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뉴스레터
Newsletter
검색 결과
77 results found with an empty search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K학술확산연구소사업 사업명 K학술확산연구소사업 과제명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연구책임자 안숭범 주관연구기관 경희대학교 발행년월 2023.12.31. 저서명 K컬처 트렌드 2024 저자 고윤화 고일권 김선영 김소원 김영대 김형석 배동미 백태현 이현경 정덕현 정명섭 정민아 조일동 조한기 출판사 미다스북스 초록 각 분야에서 활약하는 평론가, 창작자, 기자 등을 모아 『K컬처 트렌드 2023』을 냈던 이들이 다시 한 번 모였다. 이번에는 웹툰까지 포함하여 부문을 확대했고, 드라마 부문에서는 예능까지 포괄하여 내용을 풀어냈다. 저자들은 앞으로도 매년 K컬처, 한국 대중문화의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전문가다운 식견으로 미래를 전망해보고자 한다. 현장의 창작자와 아티스트들, 그리고 K대중문화를 사랑하는 애호가들이 귀 기울일만한 이슈들로 가득하다. 경계에 있는 K컬처를 예리하게 분석하고 자신감 있게 예측한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한국의 명산문화 연구 연구책임자 최원석 주관연구기관 경상국립대학교 발행년월 2024.09.25. 저서명 한국의 명산문화 연구 저자 최원석 출판사 역사공간 초록 한국에서 명산문화는 오랜 전통을 지닌 유·무형적 유산으로서, 많은 관련 문헌과 역사경관이 현존하기에 학술적 연구 가치가 충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학계에서 명산문화의 개념은 물론이고 연구모델 정립을 위한 본격적인 논의도 시도된 바가 없다. 이 책은 한국 명산문화의 본격적인 연구 필요성을 사회와 학계에 제기하는 한편, 바람직한 연구 설계 및 방법론 수립을 통해 새 지평의 연구영역 제시를 위한 모색이다. 왜 한국의 명산을 문화적으로 접근하고 연구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는 역사적으로도 분명하다. 한국에서 명산은 수천 년동안 사람들이 깃들어 살면서 ‘인간화(humanization)’되었기 때문이다. 오래도록 ‘사람의 산’으로서 역사와 문화가 독특하게 빚어졌기에, 사상적으로 불교는 산악불교의 모습을 갖추었고, 유교는 산림유학의 전통을 지녔으며, 풍수도 산지풍수로 발전되었다. 사회적으로는 산림경제와 산지주거 양식이 형성되었다. 한국에서 명산문화는 천년의 세월을 축적하면서 시간적으로 역사는 깊어졌고, 공간적으로 경관은 다채로워졌다. 그래서 한국의 명산은 문화역사적으로 접근하고 조명해야 가장 적합한 개념구성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명산문화에 대한 관점과 명산 연구에 대한 태도는 본문의 일관된 기조를 이룬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해외한국학자를 만나다: 폴란드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Tomasz Wilczyński (폴란드) 세부사업명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초기단계(Beginning Track) 과제명 폴란드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한국학과 기반 강화 및 폴란드 내 한국 문화 증진 연구수행기관 연구기간 Uniwersytet Jagiellonski(Jagiellonian University) 2023. 6. 1. ~ 2026. 5. 31. (36개월) 1. 안녕하세요. 먼저 한국학진흥사업단 뉴스레터 독자들을 위해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폴란드 국적의 토마쉬 빌츠니스키(Tomasz Wilczyński)라고 합니다. 저는 바르샤바에 위치한 세종대왕고등학교를 졸업하였고, 당시 우리 고등학교가 한국의 계명대학교와 자매결연 관계를 맺고 있었기에 고등학교 졸업 후 계명대학교에서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한국에서 유학을 시작했습니다. 계명대학교에서는 한국문화정보학과 정치외교학을 복수 전공했습니다. 학부 졸업 후에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에서 동양정치사상을 전공했습니다. 석사과정을 마친 후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어교육학과 박사과정에 입학했습니다. 학과에서 한국의 언어·문화 교육 및 통번역 관련 연구에 몰두하며 최종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이후 폴란드에 귀국하여 야기엘론스키 대학교의 한국학과에 교수로 임용되어, 현재까지 이곳에서 근무 중에 있습니다. 2. 선생님께서 한국학 분야에서 연구 및 교육활동을 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으신가요? 어렸을 적부터 컴퓨터에 관심이 많아,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 즉 E스포츠를 통해 한국과 한국 문화를 처음으로 접했습니다. 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바르샤바에 위치한 세종대왕고등학교에 입학하여 3년 동안 한국어를 배웠습니다. 이곳에서 한국어를 배우면서 한국 문화에 대해 더욱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2006년, 계명대학교로 유학을 결심했습니다. 한국에서 유학하면서 본격적으로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직접적으로 접하게 되었고 한국의 E스포츠를 넘어 한국이라는 나라의 이모저모가 궁금해지기 시작했습니다. 대학에서 수업을 듣고, 한국 친구들을 사귀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을 받아들일 수 있었고, 한국에서 지낼수록 7천여 킬로미터나 떨어져 있는 모국인 폴란드와 한국이 사회, 문화적으로 비슷한 점이 많이 있다고 느꼈습니다. 그리하여 연구자로서 한국학을 더욱 깊숙이 접해보고 싶다는 목표를 품게 되었습니다. 3. 현재 폴란드와 인근 국가의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나 한국학 연구, 교육 현황은 전반적으로 어떤가요? 20세기 말까지 폴란드 내 한국어교육은 바르샤바 대학교의 한국학과( 前 조선학과)에 국한되어 있었습니다. 1989년도에 들어서는 중동부 유럽 내 공산주의 진영의 갑작스러운 붕괴와 함께 폴란드의 한국학 교육에도 큰 변화가 찾아오게 되었습니다. 1990년대 초 바르샤바 대학이 조선학과를 한국학과로 변경하고, 이어서 아담 미츠키에비츠 대학교, 브로츠와프 대학교, 야기엘론스키 대학교 등의 폴란드 유수 국립대학에 한국학과가 설립되었습니다. 한국학과의 설립과 더불어, 폴란드 내의 한국 문화의 인기도 나날이 높아져 가고 있습니다. 주 1회 폴란드 국영 라디오 방송인 ‘Teraz K-pop' (이제는 K-pop)이 2015년부터 방송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매년 대규모의 K-pop 콘서트와 행사 등이 개최되고 있습니다. 폴란드 현지의 높아진 한국 문화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바르샤바에 위치한 주폴란드한국문화원 또한, 한국 문학, 영화, 문화, 언어 등과 관련된 이벤트를 주기적으로 진행하여 폴란드 대중에게 소개하는 역할에 충실히 하고 있습니다. ▶ 바르샤바 대학 한국학과 누리집 주소: http://koreanistyka.orient.uw.edu.pl ▶ 아담 미츠키에비츠 대학 한국학과 누리집 주소: https://filkor.web.amu.edu.pl ▶ 브로츠와프 대학 한국학과 누리집 주소: https://isksio.uwr.edu.pl/studia/studia-stacjonarne-i-stopnia/koreanistyka/ ▶ 야기엘론스키 대학 한국학과 누리집 주소: https://orient.uj.edu.pl/studia/nad-korea ▶ 주폴란드한국문화원 누리집 주소: https://pl.korean-culture.org/ko 4.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을 통해 한국학의 기반을 강화하고 향후 한국학과의 발전을 목표로 하는 여러 연구 활동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학 신규 강의를 개설하거나 장학금을 지원하여 한국 유학을 장려하는 등 학생을 중심으로 한 교육을 확장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눈에 띄는데요. 현재 야기엘론스키 대학교에서 진행하고 있는 여러 한국학 연구, 교육활동에 대한 소개와 그 성과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폴란드의 유서 깊은 도시 크라쿠프에 위치한 야기엘론스키 대학교(이하 동대학)는 1364년에 설립된, 폴란드 고등 교육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명문 대학입니다. 동대학의 한국학과는 2017년에 정식으로 설립되었으나, 한국어에 대한 교육은 교양 과정으로 이미 2000년부터 실시되어 왔습니다. 동대학에서 한국학 전공자는 3년의 한국학 학사 과정에 이어 2년의 아시아전략학 석사 과정을 통해 한국에 대해 심도 있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과 더불어 2023년부터 시작된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을 통해 학과의 기반을 더욱 강화하는 중에 있습니다. 먼저, 매 학기 사업에 참여하는 공동연구원들이 새로운 강의를 개설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지식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업 기간 동안 총 6개의 새로운 강의가 개설되며, 기존에는 다루지 않았던 분야의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향후 한국학과의 기반이 더욱 탄탄해지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한, 매 학기 2명의 장학생을 선발하고 있는데, 이들에게 지원되는 항목에는 항공료, 생활비, 그리고 기숙사비 등이 포함됩니다. 폴란드의 물가 수준을 고려했을 때 한국에서의 생활은 학생들에게 비용적인 측면에서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한국 유학의 꿈을 접어야 하는 학생들을 자주 보곤 합니다.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을 통해 이들에게 재정적 지원을 해주는 것에 대해 우리는 큰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한국학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연사의 특강을 매 학기 진행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학과는 더욱 강력한 학문적 기반을 형성해 나가는 중에 있습니다. 비용을 고려하여 특강은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현지 학생들의 반응이 뜨겁습니다. 한국 문화의 진흥을 위해 추석, 설날 그리고 한글날 행사를 조직하고 있다는 것 역시 강조되어야 할 부분입니다. 예컨대 송편 및 떡국 등의 전통 음식을 함께 만들어 먹는 행사를 기획했는데, 이를 통해 폴란드 내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극 동아리는 우리가 계획하는 프로젝트 중에 가장 많은 인원이 투입되며, 그만큼 많은 노력과 열정이 한데 모여 있는 곳입니다. 1년 간 총 2회의 연극을 기획했는데, 한국의 전통 문학을 알리기 위해 춘향전과 심청전 공연을 진행했습니다. 특히, 연극은 주변 고등학교와 협업하여 진행 중이기 때문에, 우리가 내세웠던 한국 문화를 진흥하고자 하는 사업 목표와도 부합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한국 기업 및 관련 기관을 방문하는 필드 트립을 연 1회 조직하고 있으며, 학술대회 및 학술서적 출판도 매년 1회씩 계획되어 있습니다. 대중 공개 행사로 매 학기 1회 한국 영화도 상영 중입니다.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으로 현재 우리 대학의 한국학과는 동대학의 중동 및 극동학부에서 가장 돋보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5.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을 수행하면서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처음으로 대규모 연구 사업의 책임자 역할을 수행하면서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습니다. 저뿐만 아니라, 학과 역시 처음으로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니 사업 초반에 혼선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과 구성원들의 도움과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현재까지 동대학의 한국학과 기반을 강화하고, 지역 내에 한국을 알리고자 하는 목표는 잘 이루어지는 중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6. 해외한국학사업을 수행하면서 꼭 이루고 싶은 장기적 목표나 바람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개인적으로는,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을 통해 기반을 잘 구축하여 사업 종료 이후에도 그동안 우리 사업팀이 진행해 오던 활동을 이어가며, 지역 내에 한국 문화를 꾸준히 알려 나가는 데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예컨대, 사업을 통해 처음 시작된 연극 동아리의 활동, 한국의 명절을 알리는 문화 체험 행사 등은 향후에도 지속하고자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7. 폴란드와 인근 권역 국가에서의 한국학 확산과 연구‧교육 활성화를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한국학은 이미 폴란드 및 인근 국가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학과 중 하나입니다. 특히 폴란드의 경우, 한국 기업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어 졸업 이후에 진로 또한 밝습니다. 다만, 우리가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에 지원하게 된 주된 목적이기도 합니다만, 유럽 내의 대학이 대부분 국립 대학이다 보니 학과가 운용할 수 있는 자금에 제한이 있으며, 따라서 학생들과 함께하는 행사 등을 기획하는 데에 그동안 한계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은 우리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던 부분을 채워주는 데에 아주 큰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원 사업이 앞으로도 해외 한국학 교육기관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8. 질문에 대해 답변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과 국내외 한국학 연구자들, 또는 한국학진흥사업단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저를 비롯하여 6명의 공동연구원, 1명의 전문가 등이 현재 야기엘론스키 대학에서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업을 통해 얻은 열매들이 우리 대학만의 성과에 머무는 데 그치지 않고, 지역 사회, 나아가서는 폴란드 내 한국 문화를 진흥하고 한국학 기반을 강화하는 주춧돌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연구책임자로서의 역할을 다해 나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Meeting with Korean Studies Scholars Abroad Tomasz Wilczyński Uniwersytet Jagiellonski(Jagiellonian University) (Poland) 1.