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결과

77 results found with an empty search

  • KSPS온라인소식지

    학술연구지원사업 전문기관, 한국학선도연구지원, 한국학교양총서 등 한국학진흥사업단, KSPS온라인소식지 KSPS 온라인소식지 Vol.87 KSPS NEWS 2023년도 한국학진흥사업 신규과제 최종 선정 공고 - 해외사업(한국학세계화랩/한국학술 번역), 국내사업(K학술확산연구소) - As the preliminary selection announcement period is over, we hereby announce the final selected project lists of 2023 Global Korean Studies Program Headline News Korean Studies Interview Barbara Wall(코펜하겐 대학교, 덴마크) 1. 먼저 한국학진흥사업단 뉴스레터 독자들을 위해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제 이름은 Barbara Wall입니다. 2014년에 박사학위를 받고 나서 캐나다에 있는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에서 박사후 연구과정 자리를 얻었고 그 다음 2년 동안 독일 함부르크대학 한국학과에서 조교수로 일하다가 2017년 코펜하겐대학교로 왔습니다. 저는 문학에 관심이 많은데 특히 동북 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이야기들이 국경을 넘어 어떻게 유통되었는지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독일, 일본 , 중국, 한국, 캐나다등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학사 때는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일본학과 중국학 을 전공했고 석사 때는 성균관대학교에서 유교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바로가기 Book Review 이승일(한양대학교) 2022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 국역 한국 근대 민사 판결문 ≪국역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민속원)≫은 2015년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연구지원을 받아서 이승일 교수 (한양대학교 사학과)가 갑오·대한제국기의 민사판결문들을 입력·번역한 것이다. 판결문들의 수량이 많아서 제1단계로 1895년부터 1908년 2월까지 생산된 5,000여건의 판결문을 2021년도에 출판하였다. 제2단계로 1908년 3월부터 1909년 12월까지 생산된 3,600여건의 판결문을 추가로 작업하고 있는 상황이다. 원래, 이 자료들은 1895년 3월 25일 법률 제1호 ‘재판소구성법’과 1895년 7월 ‘민형소송규정’에 의해서 생산 되었다. 갑오·대한제국기의 재판소에서는 공식적으로 판결문들의 제목을 부여하지 않았으나 해당 자료를 보관 하고 있던 법원기록보존소가 ‘구한말 민사판결문’으로 명명하였다... 바로가기 Project Outcome KSPS Press "고려대 사회학과-포틀랜드주립대 사회학과 국제학술회의 개최" 고려대 사회학과는 포틀랜드 주립대 사회학과와 '현대사회의 한국 여성(과 남 .. "중앙아시아의 새로운 한국학 패러다임 모색 국제학술대회" 카자흐스탄에서 중앙아시아의 새로운 한국학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국제학술대회가 열려 눈길을 끌었다. 지난 16일.. "숭실대 차봉준 교수 'K학술확산연구소사업' 선정" 숭실대 베어드교양대학 차봉준 교수 연구팀이 '2023 년 K학술확산연구소사업'의 신규 과제에 선정돼 향후 5년간... "동국대 K학술확산연구소 '한국불교 강좌' 연다" 동국대 불교학술원 K학술확산연구소(소장 김종욱)가 한국불교를 배울수 있는 강좌를 마련했다....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해방 이후 ‘한국적인 것’의 역사적 형성 연구책임자 김경일 주관연구기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발행년월 2024.10.30. 저서명 서바이벌리스트 모더니티 저자 김홍중 출판사 도서출판 이음 초록 생존, 생존주의와 생존주의적 근대성의 세 개념으로 수렴되는 이 책은 박수근과 박완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나목의 사상, 김기영의 시네마를 집중적으로 부각하여 검토한 생존주의 욕망기계, 서바이벌리스트 모더니티의 개념과 정의 내용에 대한 토의, 박정희 사례를 중심으로 생존주의적 통치성과 근대의 꿈을 살펴 본 데 이어서 정주영의 경우에 초점을 맞춰 한국 자본주의 정신을 탐구하고 신자유주의 서바이벌리스트의 초상에 어어서 생존주의, 사회적 가치, 그리고 죽음의 문제를 분석한다. 민중신학에서 생태계급에 이르는 민주의 자기초월을 살펴 본 데 이어서 마지막으로 공 개념과 ㅋ매노시스, 인류세 개념을 중심에 두고 21세기 생존주의를 재구성하고 그 미래를 조망하고자 하였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한국의 정당정치 70년사 연구책임자 신두철 주관연구기관 한양대학교 발행년월 2024.10.31. 저서명 한국의 정당정치 70년사: 정치적· 역사적 동학 저자 신두철 출판사 우공출판사 초록 본 연구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시기부터 이명박 정부시기에 이르기까지 70년에 걸쳐 한국의 현대정치사를 이끌었던 주요 정당들의 역사와 정당정치의 동학을 분석한 성과이다. 기존의 정당사 연구들과 달리 주요 정당들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정당체제 및 정당정치의 특성과 이들의 정치적․역사적 변화의 동학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한국 정당의 변천사를 이해하는 것은 한국의 정치를 이해하는 핵심적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집필된 정당사는 국내 정치 분야 연구자들을 대상으로만 편찬되었을 뿐이며, 한국학적 차원에서 보다 심층적으로 다루어지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학 연구에서 소외되어 온 근현대 한국 정당정치를 어느 특정 기간으로 제한하지 않고 하나의 장구한 전사(全事)로서 다룬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문제 인식 속에서 한국의 정당정치 70년을 이론과 실제 측면에서 가능한 풍부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객관적인 시각으로 종합하고 체계화함으로써 한국 정당정치가 해외의 한국학 연구자에게 명료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한국 근대의 토지와 농민 연구책임자 이영학 주관연구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용인캠퍼스) 발행년월 2023.12.15. 저서명 조선후기 양전사업과 토지개혁론 저자 최윤오 출판사 도서출판 혜안 초록 본 연구는 세 계통의 토지개혁론이 공조철법에서 출발하되, 양전법, 방전법, 정전법 등과 같은 단계적이며 점진적인 토지개혁 논리로 토지개혁을 실천해야 한다는 다산 정약용의 토지개혁론을 주목함으로써 조선정부의 양전법이 갖는 한계와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 같은 방법은 조선왕조의 지배적인 운영의 논리가 양전법에 기반을 두고 출현했지만 그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전법이나 정전법과 같은 토지개혁론을 시행하지 않으면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같은 점에서 양전법과 방전법, 정전법은 계통적으로 조선의 소유권 발달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모순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해준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유권의 역사를 재검토하는 동시에 소유권을 둘러싼 인간의 욕망과, 또한 소유권을 통제하거나 절제하는 방안을 통해 새로운 사회를 기획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 본 책의 최종적인 목표가 될 것이다. 