라보는 데 어떤 기여를 하길 바라시는지요? 또 앞으로 이어가고자 하시는 후속 연구 과제나 관심 분야가 있으시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제가 현대한국정치사에 대한 대학원 수업을 할 때 제5공화국 시기의 학문적 공백을 처음 느꼈습니다. 수업 시간에 마땅히 읽힐 자료가 없었습니다. 그런 점에서 소홀하게 다뤄졌던 우리 역사의 한 시기를 본격적으로 다뤄봤다는 데서 의미를 찾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 시대에 대한 후속 연구들을 통해 한국 민주화에 대한 보다 폭넓은 학문적 논의가 생겨나기를 기대합니다. 현재는 제헌국회의 활동을 새로운 관점에서 분석하고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올해 말까지는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하지만 마감일은 언제나 불투명합니다^^) 그 이후에는 1945년 이후의 한국정치사를 인물이나 정권 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에서 정리하고 싶은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제5공화국 기념주화 (통영시립박물관 소장품) Q. 질문에 답변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과 국내외 한국학 연구자들, 한국학과 학생들, 그리고 한국학진흥사업단에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우선 한국학진흥사업단에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오래전부터 제5공화국을 한번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싶다는 생각만 갖고 있었는데, 사업단의 지원으로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또 완수할 수 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무척 하고 싶었던 연구를 할 수 있게 지원해 주신 데 대해 감사드립니다. 한국학이 한국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것이지만 한국적 특수성이나 독특함만을 강조하는 것으로는 폭넓은 이해와 공감을 얻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커진 만큼 이런 점은 더욱 중요합니다. 한국의 주제를 담으면서도 비교가능하고 보편성 있는 해석과 설명을 찾아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Meeting with Korean Studies Scholars KANG Won-taek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Q.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Hello. I teach about Korean politics, political parties, and elections in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m interested in academically analyzing and evaluating Korean politics from a comparative politics perspective. I believe that we can properly assess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al mechanisms of Korean politics only by viewing and analyzing it in a way that is comparable with other democratic countries, rather than focusing on Korea’s unique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r history. I also believe that to properly understand today’s Korean politics, we must examine the historical processes Korean politics has undergone and the political contexts of past eras. It’s from this perspective that I research and teach modern Korean political history. Recently, I’ve been examining with academic interest how to resolve polarization and conflicts in Korean politics and how Korean democracy can escape from crisis. Q. You’ve choses the Fifth Republic period as the subject of your research. I understand much research on this period has focused on democratization movements or civic resistance, so I’m curious why you thought this period needed to be systematically examined through research? In fact, researchers have abandoned the Fifth Republic period, so to speak. It hadn’t been covered much until now. This happened because of a strong rejection toward the Chun Doo-hwan regime, as well as the discomfort of not wanting to recognize him as a ruler. Some researchers have even called the Chun Doo-hwan regime a “surplus regime that should never have been born.” For these reasons, most research on this period deals with democratization movements and resistance against the regime. However, realistically, Chun Doo-hwan was the ruler who governed the country from after President Park Chung-hee’s death on October 26, 1979, until the day before the first president of the 1987 system took office on February 24, 1988—a period that lasted as long as eight years and four months. During this time, Korean society underwent many oppressive but inevitable changes under the governance system known as the “Fifth Republic,” many of which continue to have lasting effects on the lives of the Korean people. It was in this regard that I thought we should examine what happened during this period from a broader perspective that goes beyond the level of “resistance.” Q. From 2021 to 2023, you conducted a 20th-Century Korean Academic Series project as part of the Grand Series of Korean Studies Program, publishing the book Je 5 Gonghwaguk (The Fifth Republic). Please introduce the main content of this book to our readers. The core question I had while writing this book was “Why didn’t democratization occur after Park Chung-hee’s death in 1979, but was achieved after going through the Fifth Republic period?” I thought this question would help find the political-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Fifth Republic and this ambiguity. The argument that democratization could have happened after the incident on October 26, 1979, but didn’t because of Chun Doo-hwan oversimplifies the situation at the time and overestimates Chun Doo-hwan’s influence. Placing responsibility for the collapse of the “Seoul Spring” on a single “villain,” Chun Doo-hwan, means that those who played politically important roles or had influence at the time bore no responsibility. We also need to examine the positions taken by the citizens at the time. While this perspective by no means gives the Chun Doo-hwan regime absolution, I believe that Korean society at the time had not established sufficient conditions to move toward democratization. This book argues that through he experience of the Fifth Republic period, Korean citizens gained aspirations for democratization. It presents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and the 1985 Twelf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which brought the whirlwind of the New Korea Democratic Party, as events that had important influence in this process.