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Hello. My name is Tomasz Wilczyński, and I am from Poland. I graduated from King Sejong High School in Warsaw. At the time, our high school had a partnership with Keimyung University in Korea, which allowed me to study abroad in Korea on a full scholarship at Keimyung University for my bachelor’s degree, where I double majored in both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tudies and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fter finishing my undergraduate program, I received my master’s degree in East Asian political thought in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at Korea University. Then, I returned to Keimyung University to get my Ph.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ere I immersed myself in research relating 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as well a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fter graduating, I returned to Poland where I was hired as a professor in the Korean Studies program at Jagiellonian University, where I am still working today. 2. Was there a particular reason that sparked your interest in Korean Studies research and education? Since I had an interest in computers from a young age, it was through e-sports, namely Starcraft, through which I was first introduced to Korea and Korean culture. Based on this interest, I attended King Sejong High School in Warsaw were I studied the Korean language for three years. While learning Korean there, I gained an even greater interest in Korean culture, so in 2006, I decided to study abroad at Keimyung University. While studying abroad in Korea, I was directly introduced 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began to become interested in the various aspects of Korea beyond e-sports. While attending classes at university and making Korean friends, I was able to naturally embrace Korea, and the more time I spent there, I came to feel that there were many social and cultural similarities between Korea and my homeland of Poland, though it is some 7,000 kilometers away. This inspired in me the desire to approach Korean Studies with even more depth as a researcher. 3. In Poland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what is the current interest in Korean culture or what is the overall situation of Korean Studies research and education? Until the late 20th century, Korean Studies in Poland was limited to the Korean Studies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Warsaw. Along with the sudden collapse of the communist bloc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in 1989, Korean Studies education in Poland also underwent great change. In the early 1990s, the University of Warsaw’s Korean Studies program changed its name in Korean from Joseon hakgwa (조선학과) to Hanguk hakgwa (한국학과). Following this, Korean Studies programs began to be established at Poland’s top national universities, including Adam Mickiewicz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Wrocław, and Jagiellonian University.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tudies programs, the popularity of Korean culture in Poland has been increasing day by day. Since 2015, Poland’s national radio has held a weekly K-pop broadcast (‘Teraz K-pop’, “Now it’s K-pop”) and large K-pop concerts and events are held annually. In order to meet the increased demand for Korean culture in Poland, the Korean Culture Center in Warsaw has been dutifully introducing the Polish people to Korean literature, film, culture, and language by holding regular events. ▶ Korean Studies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of Warsaw: http://koreanistyka.orient.uw.edu.pl ▶ Korean Studies Department at the Adam Mickiewicz University: https://filkor.web.amu.edu.pl ▶ Korean Studies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of Wrocław: https://isksio.uwr.edu.pl/studia/studia-stacjonarne-i-stopnia/koreanistyka/ ▶ Korean Studies Department at the Jagiellonian University: https://orient.uj.edu.pl/studia/nad-korea ▶ Korean Culture Center Poland: https://pl.korean-culture.org/ko 4. Through the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your team at Jagiellonian University has undertaken various research activities aimed at strengthening the basis of Korean Studies and advancing the Korean Studies program. Your efforts to expand education also stand out, which includes the launching of new Korean Studies courses and the provision of scholarships for students to study abroad in Korea. Please introduce us to your university’s Korean Studies research and education activities, as well as their outcomes. Located in the historic city of Krakow, Jagiellonian University is one of Poland’s top universities, continuing the Polish tradition of higher education since its establishment in 1364. The Korean Studies program was formally established in 2017, bu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offered as an elective course since 2000.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complete a three-year Korean Studies bachelor’s program and can continue on to a two-year Strategic Studies on Asia master’s program for an even deeper level of learning. In addition to curriculum provided at the university, through the Seed Program which began in 2023, we have been strengthening the basis of the program. First, the joint researcher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are launching a new course each semester, thus passing along diverse knowledge to students. During the project period, a total of six new courses will be offered. Because these contain content in fields that were not covered thus far, they will help to strengthen the basis of the Korean Studies program going forward. Furthermore, we select two scholarship students each semester and provide them with airfare, living expenses, and dormitory fees to study in Korea. Considering the cost of living in Poland, living in Korea can be a significant financial burden for students, and therefore we see many of them give up on their dreams of studying abroad there. Therefore, it is very rewarding to be able to provide them with financial support through the Seed Program. Each semester, we also hold a special lecture by an expert in Korean Studies, allowing us to develop a more intensive scholarly basis for our program. The special lectures, which have been held virtually due to cost considerations, have been well received by our local students. Another aspect worth emphasizing is the Chuseok, Seollal, and Hangeul Day events we have organized to promote Korean culture. For instance, we planned an event for making and eating traditional foods such as songpyeon and tteokguk, and through this, we are helping to inform the Polish people of Korean culture. Among our planned projects, the theater club has involved the most people, and is where the greatest efforts and passion reside. We have planned two plays a year, and have thus far held performances of the Tales of Chunhyang and Simcheong to inform people of Korea’s traditional literature. In particular, because we are doing this in collaboration with the nearby high schools, this activity aligns well with the goal we set to promote Korean culture. Apart from this, we aim to organize one field trip to a Korean company or a related institution, hold one conference, and publish one scholarly book each year. We also screen one Korean film per semester as an event open to the public.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anks to the Seed Program, the Korean Studies program at our department stands out the most among the Middle East and Far East Studies programs at Jagiellonian University. 5. While participating in the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what difficulties have you faced thus far? While carrying out a large-scale research project for the first time, I was forced to face numerous trials and errors. It is also the first time our program faculty have carried out a joint project, so there was some confusion at the beginning. Despite this, I can say that, through the help of the members of the program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we have thus far been able to carry out our goals of strengthening the basis of our university’s Korean Studies program and informing the people of Poland about Korea. 6. What long-term goal or wish do you hope to be achieved during or after this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Personally, I hope that through the Seed Program, we can establish a good basis that would allow us to continue to carry out the activities of our project team and contribute to the local outreach on Korean culture in Poland even after the project period ends. For instance, I hope that the activities of the theater club and the cultural experience events for Korean holidays, which first began in this project, can be sustained and go forward. 