이 같은 연구목표는 조선시기 소유론과 그것을 둘러싼 개혁론을 추적하는 방법을 통해 제시될 것이다. 공법과 조법, 철법의 본래 의미로부터 그것이 각 시기 개혁적 지식인에 의해 어떻게 재해석되어 왔는가하는 점과, 나아가 세 계통의 토지파악 방식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종합함으로써 소유권의 발달과 사회개혁의 관계를 추적하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이다. 이 같은 연구방법론을 통해 토지소유권 불균과 농민의 몰락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써 양전법과 방전법, 정전법이 가지는 의미를 제시하고, 나아가 그것을 통해 균세론과 균역론, 균산론 차원의 토지개혁론이 갖는 역사적 성격을 추적해 보고자 한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식민지조선의 감옥 연구책임자 이종민 주관연구기관 연세대학교 발행년월 2024.06.29. 저서명 식민지조선의 감옥 저자 이종민 출판사 역사공간 초록 대만에서 1895년에 시작된 일본의 지배는 조선 관동주 만주 등지로 이어지면서 처벌의 영역에서 자유형과 근대감옥의 전면도입으로 나타났다.이 책에서는 동아시아에서 일어난 형벌의 대전환 속에 조선의 감옥이 가진 특징을 시기별로 들여다보았다. 특히 1930년대 중반기 이후 일본의 침략전쟁과 사회 전반의 전체주의화가 조선의 수형자들에게 미친 영향에 주목하였다. 아울러 일본의 패전으로 식민지 감옥이 해체되는 과정을 남북한 각각의 사례로 추적하였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근현대 한국인의 경제적 상상 - 경제적 질서관념의 형성 과정 연구 연구책임자 도면회 주관연구기관 대전대학교 연구수행기간 2014.12.05. ~ 2016.06.04 저서명 분단과 경제의 재구성 저자 신용옥 출판사 선인 초록 ‘근현대 한국인의 경제적 질서관념’이란 주제는 아직 한국근현대사 연구자들에게는 매우 낯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누구누구의 경제 사상, 경제 개혁론을 다룬 수많은 연구들이 나와 있지만, ‘질서관념’이란 어휘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다. 대한제국 정부, 조선총독부, 호조, 탁지부, 김홍집 등 특정한 주어를 중심에 두고 서술했던 기존의 역사 서술 관점에서는 아마도 쉽게 용납할 수 없는 용어일 것이다. ‘질서관념’이란 표현에는 특정한 주어가 생략되어 있기 때문이다. 질서관념은 특정 시대, 특정한 공동체가 공유하는, 그렇기 때문에 공동체 구성원의 행위를 지배하는 생각들이다. 특정인의 생각이 아니라 그 생각들이 서로 연결, 대립, 중첩되면서 특정한 질서관념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생각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지식들이 결합되고, 오랫동안 공유와 중첩의 과정이 반복되면서 형성되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질서관념은 또한 지식에 의해 사실 또는 진실로 확증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의심과 비판에서 빗겨나 있는 경우가 많다. 다소 모호하고 생소한 개념을 통해 근현대 시기 한국인이 경제문제를 어떻게 생각해 왔는가를 연구하겠다고 생각한 것은 한국경제가 저성장시대로 접어들면서 경제를 바라보는 기존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고, 또 전환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현재 경제문제를 바라보는 생각들을 의심하고 비판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2022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 국 역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 이승일(한양대학교) Lee Seung il | 1.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현황과 보존이력 ≪국역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민속원)≫은 2015년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연구지원을 받아서 이승일 교수(한양대학교 사학과)가 갑오·대한제국기의 민사판결문들을 입력·번역한 것이다. 판결문들의 수량이 많아서 제1단계로 1895년부터 1908년 2월까지 생산된 5,000여건의 판결문을 2021년도에 출판하였다. 제2단계로 1908년 3월부터 1909년 12월까지 생산된 3,600여건의 판결문을 추가로 작업하고 있는 상황이다. 원래, 이 자료들은 1895년 3월 25일 법률 제1호 ‘재판소구성법’과 1895년 7월 ‘민형소송규정’에 의해서 생산되었다. 갑오·대한제국기의 재판소에서는 공식적으로 판결문들의 제목을 부여하지 않았으나 해당 자료를 보관하고 있던 법원기록보존소가 ‘구한말 민사판결문’으로 명명하였다. 그러나 해당 판결문들은 1895년부터 설치된 각급 재판소의 판결문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구한말’이라는 명칭이 적당하지 않다. 그리고 해당 자료에는 한국 재판소에서 생산한 판결문 뿐만 아니라 이사청, 통감부 법무원, 통감부 재판소에서 생산한 것도 포함되어 있다. 일본의 영사재판 과정에서 생산된 판결문은 일본인 상호 간의 분쟁을 수록한 것도 있으나 한국인과 일본인 간의 분쟁을 처리한 것도 많다. 그래서 이승일 교수 연구팀에서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으로 콜렉션의 이름을 새롭게 부여하였다. 이 자료들은 대한제국 재판소→통감부 재판소를 거쳐서 1910년 한국병합 직후에 조선총독부 재판소가 모두 인계받았다. 그리고 조선총독부 재판소는 이 기록물들을 식민통치 기간 동안 보관하고 있다가 1945년 해방 후에 한국의 각 지방법원에서 접수, 관리하였다. 그러다가 법원이 1973년 12월에 「법원보존문서관리규칙(대법원규칙 제0546호, 1973.12.12.)」을 제정하였는데, 이 규칙에서는 영구보존문서, 30년간 각급 법원에서 보존하고 있는 문서, 1945년 이전의 문서를 ‘법원보존문서관리소’로 이관하도록 규정하였다. 1974년 1월 1일 당시에는 ‘서울지구 법원보존문서관리소’, ‘대구지구 법원보존문서관리소’, ‘광주지구 법원보존문서관리소’ 등 3곳이 설치되었다. 그리고 2005년에 법원도서관은 52권 분량의 구한말 민사판결집(1895~1908년)을 간행하였다. 이후 2008년도에 성남에 법원기록보존소의 보존서고가 신축되면서, 각 지구단위로 분산·보존되던 해방 이전의 모든 민사판결문들을 법원기록보존소가 집중·관리하게 되었다. 현재, 법원기록보존소에는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이 편책 기준으로 약 406책이 보존되어 있다. 이 중에서 151책 14,538건은, 법원도서관이 2008년도에 디지털화 사업을 시행해서 2009년부터 홈페이지에 원문을 공개하였다. 그러나 나머지 255책은 원문이 디지털화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목록도 작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법원기록보존소 보존서고에 보관되어 있는 실정이다. 향후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나머지 판결문에 대한 접근도 가능하도록 조치가 취해질 필요가 있다. | 2. 