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led to the rejection of and severance from the military’s long political domination, while the rise of a clear opposition party and the agenda of a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direct presidential elections” presented goals toward political change. I argue that these two events, combined with the socioeconomic changes that occurred during the Fifth Republic period, led Korean society toward democratization. Q. In the book, you covered various topics centered on the social and political traces left by the fifth Republic and the turning points towards democratization. Among them, are there any particular issues that deserve attention or newly revealed aspects from your research process that you could share? The first is regarding the role of President Choi Kyu-hah. President Choi had been seen primarily as a victim because he was forcibly ousted by the Chun Doo-hwan regime, but this research revealed that he had political ambitions and voluntarily cooperated even during the May 17 expansion of martial law. As someone who held an important position during a precarious time, President Choi also contributed to the collapse of the “Seoul Spring.” Second, among the success factors of the June Uprising, it was known that Chun Doo-hwan restrained military deployment due to U.S. pressure. But a more important factor was the strong resistance to military mobilization within the Korean military. In reality, high-ranking officers in charge of troops held negative opinions about military mobilization, and Chun Doo-hwan sense that if he deployed the military, it could turn against him, so he abandoned its deployment. The third regards the socioeconomic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Twelf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1985, namely the February 12 general election. Urbanization, higher education, and the growth of the middle class influenced the election results. In relation to this, Korean democratization was not so much “democracy by movement.” Rather, what was more important was the role of opposition leaders, who presented and led agendas that unities democratic forces, and the middle clas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June Uprising. Q. I imagine there were significant difficulties in obtaining or interpreting materials related to the Fifth Republic. What were the main difficulties you fac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and how did you overcome them? Initially, I planned to conduct interviews with key figures from that time who were still alive, as there weren’t many existing research findings or key remaining materials from the time. However, many of the interview subjects either passed away in the interim or were difficult to interview due to old age, and even those whom I was able to interview tended to distort the situation at the time or justify it post hoc, which created significant difficulties. Instead, I resolved this by finding memoirs or autobiographies left by people who lived through the era and assembling the situation of the time like a mosaic, cross-referencing them with each other. Newspaper articles from that time, including those from the Dong-A Ilbo, also were a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period. Q. How do you hope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o Korean political history in general, beyond just the Fifth Republic? Also, please share any follow-up research projects or areas of interest you’d like to persue. I first felt the academic void regarding the Fifth Republic period while teaching graduate courses on modern Korean political history. There were no appropriate materials to assign for class reading. In that regard, I’d like to find meaning in having thoroughly addressed a period of Korean history that had been neglected. And I hope that through follow-up research on this era, broader academic discussions about Korean democratization will emerge. Currently, I’m conducting research that analyzes and evaluates the activities of the Constitutional Assembly from a new perspective. My goal is to complete it by the end of this year. (Though deadlines are always unclear.^^) After that, I’m thinking of organizing the history of Korean politics since 1945 from a new perspective that moves away from figure-centered or regime-centered viewpoints. Q. Thank you for answering our questions. In conclusion, please share a word with the newsletter’s readers, Korean Studies researchers and students both in Korea and abroad, and the KSPS. First,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to KSPS. I had long thought of conducting a thorough study of the Fifth Republic, but with KSPS’s support, I was able to finally start and complete this project. I’m grateful for the support that allowed me to conduct research I personally very much wanted to do. While Korean Studies involves research on the subject of Korea, I believe it is difficult to gain broad understanding or empathy by emphasizing only Korean particularizes or uniqueness. This point becomes even more important as global interest in Korea has grown. I think we need to make efforts to find interpretations and explanations that are comparable and universal while still covering Korean topics.0047
- [성과] 2025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4선 선정In KSPS Outcome·2025년 9월 17일우수학술도서 선정·지원 사업은 기초학문분야의 우수 학술도서를 선정하여 대학에 보급함으로써 우수 연구성과를 공유‧확산하고, 기초학문 분야 연구 및 저술활동을 활성화하고자 2002년도부터 추진해온 사업입니다. 한국학진흥사업의 지원을 받아 선정된 우수학술도서는 총 4개입니다. 1. <인문학분야> 근대한국학의 뿌리와 갈래(육영수 저) 2019년 선정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근대 한국학의 서구적 기원과 일본 식민시대 조선학의 계보: 지식·권력·역사" 과제 최종결과물 마한 분구묘의 이해(김승옥 저) 2019년 선정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마한 분구묘의 이해" 과제 최종결과물 하곡학파의 형성과 전개(이남옥 저) 2019년 선정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하곡학파(霞谷學派)의 형성과 전개" 과제 최종결과물 2. <사회과학분야> 성스러움의 정치학(하상복 저) - 2019년 선정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한국정치와 신성한 언어의 탄생 그리고 진화 - 신성화와 탈신성화의 정치학" 과제 최종결과물 현재 한국학진흥사업에서는 한국학대형기획총서의 3개 분야(20세기한국학술총서, 21세기한국문화총서, 한국예술총서)를 통하여 전문가들의 역량이 깃든 저술출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전문보기 출처 : 대한민국학술원(https://www.nas.go.kr/)0078
- [성과] 2025 투어링 케이-아츠(Touring K-Arts) ‘느껴봐! 한국 전통춤의 Vibe: K-Dance 문화 속으로’In KSPS Outcome·2025년 9월 17일2025 투어링 케이-아츠(Touring K-Arts) 지난 8월 30일, 주필리핀한국문화원(원장 김명진, 이하 ‘문화원’)은 아테네오 데 마닐라 대학교에서 ‘느껴봐! 한국 전통춤의 Vibe: K-Dance 문화 속으로’ 강좌를 개최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국내 우수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해외에 소개하기 위해 ‘2025 투어링 케이-아츠(Touring K-Arts)’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되었다. 강연은 아테네오 한국학 프로그램(Ateneo Korean Studies Program)과 퀘존시티2 세종학당(Ateneo King Sejong Institute) 참여 학생 8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강연자로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춤문화 연구자이자 중앙대 중앙사학연구소 연구교수인 양민아 교수가 함께했다... 전문보기 출처: 주필리핀한국문화원(https://phil.korean-culture.org/ko)006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