7. In Poland and the surrounding countries, what kinds of resources and support do you think are needed to spread Korean Studies, and invigorate research and education. Korean Studies is already one of the most popular majors in Poland and the surrounding countries. Korean companies are very active in Poland in particular, so there are many career opportunities for students after graduation. That being said, our main objective in applying to the Seed Program was that because many of the universities in Europe are national universities, the amount of operation funds a program can receive is limited, and this becomes a barrier when wanting to plan things such as student events. In this regard, the Seed Program has played an enormous role in supplementing those areas we felt were lacking, and it would be great if funding programs like this could continue at overseas Korean Studies education institutions. 8. Thank you for your detailed answers to our questions. In conclusion, please share a word with the newsletter’s readers, Korean Studies researchers both in Korea and abroad, and the KSPS. As our team at Jagiellonian University, which includes myself, six joint researchers, and one expert, continues to carry out the Seed Program, I will do my utmost as project manager to ensure that the fruits obtained through this project are enjoyed not only by our university, but serve to promote Korean culture and strengthen the basis of Korean Studies both in our local area and throughout Poland. Thank you.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사업명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과제명 임진-한탄강 유역 구석기 연구 연구책임자 유용욱 주관연구기관 충남대학교 발행년월 2023.11.23. 저서명 임진-한탄강 유역 구석기 연구 저자 유용욱 출판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초록 이 책은 저자가 직접 수습하고 지난 35년 동안 꾸준히 연구해 온 임진-한탄강 유역의 실물 고고자료를 중심으로 유물의 ‘인식’과 ‘기술’을 거쳐, 이러한 유물의 성격을 자아낸 요인을 ‘설명’하고 이러한 고고현상에 내재하는 의미를 ‘해석’하는 네 가지 단계를 명료하게 담아냈다. 저자는 구석기시대의 고고자료를 그 자체로만 파악할 뿐 ‘한민족의 조상’이 남긴 ‘유구한 역사의 고대 문화유산’ 같은 감정적인 가치 부여를 지양한다. 대신 ‘분석’과 ‘맥락화’라는 두 가지 작업을 통해 자료가 가지는 구체적 배경을 최대한 드러냄으로써 한반도 고인류의 본질에 한 걸음 더 다가간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기존의 이 지역 구석기 연구가 가지고 있었던 유사과학적인 접근을 극복하는 동시에 과학으로서의 고고학에만 머무르지 않고 다수가 수긍하고 공감할 수 있는 ‘올바른 고고학’을 추구했다는 성과를 간직하고 있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한국근대 여성의 재발견 연구책임자 이숙인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발행년월 2024.07.20. 저서명 유교와 여성, 근대를 만나다 저자 이숙인 출판사 모시는사람들 초록 조선사회가 근대로 이행해가던 개항기는 한편에서는 조선의 내외적 위기가 증폭되고 한편에서는 새로운 출발의 의지가 고양된 시기다. 이러한 대변혁 또는 대혼란의 시기에 유교와 여성과 근대는 어떻게 만나고 무엇을 이야기하는가. 전통과 현대의 문제를 내포한 이들의 만남과 갈등 그리고 협상은 여성 인식과 여성 존재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또 근대 공간에서 생성된 근대 여성이라는 개념의 한국적 성격은 어떤 것인가. 이러한 질문을 전제로 유교의 언어로 서술된 개항기 여성 자료를 수합하여 분류했다. 여기서 개항기 여성의 이념과 현실을 포괄적으로 보여주는 세 범주에 주목하게 되었다. 젠더(gender), 성(sexuality), 혼인·가족이 그것이다. 개항기 여성으로 들어가는 각 범주는 전통의 지속과 현대적 변형이라는 두 방향에서 조명되었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동남아시아의 한인과 한인사회: 도전과 정착, 그리고 미래 연구책임자 김홍구 주관연구기관 한국동남아학회 발행년월 2024.01. 저서명 싱가포르 한인사회: 글로벌 한인, 트랜스내셔널 한인 공동체 저자 김지훈 출판사 (주)나남 초록 이 책은 아시아의 선진국, 도시국가이자 글로벌 도시인 싱가포르 한인사회를 현재 기준으로 ‘글로벌 도시 이민사회’로 유형화한다. 그리고 지난 반세기간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싱가포르 한인사회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특징을 탐색한다. 이를위해 연령, 젠더, 이주 이력, 직업, 소득, 여타 사회인구학적 배경이 각양인 한인 구성원의 이주 경험과 실천에 대해 인터뷰하고 관찰한 결과를 분석한다. 자료 수집을 위해 저자는 2017년 1월에서 2023년 2월 사이 매 방학마다 한 달씩,연구학기 기간은 서너 달씩 장기간의 현장조사를 수행했다. 더불어 저자가 지난 20여 년간 런던, 뉴욕, 싱가포르, 방콕 등 여러 국가의 도시와 한국에서 거주하는 서울 인근의 도시를 포함한 다섯 곳 중 두 도시를 오가면서 두 나라에서 동시에 살아온 트랜스내셔널 이주자(transnational migrant)로서의 자기성찰적 경험도 녹아들어 있다. 싱가포르 한인사회 전반에 대한 첫 번째 책이며, 재외 한인사회에 대한 세부 하부 유형을 범주화하여 재외한인 사회 전반에 대한 이론적 공백도 동시에 메운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사업명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과제명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연구책임자 조성혜 주관연구기관 동국대학교 발행년월 2023.02.28 저서명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 번역‧해제집 1~9 저자 방광석, 김윤정, 천지명 출판사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인간과미래연구소 초록 이 총서는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2017년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으로서 진행한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사업의 결과물로서,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을 지역별로 나누어 선별하여 번역, 해제한 것이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국내한국학자를 만나다: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연구책임자 오창현 Oh Chang-hyeon (대한민국) 세부사업명 과제명 연구수행기관 연구기간 한국학기초자료사업 / 한국지역학 빅데이터 연구센터 도서 연안 공동체 관계 문서의 수집과 DB 구축 목포대학교 (Mokpo National University) 2023. 6. 1. ~ 2026. 5. 31. (36개월) 1. 안녕하세요. 먼저 한국학진흥사업단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을 위해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오창현이라고 합니다. 저는 경기 양평 산촌 사회조직의 변화를 연구해 “한국 농촌공동체의 구성원리”라는 논문으로 2005년도에 인류학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이어 2012년도에는 서해 충남, 전남 도서 연안 어촌들을 현장연구하고 이를 일본 어업과 소비문화와 비교하여 “18~20세기 서해의 조기 어업과 어민문화”라는 논문으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세부전공은 한국 민속학으로, 특히 사회조직, 생업기술, 민간신앙, 소비문화, 민간지식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제 경력을 소개해 드리면, 박사과정 중인 2009년부터 국립민속박물관에서 학예연구사로 근무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오랫동안 박물관 근무를 하며, 실무경험도 쌓고 자연스럽게 문화유산학, 박물관학 분야로 연구영역을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2020년에는 국립목포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인문콘텐츠학부(문화유산 전공)에 근무하며, 박물관학, 문화유산학, 민속학 등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2. 선생님께서 한국학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으신가요? 이렇듯 연구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인가요? 학부에 들어올 때는 소위 철학적 혹은 생물학적 인간학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보편적인 원리를 통해 구체적인 인간사회상을 설명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러나 학부 시절 대학 방송반에서 기자 활동을 하면서 세상에는 참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생각이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심지어 내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사람들, 할아버지 세대나 아버지 세대에 대해서도 아는 게 거의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가까운 20세기 한국사나 문화에 호기심을 가지다 보니, 제가 알고 있던 20세기와는 전혀 다른 20세기가 한국 전역에서 다양하게 펼쳐져 왔다는 점에 놀랐습니다. 저는 이 수많은 근대 경험 속에서 도대체 ‘우리의 근대’라는 것이 어떻게 설명 가능한가가 항상 궁금합니다. 이러한 궁금증이 항상 더 많은 지역과 현장을 다니며 연구하게 만드는 가장 큰 힘인 것 같습니다. 3. 한국학기초자료사업을 통해 도서 연안 공동체 관계 문서의 수집과 DB 구축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 활동을 진행 중 이신데요. 연구활동에 대한 자세한 소개와 함께 해당 연구가 궁극적으로 어떠한 부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계신지 여쭙고 싶습니다. 이 사업을 구상하게 된 것은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사업의 일환으로 전국의 도서 연안 지방의 해조류 채취 관행을 조사하고 정리하면서부터입니다. 지역 내 자원을 공동 관리하는 마을 자치 규범에 대한 사례 연구는 많이 있었지만, 이를 전국 단위에서 비교 검토해 본 일은 없었습니다. 지역 자원의 생산, 분배, 유통 등과 관련한 권리가 지역별로 상당히 상이하게 발달해 왔다는 점에 놀랐습니다. 이와 함께 조금 더 시야를 확장하고 심화하여, 도서 연안 지방에 대한 전국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존의 기초자료 연구들이 농촌에서 발달한 문중이나 부계집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것과 달리 산과 바다에 접한 마을에 대해, 또 기존 연구에서 비교적 관심을 적게 가져왔지만 풍성하게 남아 있는 20세기 문서를 중심으로 연구하면 좋겠다고 판단했습니다. 현재 우리 사업단은 역사학자와 민속학자가 중심이 되어 작년 여름부터 경북 울진, 경남 거제, 전남 장흥의 세 지역의 문서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지난 1년 동안 세 지역에서 371건 5,714장의 DB를 구축하였습니다. 이 세 지역은 자연환경, 혈연집단, 전근대 행정체계 등의 지역적 특성이 전혀 상이해, 세 지역에 대한 비교를 통해 향후 한국의 지역적 다양성을 조명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간단히 소개해 드리면, 우선, 경북 울진 구산리는 조선 후기에 다양한 국가의 역을 수행하였던 마을로, ‘노반계(老班契)’라는 연령집단이 발달한 곳입니다. 이곳의 조선 후기 문서 중 일부는 공개된 바 있지만, 1898년부터 남아 있고 지금도 작성되고 있는 좌목, 회계장부 등의 마을문서는 일반에게 공개된 적이 없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중앙이나 지방 정부와의 관계 속에서 20세기 이후 일상생활의 변화가 드러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두 번째로 동남부에 위치한 거제 다대리입니다. 이 마을에는 1805년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미역밭(곽전) 등 공동자산의 운영과 별신굿 관련한 기록물이 다량 남아 있습니다. 장기시계열적으로 마을의 생활상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다대리에서 가까운 거제 구조라리의 문서는 오래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정리해 일반에 공개하여 잘 알려져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서남부에 위치한 전남 장흥 신상리입니다. 이곳은 원래 섬이었지만, 1960년대 간척으로 육지화된 지역으로 19세기 말부터 현재까지 김양식이 활발한 지역입니다. 이곳에는 1925년부터 회계장부, 회의록 등이 남아 있는데, 앞선 두 마을과 달리 부계집단인 문중이 발달하면서 동시에 동계도 강하게 유지되고 있는 지역입니다. 부계집단과 마을조직과 어떠한 관계를 맺으며 전개되어 왔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4. 한국학기초자료사업을 통한 연구 진행과정은 어떠했나요? 그리고 해당 사업이 앞으로도 한국학 확산에 기여하기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우선, 한국학기초자료사업이 2023년부터 재개되었다는 점에 매우 기쁩니다. 이전부터 한국학 연구에서 기초자료를 정리하고 공개하는 일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대학으로 자리를 옮긴 이후로 계속해서 어떻게 이 지역에 펼쳐진 자료를 수집해 공개할 수 있을까 고민해 왔습니다. 개별적인 현장연구나 문헌연구는 의지를 가진 개개인이 혼자서도 할 수 있지만, 처음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고 나아가 공개하는 일은 여러 사람의 협력과 기관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번 사업과 같이 전국 단위의 사업인 경우에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또, 각 지역과 관계를 맺어온 각지의 민속학자, 역사학자가 참여해야 하고, 또 전공이 상이한 연구자들이 함께 현장을 답사하며 의견을 교환하고 연구를 심화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방식의 연구는 한국학기초자료사업을 통하지 않고서는 이루어 낼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사업은 2023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 지속됩니다. 그러나 이후에도 지금하고 있는 사업을 이어 받아 도서 연안뿐 아니라, 산간 지방에 산재하는 다양한 자료가 수집 정리, 공개되기를 기대합니다. 이번 1차연도 연구에서 느낀 바이지만, 21세기 들어 많은 지역에서 공동체 관계 자료들이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습니다. 산과 바다라는 독특한 자연환경을 끼고 발전한 한국 내의 다양한 공동체의 역사와 문화를 발견하고 보고하는 일은 한국학을 풍성하게 만드는 데 기여 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5. 