민 사판결문의 사료적 가치 일반적으로 재판 과정에서는 개인들의 일상 생활과 법 의식이 잘 드러나기 때문에, 판례는 ‘살아 있는 법(living law)’이 작동하는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법제사·법사회사 연구에서 매우 귀중한 가치를 가진다. 더구나, 서구적 법 개념과 재판제도가 도입되던 초창기라면 말 그대로 연구의 보고(寶庫)이다. 이번에 ≪국역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민속원)≫이 공식 출판됨으로써 한국 법제사 연구의 진흥을 위한 획기적인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한국은 1895년 4월 법률 제1호 재판소구성법 및 그 부속법령(민형소송규정 등)의 시행을 통해 근대적 재판제도를 갖추게 되었다. 근대적 민사소송은 사인(私人) 간의 사법적 법률관계에서 발생하는 분쟁을 해결하는 국가의 재판절차를 말하지만, 대한제국의 재판 절차는 사실상 행정과 사법이 완전히 분리되지는 못한 과도적 사법체제였다. 하지만 미흡하게나마 각급 재판소의 설치, 심급제의 도입, 소송 법규의 제정, 재판의 공개, 판결문의 근대적 변화, 전임 사법관의 임용 등 근대적 요소들이 점차 확산되고 있었다. 따라서 이 시기의 재판사례들은, 신·구의 관행들이 병존하며 상호 작용하는 가운데 재판정으로 유입된 다양한 분쟁과 갈등에 대해 재판제도가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알 수 있는 대단히 유용한 자료이다. 그리고 민사판결문을 살펴보게 되면 서구형 법체계와 재판제도가 실질적으로 시행되기 이전, 재판의 존재방식, 법 규범의 적용 사례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외국인들은 1876년 개항 이래로 한국에서 장기간 거주하면서 경제활동을 영위하였고, 경제적 침략을 확대하는데 필요한 가옥 및 토지를 매수하였다. 이 과정에서 한국인과 외국인들 간에는 권리의 보호 및 침해를 둘러싼 분쟁도 증가하였다. 특히, 차금(借金) 및 부동산 관련 분쟁이 많았다. 외국인들은 부동산 보유 및 거래 행위를 합법화할 것을 한국 정부에 강력히 요구하였으며, 각종 재판과정에서도 치외법권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이해를 관철시켜 나갔다. 민사판결문에 수록된 교섭사건을 통하여 외국인이 획득한 치외법권이 한국 사법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생생히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에는 한국의 전통 법관념과 서구의 근대법이 서로 혼재되어 충돌하는 양상과 근대 사법체계의 도입이 한국인의 법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지가 자세히 반영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개항 이후 서구의 근대적 법 개념과 제도 등이 어떻게 한국 사회에 수용되었고 그 같은 서구적 법 개념이 한국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도 소상히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1908년 이후 일본인 사법관이 한국 재판소에 대거 임용되면서 이루어진 법제의 변화, 식민지적 근대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대단히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에 관한 연구는 한국 근대 법사 연구에서 공백으로 남아 있었던 민사법사·법조사·법사회사에 관한 연구 공백을 채우고 근대 초기 한국법의 총체적 모습을 이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 자료는 향후의 근대 이행기 한국에서의 법사회사 연구, 한국법의 근대화와 식민지 법제의 성립과정, 민사법제와 민사·상사관습 연구, 사법제도사 연구 등 다방면에 걸쳐 활용 가치가 높다. 지금까지 서구의 법문화와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고 그 이유를 종종 전통적인 유교적 법문화의 지속, 식민통치 및 특수한 근대화의 경험 등으로 설명한다. 이 자료들은 한국의 전통적 법문화가 근대적 조건에 어떻게 반응하였는가 하는 점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시각과 지식을 제공할 것이다. 2022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Research Excellence Award The Korean Translation of Written Judgments of Civil Cases in Modern Korea Lee Seung-il (Hanyang University) | 1. Cur rent Status and Preservation History of the Written Judgments of Civil Cases in Modern Kore a Gugyeok Hanguk geundae minsa pangyeolmun (Korean Translation of Written Judgments of Civil Cases in Modern Korea), published by Minsokwon, consists of the written judgments of civil cases from the Gabo Reform (1894-1897) and Korean Empire (1897-1910) periods that were digitally transcribed and translated from Chinese characters into Korean by Professor Lee Seung-il (History Department, Hanyang University) with research funding received from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n 2015. Due to the high number of written judgments, the project was divided into two stages. The results of the first stage, which covers about 5,000 written judgments produced between 1895 and February 1908, was published in 2021. The second stage, which covers about 3,600 written judgments produced between March 1908 and December 1909, is currently under progress. The original materials were produced through the “Law on the Composition of the Courts” (Jaepanso guseongbeop) No. 1 of March 25, 1895 and the “Regulations of Civil Litigation” (Minhyeong sosong gyujeong) of July 1895. Although no title was officially assigned to the written judgments by the courts of the Gabo Reform and Korean Empire periods, they were collectively named the “Written Judgments of Civil Cases of the End of Late Joseon” (Gu Han mal minsa pangyeolmun) by the Legal Records Repository (Beobwon Girok Bojonso) where the relevant materials were stored. However, because the relevant written judgments include the written judgments of all levels of courts established from 1895, the