앞으로 선생님께서 꼭 이루고 싶은 장기적 목표나 바람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한국의 유교화가 미친 영향에 관심이 많습니다. 제가 연구해 온 민속학은 전통적으로 ‘유교적인 문화’와 민속을 양반과 서민 문화에 각각 대응시켜 설명해 온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유교문화의 주변부 사람들과 문화에 더 관심을 기울이며, 한국 문화의 원류를 거기서 찾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저는 유교적 생활양식의 확산이나 그것에 대한 개개인의 욕망이 ‘한국적인 근대화’를 가져온 주요한 동인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인이 꿈꾸어 온 일상생활을 실현해 가는 과정이 당대의 기술, 유통, 소비 등의 물질문명과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를 살피고 싶습니다. 박사과정 이후 연구해 온 어업 기술과 어물 소비, 유통에 대한 연구도, 또 이번에 소개해 드린 한국학기초자료 사업도 저의 이러한 장기적인 목표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6. 질문에 대해 답변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과 국내외 한국학 연구자들, 또는 한국학진흥사업단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뉴스레터의 독자 대부분이 한국사학자나 한국어·문학자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저는 제가 몸 담아온 문화인류학이나 민속학이, 한국학의 한 분야로 좀 더 견고하게 자리 잡아 나갈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한국사학자나 한국어·문학 연구자들이 좀 더 민속학의 연구성과를 받아들이고, 문화인류학을 포함한 민속학 연구자도 한국학의 주요한 흐름을 이해하고, 자신의 연구방법론 위에서 구축된 연구성과를 더 적극적으로 한국학계에 가지고 나와 소통하고 한국학 발전에 기여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Meeting with Korean Studies Scholars Oh Chang-hyeon Mokpo National University (Korea) 1. Hello.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Hello. My name is Oh Chang-hyeon. I received my master’s degree in anthropology in 2005 with a thesis entitled “The Composition Principles of Agricultural Communities in Korea,” which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of Sanchon Village in Yangpyeong, Gyeonggi-do. Then, in 2012, I received my doctorate degree in anthropology with a dissertation entitled “The Redlip Croaker Fishing Industry and Fishermen’s Culture of the (Korean peninsula’s) West Sea in the 18th to 20th Centuries,” which involved fieldwork in farming villages of the western coastal island regions of Chungcheongnam-do and Jeollanam-do Provinces that was then compared with the fishing industry and consumption culture in Japan. I specialize in Korean folklore studi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social structures, occupational technology, folk belief, consumer culture, and folk knowledge. To introduce my professional working experience, I began working as a curator at the National Folk Museum in 2009 when I was in my doctoral program. While working at the museum for a long time and building up working experience, my area of research naturally expanded to the fields of cultural heritage and museum studies. In 2020, I moved to the National Mokpo University, where I teach museum studies, cultural heritage studies, and folklore studies in the Department of Humanities Content (Cultural Heritage Major). 2. Was there a particular impetus that sparked your interest in Korean Studies research? What was the driving force that allowed you to continue your research activities in this way? When I entered my undergraduate program, I was very interested in the study of people from what you might call a philosophical or biological perspective. I believed that through universal principles, one could explain the nature of a definite human society. However, while working as a journalist for the university broadcasting club, I started to realize that the world is full of diverse people with diverse thoughts. I even began to realize that I knew very little about people I thought I understood well, like my grandfather’s or father’s generation. As I became curious about recent 20th-century Korean history and culture, I was surprised to discover that a completely different 20th century than the one I knew had unfolded in diverse ways across Korea. I have always been curious about how “our modern era” can be explained within these numerous modern experiences, and this curiosity seems to be the greatest strength in driving me to always travel to more regions and locales to conduct research. 3. Through the Collection and Documentation of Manuscripts for Korean Studies program, you are currently engaged in diverse research activities with the objective of gathering documents and creating a database related to community relationships in coastal island regions. Please introduce the details and the expected contributions of these research activities. The conception of this project began as part of 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now Korea Heritage Service) project from 2021 to 2022 involving the survey and organization of the practices surrounding the collection of marine plants in coastal island regions across the country. Although there had been much research on case studies of villages’ self-governing norms for the joint management of local resources, there had been no comparative review of this on a national level. The development of rights related to the production, division, and distribution of local resource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region to region, which was surprising. Continuing along this line but with an expanded and deepened perspective, I had the thought that nation-wide and systematic research on the coastal island regions was needed. While existing research on primary materials focused on the clan organizations or patrilineal groups that developed in farming villages, little interest or research had been done on the abundance of remaining 20th-century documents from villages in mountainous and coastal regions, so I decided that this would be a good area to research. Since last summer, our project team, which consists of scholars specialized in history and folklore, has been organizing documents from three regions, namely Uljin in Gyeongsangbuk-do, Geoje in Gyeongsangnam-do, and Jangheung in Jeollnam-do. Over the past year, we have developed a database of 371 documents comprising 5,714 pages. As the regional character of these three areas, in terms of natural environment, kinship groups, and pre-modern administrative systems, is completely different, I expect that a comparison of these three areas will shed light on Korea’s regional diversity. To briefly introduce each locale, first, there is Gusan-ri Village in Uljin.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village was where diverse countries carried out trade and where an age-based association known as Noban’gye 老班契 emerged. While some of the village’s document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have been made public, documents from 1898 until today, such as procedurals and accounting books, have not yet been presented to public. I expect this research will reveal the changes of everyday life in the 20th century amidst the relationships with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econd, there is Dadae-ri Village in Geoje, located in the southeast. This village has numerous remaining records from 1805 to the 1970s relating to the management of joint property, such as sea mustard farms, as well as village rituals. I expect that these materials will provide longitudinal insight into daily village life. The documents of Gujora-ri Village in Geoje, located near Dadae-ri, were organized by AKS long ago and are well known to the public. Finally, there is Sinsang-ri Village in Jangheung, located in the southwest. Originally an island, the area became part of the mainland through a land reclamation project in the 1960s and has been an active area of laver cultivation from the late 19th century until today. Documents remaining in this village include accounting books and meeting minutes from 1925 and later. Unlike the previous two villages, village organizations here were able to maintain their strength concurr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patrilineal groups such as the clan organization. Thus, I expect that these materials will help show how relationships between patrilineal groups and village organizations formed and unfolded. 4. What was the research process like with the Collection and Documentation of Manuscripts for Korean Studies program? And what things should be improved for this program to contribute to the spread of Korean Studies in the future? First, I am very happy that the Collection and Documentation of Manuscripts for Korean Studies program was resumed in 2023. Since long ago, I thought that the organization and presentation to the public of primary materials was the most important task in Korean Studies research. After moving to my position at the university, I continuously deliberated about how to gather and present the materials that were scattered around the region. Independent field research or document research can be done alone by a willing researcher, but the preliminary gathering and organization of materials, along with the public presentation of those materials, require the collaboration of various people and the help of institutions. Projects conducted on a nation-wide level, like this one, would be impossible without the help of AKS. Furthermore, such research requires the participation of folklore and history scholars who have formed relationships with the various locales, and must be enriched by having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visit the sites together and exchange opinions. I think that research of this kind cannot be undertaken if not through the Collection and Documentation of Manuscripts for Korean Studies program. This project will continue for three years from 2023 to 2026. However, after this, I hope that this project can be continued through research on the collection, organization, and presentation of diverse materials distributed not only in coastal island regions, but in mountainous regions as well. As I have felt during the first year of this research project, materials related to community organizations have been disappearing at a rapid rate in many regions since the start of the 21st century. I believe that discovering and reporting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s diverse community organizations that developed within the unique natural environments of the mountains and the sea will greatly contribute to enlarging and enriching Korean Studies. 