phrase “end of late Joseon” (gu Han mal) is not suitable to use. Furthermore, the relevant materials not only include written judgments produced at the Korean courts, but also those produced at the courts of the Local Administrative Office (Isacheong), the Ministry of Justice (Beommuwon) of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Tonggambu), and the courts of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The written judgments produced the process of Japanese consular trials include mutual disputes between Japanese, as well as many disputes processed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Accordingly, Professor Lee’s research team assigned a new title for the collection, namely “Written Judgments of Civil Cases in Modern Korea” (Hanguk geundae minsa pangyeolmun). The collection’s materials first passed through the courts of the Korean Empire and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before being transferred to the court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irectly following Japan’s annexation of Korea in 1910. During the period of colonial rule (1910-1945), the records were stored in the courts of the Government-General. Upon liberation in 1945, the records were received and managed by each of Korea’s district courts. This was the case until December 1973, when the “Regulation on the Management of Preserved Court Documents” (Beobwon bojon munseo gwalli gyuchik; Supreme Court Regulation No. 0546 of December 12, 1973) was enacted. According to this regulation, permanently preserved documents, documents preserved at each court level for 30 years, and documents from before 1945 were to be relocated to Management Offices for Preserved Court Documents (Beobwon bojon munseo gwalliso). At the time of January 1, 1974, three such management offices were established in the Seoul, Daegu, and Gwangju districts. In 2005, the Supreme Court Library published 52 volumes of the Collection of Written Judgments of Civil Cases of the End of Late Joseon (1895-1908) (Gu Han mal minsa pangyeolmun jip). Thereafter in 2008, upon the new construction in Seongnam of a preservation library of the Legal Records Repository, all of the written judgments of civil cases prior to 1945 that were preserved separately on the level of each district were gathered for central management at the Legal Records Repository. Currently, based on the compiled books, there are about 406 books kept in the Legal Records Repository. Among these, the original texts of 14,538 judgments in 151 books have been made publically available online since 2009 through a digitalization project conducted in 2008. However, not only are the original texts of the other 255 books not digitized, but they are stored at the preservation library of the Legal Records Repository without an inventory. Thus, in order to vitalize future research, action must be taken to make the remaining written judgments more accessible. | 2. The Value of the Written Judgments of Civil Cases as Historical Materials The judicial process typically reveals the everyday life and legal consciousness of private individuals. Accordingly, precedents show the aspects of “living law” in action and are of extremely precious value in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legislative systems and the history of the sociology of law. Furthermore, such precedents are a true research “repository” in the study of the early stages of the adoption of Western legal ideas and judicial systems. Thus,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Written Judgments of Civil Cases in Modern Korea (Minsokwon Publishing Company) serves as groundbreaking turning point for the promotion of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legislative systems. Korea acquired a modern judiciary system through the enactment in April 1895 of the “Law on the Composition of the Courts” No. 1 and its subsidiary codes, such as the “Regulation on Civil Litigation.” Modern civil litigation refers to the national judiciary procedure for resolving disputes that occur between private individuals in the legal relations of private law. However, the judiciary procedure of the Korean Empire was a transitional private law system that did not in reality fully separate administration and private law. However, despite its inadequacies, modern elements gradually spread,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courts at various levels, the adoption of the multiple instance trial system (simgeup jedo), the enactment of legal regulations on litigation, the opening of public trials, the modernization of written judgments, and the hiring of full-time judicial officers. Accordingly, the judicial precedents of this period are extremely useful materials that shed light on how the judiciary system responded to the diverse courtroom disputes and conflicts amidst the coexistence and interaction of new and old customs. Also, by looking at the written judgments of civil cases before Western legislative and judiciary systems were actually enacted, one can concretely understand factors such as the manner of the trials and the instances of the application of legal norms. Along with this, as foreigners began residing in Korea following the opening of the ports in 1876, they conducted economic activities and purchased houses and land needed to expand their economic encroachment. This process saw an increase in disputes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around the protection and infringement of rights.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disputes related to debts (chageum) and real estate. Foreigners strongly demand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legalize the possession and transaction of real estate. And in the process of various trials, extraterritoriality was utilized to achieve their interests. Through the negotiation incidents included within the written judgments of civil cases, we can vividly understand what influence the extraterritoriality obtained by foreigners had on Korean private law. Accordingly, the “Written Judgments of Civil Cases in Modern Korea” reflect in detail the aspects seen in the mutual blending and colliding between Korea’s traditional legal notions and the modern law of the West, as well as the influence that the introduction of modern private law systems had on Koreans’ legal culture. They also minutely record how the modern legal concepts and systems of the West were accepted by Korean society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and how these same Western legal concepts changed Korean society. Furthermore, they are extremely important materials in understanding colonial modernization and the changes in the legal system seen after Japanese judiciary officials were appointed in full force to Korean courts from 1908. Additionally, research on the “Written Judgments of Civil Cases in Modern Korea” fills the gap in research concerning the histories of civil law, the legal profession, and the sociology of law, which had remained lacking among research on the legal history of modern Korea. This research greatl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character of Korean law in the early modern period. Going forward, these materials will be highly useful across various fields, such as research on the history of legal sociology during Korea’s modern transition period; research on the modernization of Korean law and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colonial legal institutions, as well as the legal systems for civil law and the customs of civil cases and trading companies; and research on the history of private law systems Thus far, focus was placed on the differences with Western legal culture, with reasoning explained through the continuation of traditional neo-Confucian legal culture, colonial rule, and certain experiences of modernization. In this context, these materials provide new perspectives and knowledge in understanding the matter of how Korea’s traditional legal culture responded to the modern conditions.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K학술확산연구소사업 사업명 K학술확산연구소사업 과제명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연구책임자 조영준 주관연구기관 서울대학교 발행년월 2024.04.12. 저서명 경제 관료의 시대 저자 홍제환 출판사 너머북스 초록 1950년대에서 1980년대 한국은 그야말로 격동의 시대였다. 한국 사회는 전쟁이 남긴 폐허를 딛고 세계가 주목하는 ‘한강의 기적’을 일궈 냈다. 한국 경제의 눈부신 성과의 그 이면에는 한국 경제의 설계자들이 있었다. 『경제 관료의 시대』는 반세기 전, 고도성장기를 주름잡은 경제 관료들 중 한국인의 기억에 잊힐 수 없는 13명을 뽑아 그들의 생애와 활약상을 살펴본다. 