5. What long-term goal or wish do you hope to achieve in the future? I am very interested in the influence of Korea’s Confucian culture. In the field of folklore studies, there is a traditional tendency to align Confucian culture and folklore with noblemen and commoners, respectively. Therefore, I have paid extra attention to the people and culture surrounding Confucian culture, sometimes trying to trace the original source of Korean culture. However, I think that the spread of the Confucian lifestyle and people’s personal desire for such a lifestyle was a main driving force that brought on “Korean modernization.” Thus, I want to explore how the process by which Koreans realized the everyday life of their dreams is connected to the material civilization of the time, including technology,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The research I’ve conducted after my PhD program on fishing technology and the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marine products, as well as the Collection and Documentation of Manuscripts for Korean Studies project introduced here, are closely connected to such long-term goals. 6. Thank you for your detailed answers to our questions. In conclusion, please share a word with the newsletter’s readers, Korean Studies researchers both in Korea and abroad, and the KSPS. I think that most readers of this newsletter are likely to be scholars of Korean history 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y hope is that cultural anthropology and folklore studies, my areas of interest, can more firmly establish their places as fields of Korean Studies. I hope that if scholars of Korean history an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ore readily embrace the research results of folklore studies, and if researchers of cultural anthropology, including folklore studies, better understand the main flow of Korean Studies and more actively communicate their own methodological research results with Korean Studies academia, then more contributions to the advancement of Korean Studies can be made.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K학술확산연구소사업 사업명 K학술확산연구소사업 과제명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연구책임자 안숭범 주관연구기관 경희대학교 발행년월 2024.12.24. 저서명 K컬처 트렌드 2025 저자 안숭범 정민아 조일동 김소원 윤석진 강태진 고윤화 김영대 김형석 나원정 서은영 안수영 이재훈 임민혁 출판사 미다스북스 초록 한국문화를 알고 있다는 말과 K컬처를 이해한다는 말은 전혀 다른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한국문화란 한국인의 고유한 전통과 현대적 생활 방식을 포괄하며 매우 넓은 의미망을 갖는다. 한국의 유구한 역사 속에서 한국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의식적 유산과 현실적 결과물들이 각각 한국문화의 내포와 외연일 수 있다. 오늘날 한류가 세계인의 일상 문화에까지 침투하면서, K컬처는 한국 인이 주도적으로 기획하거나 재단할 수 없는 대상으로 변화해가고 있다. 그것은 우리가 가르치거나 전파할 수 있는 대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우리가 배우고, 그들의 감각으로 다시 성찰해야 하는 대상이 되고 있다. 그때문에 일 년 주기로 K컬처 트렌드를 살펴보려는 이 책의 기획은 매우 중요하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Vol 93. 해외 한국학자를 직접 만나다: 칠레 국립대학교 1.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My name is Camilo Aguirre Torrini, and I was born in Chile. I’m currently serving as the coordinator of the Korean Studies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Chile. I received my master’s degree in Korean Studie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my doctorate degree in International Relations from Sussex University in the U.K... 바로가기 Vol 92. 해외 한국학자를 직접 만나다: 베트남 하노이 국립 인문사회과학대학교 1.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Hello. My name is Luu Tuan Anh, and I’m originally from and currently live in Hanoi, the capital of Vietnam. From 1991 to 1995, I did my undergraduate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Hanoi (today’s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anoi), and graduated as the first student to complete a regular bachelor's degree program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fter the reunification of Vietnam... 바로가기 Vol 91. 해외 한국학자를 만나다: 튀르키예 이스탄불 대학교 1.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My name is Eunkyung Jeong and I teach at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Istanbul University. After completing my Master’s program in Korea on the history of Turkish nationalism, I received my Ph.D. on a historical comparison of Korean and Turkish nationalism from the Department of History at Istanbul University. Currently, I am interested in and conducting comparative research on cultural phenomena in Korea and Türkiye. 바로가기 Vol 90. 해외 한국학자를 만나다: 폴란드 야기옐론스키 대학교 1.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Hello. My name is Tomasz Wilczyński, and I am from Poland. I graduated from King Sejong High School in Warsaw. At the time, our high school had a partnership with Keimyung University in Korea, which allowed me to study abroad in Korea on a full scholarship at Keimyung University for my bachelor’s degree, where I double majored in both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tudies and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바로가기 Vol 89. 해외 한국학자를 만나다: 파키스탄 국립 외국어 대학교 1.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My name is Atif Faraz, and I am from Pakistan. I am currently working as the registrar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Modern Languages (NUML) and as the director of the Islamabad King Sejong Institute... 바로가기 Vol 88. 해외 한국학자를 만나다: 태국 부라파 대학교 1.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Hello. My name is Uraiwan Jitpenthom Kim, and I teach Korean language in the Oriental Languages Department at Burapha University in Thailand... 바로가기 Vol 87. 해외 한국학자를 만나다: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교 1.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My name is Barbara Wall. I received my doctorate degree in 2014 and then secured a postdoctoral fellow position at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After this, I spent two years as a researcher in the Korean Studies department at Universität Hamburg in Germany before coming to the University of Copenhagen... 바로가기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해외한국학자를 만나다: 칠레 국립대학교 University de Chile 까밀로 아기레 또리니 Camilo Aguirre Torrini (칠레) 세부사업명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 / 초기단계(Beginning Track) 과제명 연구수행기관 연구기간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 국립 칠레대학교 국제대학원에 한국학 프로그램 설치 칠레 국립대학교 University de Chile 2024-06-01 ~ 2027-05-31 (36개월) 1. 먼저 한국학진흥사업단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을 위해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제 이름은 까밀로 아기레 또리니 이며, 칠레 출신이며 현재 국립 칠레대학교 한국학 프로그램의 코디네이터를 맡고 있습니다. 저는 서울대학교에서 한국학 석사학위를, 영국 서식스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또한, 2021년에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펠로우로 선정되어 활동하였습니다. 역사학에서 국제관계학으로, 그리고 한국학을 거쳐 연구 분야를 확장해 온 저의 여정은 연구 주제에서도 잘 드러납니다. 초기에는 한국어로 된 사료에 접근할 수 없었기에 칠레 내 한인 디아스포라를 연구했으나, 이후 한국에서 학업을 수행하면서 한국어 실력을 쌓은 후에는 중남미 국가들과 한반도 양국 간의 외교 관계로 연구 범위를 넓혔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여러 논문과 책의 챕터를 집필하였으며, 최근에는 냉전기 북한의 중남미 외교를 다룬 박사 논문을 완성하였습니다. 2. 칠레에서 한국학을 연구하게 된 계기와 그 과정에서의 주요한 목표는 무엇이었나요? 그리고 칠레 국립대학교에서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을 수행하는데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고 계신지 말씀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저는 칠레 발파라이소 가톨릭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하던 학부 시절, 아시아에서 교환학생으로 공부해 보고 싶었습니다. 다행히 저희 대학은 연세대학교와 교류 협정을 맺고 있었고, 교환학생을 위한 장학금도 제공하여 한국에서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저는 발파라이소 가톨릭대학교에서 한국에 유학한 첫 번째 학생이 되었습니다. 이후, 한국 정부 장학 프로그램을 알게 되면서 한국에서 석사과정을 밟기로 결심하였고, 장학금을 받은 후 1년동안 한국어 연수를 거쳐 서울대학교에서 한국학 석사과정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저는 한국 현대사 분야의 권위자인 박태균 교수님의 지도하에 칠레-남북한 간의 삼각 외교 관계를 연구하였고, 이 논문은 학과 최우수 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석사 졸업 후, 저는 칠레로 돌아와 일반 기업에서 통·번역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디에고 포르탈레스대학교 세종학당에서도 근무하였습니다. 이후 운 좋게 칠레 센트럴대학교 한국학 프로그램에서 일할 기회를 얻었고, 그곳에서 한국학 연구 프로그램 운영에 대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또한 교수님들과 가족들의 응원과 지원을 받으며 영국에서 박사과정을 밟기로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3. 