장기영, 김학렬, 오원철, 남덕우, 신현확 등 그야말로 경제관료들의 시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걸출한 인물들이 등장했다. 『경제 관료의 시대』는 크게 네 시기, 즉 1부 재건(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 2부 도약(1960년대), 3부 질주(1970년대), 4부 전환(1970년대~1980년대 초)의 시기로 나눠 시기별로 주요한 경제 이슈와 정책, 아울러 어려운 시기 투철한 사명감으로 혼신의 노력을 다했던 경제 관료들의 열정과 헌신의 실상에 다가선다. 이들의 행적을 따라가는 것은 한국 경제의 실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아울러 13인의 전기적 초상뿐 아니라 ‘한국 경제사 인물과 이슈’를 실어 한국 경제의 테마와 다양한 인물을 소개한다. 이 책이 조명하는 시기에 대해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으나, 한국 경제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갖은 노력 끝에 고도성장을 일군 시기라는 데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경제적 성과를 논하면서 경제 관료의 역할은 간과되거나 과소평가되어 오지는 않았는지 저자 홍제환은 문제제기한다. 이 책에서 다루는 13명의 경제 관료들의 활약상을 통해 한국 사회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고안된 많은 경제정책과 전략, 그것들의 출발과 실패, 그리고 성공의 과정을 생생하게 들여다본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국내한국학자를 만나다: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연구책임자 허정주 Heo Jeong-Joo (대한민국) 세부사업명 과제명 연구수행기관 연구기간 한국학국영문사전편찬사업 / 한국학국문사전편찬 한국 농악 용어 사전 전북대학교(Jeonbuk National University) 2022-11-01 ~ 2025-10-31 (36개월) 1. 안녕하세요. 먼저 한국학진흥사업단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을 위해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에서 태어나, 간간이 국내를 떠나 해외에 있었던 기간을 빼면 줄곧 전북지역에서 살아왔고, 지금도 전주에 살고 있습니다. 제 전공은 한국 공연학 분야, 특히 서커스/곡예의 민족지적 연구로 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전북대 농악 풍물굿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있으며, 농악·민요·설화·공연예술 등 한국민속과 구비문학 분야의 연구를 진행해 왔습니다. 특히 우리 곡예/서커스 연구에 대한 관심으로 몇 년 전 한국연구재단 저술 지원을 받아 『호모 서커스 : 곡예사와 21세기 인류문화』를 집필하였고, 그 책이 ‘2019 세종도서’ 학술 부문에 선정되기도 하였습니다. 제 연구의 관심 분야는 다양한데, 구비문학, 민속, 문화유산, 공연학, 공간, 도시, 생태, 마음, 신체, 마을 연구 등입니다. 2. 선생님께서 한국학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으신가요? 이렇듯 연구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은 무엇인가요? 제가 원래 영문학을 전공했는데, 오래전 영국 스코틀랜드(Scotland)에 갔을 때 그들이 영어가 아닌 스코트어만을 사용하며 그것을 애써 고집스럽게 지키려는 모습을 보고 문화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들이 자신들의 고유 언어와 문화 전통을 지키고 계승하려는 모습을 보고, ‘우리 것’을 잘 모르는 내 자신이 부끄럽게 여겨졌습니다. 영문학을 공부하면서도 ‘우리 것’을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그때 확고한 신념이 생겨 국문학과에 입학해 한국학을 전공하게 되었습니다. 입학 당시 때마침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한국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사업’을 시작했는데, 그때 연구원으로 참여하게 되었던 기회가 제게는 큰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그때부터 한국학중앙연구원과의 인연이 시작되었던 것 같습니다. 또한 “내가 누구인가?”라는 ‘자기정체성’문제의 실마리가 하나씩 풀리기 시작한 것도, 한국학 분야를 연구하면서부터였습니다. 이 분야의 연구가 제게 나름의 보람과 행복을 가져다주었기 때문에, 그런 보람과 행복이 지금까지도 이 분야 연구를 놓지 않고 꾸준히 해 올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된 것 같습니다. ▲ 『호모 서커스 : 곡예사와 21세기 인류문화』 (허정주 저) 표지 ▲ 라트비아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설립을 기념하여 연구소의 발전을 기원하는 고사굿을 하고 학생들과 영사관 내외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 촬영을 한 모습 (2016년 5월) 3. 현재 한국학국영문사전편찬사업을 통해 각종 사전 및 연구서에 산재되어 있는 농악, 풍물굿, 사물놀이, 꽹과리, 징, 북, 소고, 장구 등 한국 농악 용어와 현장 자료 및 연구 성과를 집대성하여 <한국농악용어사전>을 편찬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계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흥미로우면서도 매우 중요한 연구로 보이는데, 연구 활동에 대해 말씀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질문에서처럼 한국 전통 공연예술 중에서도 농악은 흥미로운 동시에 한국학 연구 대상으로 매우 중요한 전통 종합공연예술입니다. 제가 처음 연구했던 우리의 전통 곡예/서커스에는 항상 ‘농악’이 빠지지 않고 등장하였습니다. 연구 과정에서 ‘농악’의 관심과 그 중요성을 알게 되었던 것이지요. 농악 DB구축, 각 지역 농악 저술 및 기록화 사업, 마을 연구 등을 진행하면서‘농악사전’을 만들어야 한다는 어떤 절실함이 있었습니다. 전국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농악 용어에 대한 개념 및 쓰임새가 제대로 정리가 되어 있지 않아 연구하는 제 입장에서 매우 난해하였으니까요. ‘목마른 자가 우물 판다’는 심정이었습니다. 농악 사전은 현재까지 우리 ‘전북대 농악/풍물굿연구소’에서 조사·정리해 온 우리나라 농악 관련 자료들을 기본 토대로 하고, 지금까지 학계에서 이루어온 농악 관련 모든 자료들과 연구 업적들을 종합하여, 농악 용어들에 대한 정의·해설·관련어·유사어 등을 하나의 통일된 ‘사전’형태로 집대성하는 작업입니다. 지금까지 각 지역 농악에 따라 다양하게 서로 다르게 분포 전승되어 온 농악 분야의 주요 지식 정보들이 일목요연하게 이 사전에 정리될 수 있다는 점과 농악 연구의 튼튼한 기초 토대를 마련한다는 점, 그리고 우리가 우리 농악의 ‘중심성’,‘종주국’임이 입증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보입니다. 농악은 우리의 전통 공연예술들 중에서 가장 폭넓고 깊이 있게 전 세계 여러 지역에 걸쳐 전파 전승되고 있어서, 국내외에 한국문화를 더욱 알리고 활성화하며 그 위상도 제고시키는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그 점 때문에라도 이 『농악용어사전』의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판 간행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러시아 현지 조사를 위해 방문했을 때 러시아 청소년들이 농악을 시연하는 모습 (2016년 6월) 4. 연구를 진행하셨던 과정은 어떠했는지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그리고 해당 사업이 앞으로도 한국학의 지속적인 확산과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필요한 개선점이나 추가적인 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함께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진행과정에서 연구인력이 원고 집필 과정에서 겪은 웃지 못할 에피소드도 많지만, 학문적인 면에서만 보면 표제어 선정 문제가 난제였는데요, 농악은 지역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분야라서 지역마다 같은 내용이라도 사용하는 어휘가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사전은 본디 ‘표준어’이어야 한다는 관념에서, 처음에는 어떤 한 지역에서 사용하는 어휘를 방언으로 처리해야 한다고 여겼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되면 하나의 사전이 학문의 권위로 작동되어 획일화된 어휘로 통일될 우려가 있고, 그 지역의 농악 어휘가 사라지게 될 우(憂)를 범하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각 지역에서 사용하는 지역적 특색이 드러나는 어휘를 함께 표제어로 선정하여 기술하고 있습니다. 여타 여러 문제들은 학문적 논의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해결되겠지만, 최초로 수행하고 있는 연구 작업인 만큼 한계 내에서 최선을 다하려고 합니다. 첫술에 배부를 수 없고, ‘시작이 반’이라고 하듯이 시작해 놓으면 그 뒤 한국학을 연구하는 후학들에 의해 개정 보완들이 이루어지지 않겠습니까. 필요한 개선점으로는 우선 첫째, 외국에서처럼 연구비 편성의 자유로움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와 같이 연구자들의 처우개선이 열악한 곳이 없어 보입니다. 융통성 있게 연구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자들을 지원하였으면 합니다. 둘째, 본 사업은 단순히 언어에만 관련된 사전 편찬 사업이 아니고, 사전에 담기는 표제어 및 그에 관한 해설에 있어서 언어적 기술뿐만 아니라 시청각적 자료들을 필요로 하는 작업입니다. 예컨대, 어떤 농악의 굿가락에 관해 기술하려면 그 굿가락의 채보 악보와 굿가락에 관한 ‘음원’이 필요하고, 어떤 농악의 춤사위 관련 표제어를 기술하려면 그 춤사위에 관한 ‘동영상’이나 ‘그림’ 등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런데, 현재 각 표제어의 정의·해설 및 기타 작업의 비용 책정은 단순히 ‘원고집필’비용으로만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다양한 표제어 설명의 방식에 부응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사전편찬사업에서 각 전문 분야의 사전의 특성에 따라 연구비 차등 지원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셋째, 농악이 해외에서 전승 전파되는 양상을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해외의 요구에 우리 한국학이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고, 국내에서 근시안적인 연구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본 사전 편찬이 마무리되어 가면 추가적으로 영문판/외국어로 농악사전 편찬을 기획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연구에 추가적 지원이 가능하다면 국제적으로 한국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되리라 봅니다. ▲ 정읍 내동당산제 제웅-소몰이 당산제 행진 (2022년 2월) 5. 선생님께서는 한국학기초자료사업, 한국학국영문사전편찬사업 등 한국학진흥사업단에서 운영 중인 여러 사업에 연구원 또는 연구책임자로 참여하셨습니다. 이러한 사업에 참여하시면서 기억에 남는 부분은 무엇이며, 사업단에 바라는 점이나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말씀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저는 앞서 잠깐 언급하였듯이,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주관한 한국구비문학대계 개정 증보사업에 2008년부터 5년간 참여하였습니다. 당시 현장 조사를 나가 마을회관에 들어서면 저희 연구원들이 약(藥) 팔러 온 줄 알고 쫓겨난 적도 있지만, 따뜻한 환대를 받고 눈물 흘리며 생생한 이야기와 노래를 들었던 기억도 있는 등, 현장 연구를 해 본 연구자라면 누구나 경험해 볼 수 있는 그런 감동들이 있었지요. 저에게는 압축된 공부를 할 수 있었던 정말 소중한 기간이었고, 직간접적으로 인생 경험을 할 수 있었던 기회였습니다. 이러한 현장연구사업이 한국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되었으면 하고요, 제 경험으로 봐도 이러한 현장 연구 방법은 후속세대 양성 및 한국학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어 꼭 필요합니다. 제가 몇 년 전에 리투아니아 그리고 라트비아대학 한국학연구소 설립기념으로 고사굿과 농악 특강 등을 위해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한국학이 세계로 확장되어 가고 있고, 농악의 세계화 가능성을 절감할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일본 현지조사에서는 농악 연습을 할 때 악기 소리가 이웃에 방해될까 봐 장구의 북편과 채편에 스폰지와 천을 대어 소음이 나지 않게 치면서 구음으로 가락을 익히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가슴이 찡하지 않고 코끝이 시큰거리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들이 절실히 농악을 배우고 익히는 모습에서 우리 한민족의 강한 생명력을 느낄 수 있었죠. 이렇듯 해외 현장 연구에서 한국학 관련 문화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여겨졌습니다. 배우고자 하는 열의로 직접 악기를 만드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농악을 예로 들면, 농악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다든지 하는 등 한국학 관련 문화 교육 지원 사업이 전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앞으로 전북대학교 농악/풍물굿연구소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우리나라 농악과 관련된 연구사업들을 다방면에 걸쳐 확대 심화해 갈 방안들을 다각도로 모색하였으면 합니다. 한국학을 연구하는 외국학자들에 대한 지원도 좋지만, 한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연구자들이 적극적으로 해외 대학이나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씨앗형사업으로 육성한 연구센터 등에 파견되어 비교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을 더욱 다양화·활성화하였으면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인도, 몽골 등에서 비교연구를 하고 싶었으나 현실적인 지원이 없어 귀국한 적도 있습니다. 6. 