현재 칠레에서 한류와 한국학에 대한 관심은 어느 정도 수준인가요? 또한 한국학이 칠레에서 어떤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칠레에서 한류(대중문화)와 한국학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으며, 단순한 문화적 관심을 넘어 사회운동, 문학, 개발연구 및 비교연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한류가 특정 마니아층(Niche)의 관심사로 여겨졌으나, 이제는 일반 대중에게도 한국 음악을 라디오에서 듣거나 한식당에 줄을 서서 기다리는 모습이 자연스러워졌습니다. 칠레의 한국학 연구는 점진적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칠레-한국 자유무역협정(FTA, 2004) 체결이 연구의 계기가 되었고, 2010년대 중반부터는 세종학당의 설립과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지원으로 두 개 대학에서 한국학 프로그램이 시작되면서 연구 기반이 더욱 탄탄해졌습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면서 연구와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칠레의 한국학 연구는 수도권 중심으로 진행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지역 대학에서는 한국학 프로그램이 운영되지 않고 있으며, 향후 연구와 교육 기회를 지방으로 확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일 것입니다. ◀ 공식 출범행사에 나란히 걸린 대한민국-칠레 국기 두 나라 간의 깊은 우정과 협력 관계를 상징한다. (2024년 10월) 4. 한국학을 전공한 졸업생들이 칠레 내에서 활동하는 분야는 무엇인가요? 졸업생들이 칠레 사회에서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생각을 듣고 싶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 한국학 전공자들이 칠레에서 본격적으로 사회에 진출하기 시작했습니다. 많은 졸업생들이 한국 기업 및 스타트업, 그리고 칠레 내 한국 기관(KOTRA, KOMIR 등)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다만, 모든 졸업생을 수용할 만큼 한국 기업의 일자리 수요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도 고려되어야 할 부분입니다. 한국학 전공자들은 칠레와 한국 간의 무역 및 투자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양국 간 문화적 차이를 조율하는 중재자로서, 칠레 기업이 한국 시장에 진출하거나 한국 제품을 수입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가능성은 아직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향후 한국학 연구와 네트워크 확장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습니다. ▲ 팔로워 5.2만 명을 자랑하며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U. Chile 국제학 연구소 인스타그램 다양한 행사 정보를 공유하며 칠레 내 한국학 네트워크의 활성화를 이끌고 있는 모습 (2025년 3월) 5. 2024년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 선정되어 국립 칠레대학교 국제대학원 아시아학 석사과정에 한국학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셨다고 들었습니다. 최근 한국학이 커리큘럼에 포함되었다고 하는데, 이러한 성과를 이루기까지의 과정과 그 의미에 대해 말씀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박사과정을 마친 후, 저는 국립 칠레대학교 국제대학원 아시아학 석사과정 책임자인 안드레스 보르케스 교수님과 만나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이미 해당 프로그램을 알고 계셨고, 한국학을 아시아학 석사과정에 포함시키기 위해 이 지원 사업에 큰 관심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기관의 지원과 보르케스 교수님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지원서를 제출할 수 있었고, 그 결과 2024년 해외한국학씨앗형사업의 초기단계 대학 다섯 곳 중 하나로 선정되었습니다. 이는 칠레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진정한 영예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저희가 활동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이미 여러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첫 번째 행사는 공식 출범 행사로, 칠레 주재 한국 대사와 한국 주재 칠레 대사, 칠레 국회의원이 현장과 온라인으로 동시에 참여해 주셨으며 한국학진흥사업단 단장께서 영상 메시지를 보내주셨습니다. ▶ 관련링크: https://iei.uchile.cl/noticias/221477/iei-realizo-el-lanzamiento-del-programa-de-estudios-coreanos- ▲ 공식 출범행사에 카를로스 올긴 교수, 가엘 여만스 부국장, 도로테아 로페즈 교수, 김학재 주 칠레 한국대사, 안드레스 보르케스 한국학 프로그램 디렉터, 안드레스 보르케스 교수가 참석하였다. (2024년 10월) 두 번째 행사는 한국학 워크숍으로, 앞으로 전통적인 행사로 자리 잡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른 한국학 세미나나 학술대회와 달리, 이 워크숍은 칠레 내 한국학 연구자들이 한국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론적·방법론적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이를 바탕으로 논문이나 출판물로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라틴아메리카 아시아·아프리카 연구학회(ALADAA Chile)와 함께 협력하여 진행되었습니다. ▶ 관련링크: https://www.instagram.com/p/DDsciKjS1WG/?utm_source=ig_web_copy_link&igsh=MzRlODBiNWFlZA== ◀ 한국학 워크숍 (2024년 12월) 세 번째 행사는 우리 연구팀의 일원인 임수진 교수님이 진행한 세미나였습니다. 한국 출신으로 라틴아메리카 연구 전문가인 임 교수님은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정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해 주셨습니다. ▶ 관련링크: https://iei.uchile.cl/noticias/224643/directora-del-iei-sostuvo-reunion-colaborativa-con-la-dra-lim-sujin ▶ 관련링크: https://iei.uchile.cl/noticias/225262/corea-del-sur-necesita-pronunciamento-del-tribunal-constitucional 또한 현재 조교를 채용하여 운영 중이며, 제1차 한국 대학 교환학생 장학금 공모를 통해 현재 고려대학교에서 공부를 시작한 칠레대 학생을 지원할 수 있었습니다. 올해부터는 아시아학 석사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중남미 관계에 대한 수업을 개설할 예정입니다. 임수진 교수가 '한국: 경제 기적에서 정치적 기로까지' ▶ 세미나를 진행하는 모습 (2024년 1월) 6. 해외한국학사업을 수행하시면서 장기적으로 이루고 싶은 목표나 바람이 있으신가요? 이 사업이 칠레에 궁극적으로 어떤 변화를 가져오길 원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참 운이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교환학생 장학금으로 한국에 가게 된 것을 시작으로, 석사와 박사과정에서도 꾸준히 장학금 혜택을 받으며 학업을 이어갈 수 있었습니다. 또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연구 지원을 받아 한국에서 필드워크를 진행했으며, 여러 국가에서 발표할 기회도 가졌습니다. 이 모든 경험들이 학문적 성장과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었던 큰 밑거름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더 많은 칠레 학생들이 한국학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장기적으로는 한국학이 학생들에게 학문적 성장뿐만 아니라 직업적 기회를 제공하는 대안적 경로로 자리 잡기를 바랍니다. 이를 통해 칠레와 한국이 더욱 긴밀히 협력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7. 질문에 대해 답변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과 국내외 한국학 연구자들, 한국학과 학생들 또는 한국학진흥사업단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먼저 이 사업을 추진하는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한국학진흥사업단에 대해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또한 국내외 한국학을 연구하는 모든 분들과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저는 칠레, 한국, 영국에서 생활하며 세계 여러 나라의 한국학 연구자들과 교류할 기회를 가졌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학 연구자들이 서로 돕고 협력하는 끈끈한 공동체라는 것을 실감하였습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및 한국학진흥사업단은 국제 학술대회를 통해 이러한 네트워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저 역시 그 혜택을 받았습니다. 앞으로도 한국학 연구자들이 서로 협력하며 더욱 발전해 나가기를 기원합니다. Meeting with Korean Studies Scholars Abroad Camilo Aguirre Torrini ( University of Chile , Chile) 1.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My name is Camilo Aguirre Torrini, and I was born in Chile. I’m currently serving as the coordinator of the Korean Studies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Chile. I received my master’s degree in Korean Studie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my doctorate degree in International Relations from Sussex University in the U.K. I also held a fellowship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n 2021. My journey across scholarly fields, from history to international relations, as well as Korean Studies, can be seen in my research topics. Initially, because I was unable to access materials in Korean, I researched the Korean diaspora in Chile. Later, while carrying out my studies in Korea, I improved my Korean language abilities and expanded my area of research to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entral and South America and the Korean Peninsula. On this topic, I wrote various papers and book chapters. I also recently completed my PhD dissertation on the North Korea’s diplomatic relations with Central and South America during the Cold War era. 2. What led you to become active in Korean Studies research in Chile and did you have a main objective during this process? Also, could you share more about your role in carrying out the Seed Program in Korean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Chile? During my time as an undergraduate majoring in History at the Pontifical Catholic University of Valparaíso, I wanted to study as an exchange student in Asia. Fortunately, our university had an exchange agreement with Yonsei University, and there was a scholarship provided to exchange students as well, so I was able to study in Korea. As a result, I became the first student from my university to study abroad in Korea. Later, I became aware of the Korean government’s scholarship program, so I decided to attend a master’s program in Korean. After receiving the scholarship, I first trained in the Korean language for one year before beginning my master’s program in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uring my master’s program, I researched the trilateral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le, North Korea, and South Korea under the guidance of Prof. Park Tae-gyun, who is a leader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Korean history. This master’s thesis received a departmental award as an outstanding thesis. After graduating from my master’s program, I returned to Chile where I worked as an interpreter/translator for a regular company. I also worked at the King Sejong Institute at Diego Portales University. After this, I was fortunate to receive an opportunity to work at the Korean Studies program at the Central University of Chile, where I was able to learn about the management of a Korean Studies research program. Then, with the encouragement and support of my teachers and family, I decided to enter the doctoral program in England. 3. In Chile, what is the current level of interest in the Korean Wave and Korean Studies? Also, how is Korean Studies being advanced in Chile? Interest in Hallyu (popular culture) and Korean Studies in very high in Chile. Going beyond simple cultural interest, research is actively being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al movements, literature, development studies, and comparative studies. In the past, Hallyu was considered a niche interest, but now it has become a natural sight to see the general public listening to Korean music on the radio or waiting in line at a Korean restaurant. Korean Studies research in Chile has advanced gradually. In the early 2000s, the Chile-Korea FTA (2004) was an impetus for research, and from the mid-2010s, the establishment of a King Sejong Institute and Korean Studies programs at two universities through support from AKS strengthened the research foundation. In particular, as interest in Korea grew further after the Covid—19 pandemic, 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invigorated. However, Korean Studies research in Chile remains limited to the capital region. Currently, there are no Korean Studies programs offered at regional universities. Therefore, I believe that the expansion of research and education opportunities to regional areas will be an important task going forward. 4. In which fields are Korean Studies graduates active in Chile? In what ways can Korean Studies graduates contribute to Chilean society? In the past few years, Korean Studies graduated have begun actively entering society in Chile. Many graduates work at Korean companies or startups, as well as Korean institutions within Chile (KOTRA, KOMIR, etc.). However, it is a concern that there are not enough job openings at Korean companies to accommodate all of the graduates. Korean Studies major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ributing to the vitalization of trade and investment between Chile and Korea. As arbitrators that can navigate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y can carry out a key role in the process of importing Korean products to Chile or having Chilean companies enter the Korean market. However, such potential is not yet being fully utilized, and there is a need to seek out new opportunities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Korean Studies research and network going forward. 5. Since being selected for the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in 2024, your team has been working to introduce a Korean Studies course to the master’s program in Asian Studies at the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Chile.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was recently added to the program. What process was involved to achieve this outcome and what is its significance? After completing my doctoral program, I met with Prof. Andres Borquez, who is in charge of the Asian Studies master’s program at the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Chile, to discuss the Seed Program. He was already aware of the program and was greatly interested in this support program as a means to incorporate Korean Studies into the Asian Studies master’s program. So, with the university’s support and Prof. Borquez’s expertise, we were able to submit a competitive proposal. As a result, we were selected as one of five recipients of the Beginning Track Seed Program in 2024. This has been received by the University of Chile’s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as a true honor. Although it hasn’t been long since we began our activities, we have already held various events. Our first event was an official launching ceremony, which was attended in person and online by various important figures, including the Korean ambassador to Chile, the Chilean ambassador to Korea, and members of the Chilean national assembly. The director of the KSPS also sent a video message. ▶Link: https://iei.uchile.cl/noticias/221477/iei-realizo-el-lanzamiento-del-programa-de-estudios-coreanos- Our second event was a Korean Studies workshop, which we hope will become a recurring event going forward. Unlike other Korean Studies seminars or academic workshops, this workshop allowed Korean Studies researchers in Chile to receiv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eedback from not only the field of Korean Studies but from a diverse range of academic fields. Based on this, we aim to help advance research through academic papers or publications. Notably, this event was held in cooperation with ALADAA Chile. ▶Link: https://www.instagram.com/p/DDsciKjS1WG/?utm_source=ig_web_copy_link&igsh=MzRlODBiNWFlZA== Our third event was a seminar led by Prof. Lim Sujin, who is a member of our team. As researcher of Latin America from Korea, Prof. Lim provided a critical perspective on Korean politics based on her deep understanding of Latin America. ▶Link: https://iei.uchile.cl/noticias/224643/directora-del-iei-sostuvo-reunion-colaborativa-con-la-dra-lim-sujin ▶Link: https://iei.uchile.cl/noticias/225262/corea-del-sur-necesita-pronunciamento-del-tribunal-constitucional In addition to these events, we’ve hired a research assistant to help carry out the project, and we’ve been able to support a University of Chile student who is currently studying at Korea University through our first call for study abroad scholarships at Korean universities. From this year, we also plan to open a cour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entral/South America for the students of the Asian Studies master’s program. 6. Is there a long-term goal or wish that you hope to achieve through this Seed Program for Korean Studies? Also, what influence do you hope this program has on the advancement of Korean Studies in Chile? I believe I’m a quite fortunate person. Beginning with the scholarship I received to study on exchange in Korea, I steadily received scholarship benefits throughout my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allowing me to continue my studies. In addition, I received research funding from AKS to carry out my fieldwork, and also received opportunities to present my research in various countries. I believe all of these experiences were a great foundation that allowed me to grow and follow my goals as an academic. In the future, I hope that more Chilean students will be given new opportunities through Korean Studies. In the long term, I hope that Korean Studies will not only provide scholarly growth to students, but also find its place as an alternative path that provides career opportunities. I hope this will become an impetus for closer cooperation between Chile and Korea. 7. Thank you for your detailed answers to our questions. In conclusion, please share a word with the newsletter’s readers, Korean Studies researchers both in Korea and abroad, and the KSPS. First, I want to convey my deepest gratitude to the AKS and KSPS for promoting this program. In addition, I would also like to sincerely thank everyone researching Korean Studies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as well as the readers of this online newsletter. While living in Chile, Korea, and the U.K., I’ve had the opportunity to meet with Korean Studies researchers from across the globe. This allowed me to experience first hand how Korean Studies researchers help and cooperate with one another as a close community. Through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the AKS and KSP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is network—from which I myself have also benefited. In the future, I hope that Korean Studies researchers can collaborate and advance forward together.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2023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 Making Peace with Nature: Ecological Encounters along the Korean DMZ 김엘레나 Eleana J. Kim 세부사업명 과제명 연구수행기관 연구기간 해외 한국학 중핵대학 육성사업 UC 어바인 크리티컬 한국학 연구소 설립 University of California at Irvine 2016. 9. 1. ~ 2021. 8. 31.(60개월) 한국 비무장지대(DMZ)는 70여 년간 거주가 금지되어 왔으며 다양한 형태의 생물들이 그동안 해결되지 않았던 전쟁의 수혜자로서 DMZ의 안팎에서 번성하였다. Making Peace with Nature 는 한국 DMZ를 면밀히 조사하여 이 지역의 생물 다양성이 과학적 관행과 지정학적, 자본주의적 그리고 생태학적 역학과 분리될 수 없음을 규명한다. 이 책은 생태학자, 과학자, 지역 주민들과의 민족지학적인 현장 조사를 바탕으로 남한 DMZ의 둠벙, 철새 이동경로, 그리고 지뢰 매설지에서 전쟁과 군사화로 정의된 공간의 인간과 비인간 생태가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변화하는지 보여준다. 1990년대 이후 국가 안보와 자본의 흐름이 혼재된 공간으로 특히 DMZ의 민간인 출입통제구역(Civilian Control Zone, CCZ)의 생태가 변화된 과정을 분석하며 냉전 시대 이후 지식인과 언론인들이 DMZ의 생물 다양성을 남북의 ‘평화’와 연관시키며 DMZ의 자연이 어떻게 관심의 대상이 되었는지에 대해 역사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DMZ 생태연구소 김승호 소장의 ‘생물학적 평화’(biological peace)를 차용하고 둠벙, 철새 이동경로, 지뢰 매설지의 사례를 군사 및 개발 인프라와는 다른 ‘대안 인프라’의 예로 들며 분단과 전쟁이라는 지배적인 서사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평화라는 개념을 인간 중심의 정치적 또는 경제적 평화에서 벗어나 인간을 넘어선 생물학적 평화로 재구성하며 전쟁의 현실을 인식함과 동시에 생물 다양성의 존재와 인간과 비인간 관계의 잠재적 미래를 시사했다. DMZ의 생태를 ‘자연으로의 회귀’나 한반도 협력의 수단으로 그리는 대중적이고 정치적인 서사에서 벗어나 DMZ의 멸종위기에 처한 생명체들이 남북 통일 담론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민족지학적인 시각으로 접근한다. 또한 미국 주도의 군사화를 통한 공간의 고립과 자본주의 하에서의 공간 사유화라는 보통 함께 생각하기 어려운 두 가지 패권적 과정에서 생겨난 공간인 ‘(비)무장 생태’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촉구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DMZ와 이와 유사한 장소들이 전쟁과 자연이 ‘역설적으로’ 공존하는 ‘아이러니한’ 사례가 아니라 보편적인 지구적 생태임을 시사한다.한반도 DMZ와 정치적 경제에 대한 개요로부터 시작하여 ‘생물학적 평화’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책의 개념적 틀을 제시하며 대한민국의 비무장지대가 국가안보 및 자본이 혼재된 공간으로 특히 민간인출입통제구역의 생태가 변화했음을 시사한다.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서 생산된 생태학적 지식은 우리를 정치적 및 인간 중심적인 평화가 아닌 ‘인간을 넘어선 평화’(peace-beyond-the-human)로 향하도록 한다고 주장한다. 다음으로 냉전 이후의 시대에서 DMZ의 자연이 어떻게 지식인 및 언론인의 관심 대상이 되었는지에 대하여 역사적인 시각에서의 분석을 제공한다. 끝나지 않는 전쟁의 분단 속에서 DMZ의 생물다양성과 남북 간의 평화의 대중적 연관성을 설명한다. DMZ의 본질이 남한이 지정학적인 교착상태에 벗어나기 위해 진보적인 움직임을 마련하고 DMZ의 영유권(patrimony)을 주장하여 북한을 소외하거나 혹은 지우기 위해 환경보호를 이용하는 대한민국의 국수주의적 프로젝트라고 주장한다. 이 책의 첫 번째 민족지학적 장은 대한민국 민간인출입통제구역의 서쪽 지역의 둠벙을 연구하는 남한의 비정부기구의 생태학적 연구에 집중한다. 둠벙은 현대식 기반시설의 구축을 금지하는 군사적 조치로 인해 존재하는 전근대적인 시스템으로 민간인출입통제구역의 생물 다양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통일에 대한 지배적인 담론은 평화를 경제적 협력으로 포장하며 개발을 통일된 한반도의 필수적 요소로 당연시한다. 이 장에서는 신자유주의 경제적 이익보다 비인간 생명체의 존재를 우선시하는 둠벙을 생물학적 평화를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부정적 인프라’로 서사한다. 다음 장에서는 철새 이동경로를 인간과 비인간 인프라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저어새를 살리기 위한 연구와 보존 노력을 초점에 맞춰 새의 관점을 중심으로 조류학자 이기섭의 연구가 어떻게 인간 중심적인 평화 비전에 이의를 제기하는지 소개한다. 철새는 평화의 전달자라는 이미지와 남북을 이동하는 행위로 인해 통일에 관한 서사에 자주 사용된다. 반면에 인간 기술과 새의 생활방식으로 같이 구성된 조류의 이동경로(avian flyways)를 통해 저자는 새가 인간 정치적 경계를 초월하거나 민족적 소속감을 상징하는 존재가 아닌 또 다른 평화의 비전임을 제시한다. 이어서 남한의 접경지역에 만연한 지뢰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지뢰를 인간의 삶을 제한하고 위험하게 하는 ‘흉악한 인프라’로 규정한다. 지뢰의 존재는 인간 침입을 불가능하게 하여 DMZ의 환경을 보존하는 것으로 인정받지만 민간구역에서 사는 사람에게 위협이 되는 것은 비교적 잘 인식되지 않는다. 민간인출입통제구역의 복잡한 역사를 설명하며 ‘평화와 생명’이라는 국가의 담론이 현재 진행 중인 전쟁의 최전선에서 사는 주민의 이해와 어떻게 충돌하는지 설명한다. 지뢰는 끊임없는 위험과 불확실성의 영원한 근원으로 (전쟁 후) 풍경에서 악랄해 보이겠지만 표적이 되는 인간에게 어느 정도 주체성을 부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에필로그는 이 책을 요약하며 환태평양에서 미국 제국의 더 광범위한 역사적 (비)무장 생태에 대한 고찰로 논의를 확장한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제국의 부상과 그로 인해 군사화된 공간에 대한 제국의 투영 속에서 이 장소들을 맥락화하며 (비)무장의 현장에 주목함으로써 DMZ와 비슷한 공간을 전쟁과 자연이 ‘역설적으로’ 공존하는 ‘아이러니한’ 사례로서 이해하는 무가치한 이해를 넘어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2023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Research Excellence Award Making Peace with Nature: Ecological Encounters along the Korean DMZ Eleana J. Kim University of California at Irvine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has been off-limits to human habitation for nearly seventy years, and in that time, diverse forms of life have flourished in and around the DMZ as beneficiaries of an unresolved war. Making Peace with Nature offers a close examination of the DMZ in South Korea and reveals that the area’s biodiversity is inseparable from scientific practices and geopolitical, capitalist, and ecological dynamics. Drawing on ethnographic fieldwork with ecologists, scientists, and local residents, the book focuses on irrigation ponds, migratory bird flyways, and land mines in the South Korean DMZ area, demonstrating how human and nonhuman ecologies interact and transform in spaces defined by war and militarization. The book analyzes how the South Korean DMZ, since the 1990s, has become a hybrid space of national security and capital flows which have transformed the ecologies of the DMZ area, particularly in the Civilian Control Zone (CCZ). It provides historical analysis of how the DMZ’s nature became an object of interest for intellectuals and journalists in the post-Cold War period, who associated the DMZ’s biodiversity with inter-Korean “peace.” Building upon a concept of “biological peace,” borrowed from Kim Seung-ho, Director of the DMZ Ecology Research Institute, the book uses the examples of irrigation ponds, migratory bird flyways, and land mines as “alternative infrastructures” that are unlike military infrastructures or development infrastructures. They present alternatives to dominant narratives of the division and war, and as such, offer examples of how “peace” can be reframed away from a human-oriented political or economic peace and toward a more-than-human, biological peace. Such a peace recognizes the reality of war while pointing to the existence of actual biodiversity and potential futures of human and nonhuman relations. Departing from the popular and political narratives of the DMZ’s ecology that frame it as a “return to nature,” or as a vehicle for building inter-Korean cooperation, this book offers an ethnographic approach to the impure, polluted, and endangered life forms that exist in the DMZ area, suggesting how they can contribute to current imaginaries of Korean unification. The book also calls for greater scholarly focus on “de/militarized ecologies.” De/militarized ecologies are spaces that emerge out of two hegemonic processes that are rarely thought of together,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U.S.-led militarization and the privatization of space under capitalism. From this perspective, the DMZ and similar sites are not “ironic” instances where war and nature “paradoxically” co-exist, but more normative of a general planetary condition. The book begins with an overview of the Korean DMZ and its political economy and lays out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book around the concept of biological peace. It suggests that the South Korean DMZ has become a hybrid space of national security and capital flows in ways that have transformed the ecologies of the DMZ area, particularly in the Civilian Control Zone (CCZ). Also argued is that rather than a political, human-centered peace, the ecological knowledge produced in the CCZ can direct us toward peace-beyond-the-human. The book then provides a historical analysis of how the DMZ’s nature became an object of interest for intellectuals and journalists in the post-Cold War period. The chapter situates the popular association of the DMZ’s biodiversity with inter-Korean “peace” in the context of division and an unending war. It argues that the DMZ’s nature is largely a South Korean nationalist project which uses environmental protection to create a progressive movement out of the geopolitical impasse, and to assert South Korean patrimony over the DMZ in ways that would marginalize and even erase remnants of North Korea. The book’s first ethnographic chapter focuses on the ecological research of a South Korean NGO that studies small irrigation ponds, or dumbeong, in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 Korean CCZ. The dumbeong constitute a premodern system that exists because of militarized injunctions against building modern infrastructure. They are also crucial to the biodiversity of the CCZ. Dominant discourses of unification frame peace as economic cooperation and naturalizes development as a necessary part of a unified Korea. This chapter frames dumbeong as a“negative infrastructure,” which provide opportunities for imagining biological peace—prioritizing the existence of nonhuman life forms over neoliberal economic interests. Migratory bird flyways are the focus of the next chapter, which frames them as human-nonhuman infrastructures. Focusing on the research and conservation efforts to save the Black-faced Spoonbill, the chapter shows how the work of ornithologist Kisup Lee centers birds’-eye views in ways that challenge human-oriented visions of peace. Migratory birds are often enrolled into narratives about unification, in which birds are seen as messengers of peace, or as literally uniting the two Koreas through their migrations. In contrast, avian flyways, which are co-constituted by human technologies and bird lifeways, offer a different vision of peace, in which birds are neither transcendent of human political boundaries nor embodiments of ethnonational belonging. Another chapter focuses on the prevalence of land mines in the borderlands of South Korea. It frames land mines as “rogue infrastructure,” which constrains and endangers the lives of humans living in highly treacherous landscapes. The existence of mines, which are often credited with preserving the environment of the DMZ by making human trespass impossible, are less often recognized for the dangers they pose to people living in civilian areas. Described here is the complex history of the CCZ and the ways in which the state’s discourses of “peace and life” fly in the face of the residents’ interests living on the front lines of an ongoing war. Even though land mines are a perpetual source of danger and uncertainty, also argued here is that their nastiness as entities in (post)war landscapes can also extend a measure of agency and self-determination to the humans they target. The epilogue summarizes the book and extends its argument to a consideration of de/militarized ecologies in broader histories of the U.S. empire in the transpacific. It contextualizes all these sites in the background of post-WWII period ascendance of U.S. empire, and its projection of imperialism into these militarized space, arguing that understanding of these de/militarized sites will help us move beyond unhelpful framings of the DMZ and similar sites as “ironic” instances where war and nature supposedly“paradoxically” co-exist.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