앞으로 선생님께서 한국학 사업을 수행하시면서 장기적으로 이루고 싶은 목표나 바람이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말씀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한국학 사업을 수행하면서 현장이 살아야 한다는 것을 절감했습니다. 본 연구소의 오랜 숙원 사업은 세계무형유산인 농악이 전 세계인들의 대표적인 전통 공연문화 예술로 자리 잡게 되는 것입니다. 그를 바라구요, 그를 위한 사업 중의 하나로 우리나라에서 ‘세계 대학생 농악축제’, 곧 ‘농악 유니버시아드’와 ‘세계 농악인 축제’등이 정기적으로 개최되었으면 합니다. 전 세계로 농악이 퍼져 나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농악축제’의 개최는 우리 농악의 발전과 농악학의 발전, 나아가 우리 ‘한류문화’의 발전과 활성화에도 크나큰 자극제가 될 것이 분명합니다. 7. 질문에 대해 답변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뉴스레터 독자들과 국내외 한국학 연구자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밤낮을 가리지 않고 한국학 연구에 몰두하시는 연구자와 애독자 여러분, 앞으로 한국학과 한국‘농악’에 더욱 많은 관심 가져주시기를 바랍니다. 또한 국내외 농악 현장을 지키고 있으며, 한국 전통예술을 계승하고 전승하는 많은 국내외 여러분들도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Meeting with Korean Studies Scholars Heo Jeong-Joo Je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1. First,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the readers of the KSPS Newsletter. Hello. I was born in Jeonju of the Jeonbuk province, and apart from times when I occasionally lived abroad, I’ve spent my life in the northern Jeolla region and currently still live in Jeonju. I majored in Korean performance studies, receiving my Ph.D. from the Department of Korean Literature with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traditional circus (gogye). I currently serve as the project manager at the Center for Farmers’ Music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where we are conducting research related to Korean folk culture and oral literature, such as farmers’ music (nongak), folk songs (minyo), legends (seolhwa), and the performing arts in general. In particular, through our interest in research on circus performance, we have published the book Homo seokeoseu: Gogyesa wa 21segi illyu munhwa (Homo-circus: The History of Circus Performance and Twenty-First Century Human Culture), which was selected as a 2019 King Sejong Book in the academic category. My personal research interests are diverse and include oral literature, folk studies, cultural heritage, performance studies, spaces, cities, ecology, the mind, the body, and villages. 2. Was there a particular impetus that sparked your interest in Korean Studies research? What was the driving force that allowed you to continue your research activities in this way? I originally majored in English literature and at the time, I ended up going to Scotland. There, I experienced a kind of culture shock, seeing how the Scots stubbornly endeavored to protect their language by speaking not in English but only in Scottish. Seeing them protect and transmit their unique language and cultural tradition, left me a little bit embarrassed as I didn’t really have an understanding of “Korean Things.” So, while studying English literature, I began to think that I needed to study “Korean Things,” and developed a deep conviction. So, I entered the Korean literature department and came to major in Korean Studies. Around that time, the “Compendium of Korean Oral Literature Revision and Expansion Project” l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d just begun being carried out, and so I ended up participating as a researcher. This opportunity became a major foundation for me, and this marked my connection with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n addition, while doing Korean Studies research in comparison with my English literature research on the issue of “self-identity” recognition, I slowly began to find clues to the answer of the question of “Who am I?” This field of study brought me a sense of worth and happiness, so I think that has been the force that has allowed me to continue to hold onto this field of study ever since. 3. Through the Koreanology Dictionaries in Korean and English program, you are currently gathering various dictionaries and research papers related to farmer’s music terminology, field materials, and research results to compile a Glossary of Korean Farmers’ Music. Please introduce the details, and the expected contributions of these interesting and important research activities. As you noted, among Korea’s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armers’ music (nongak) is a both interesting and also very important Korean Studies research subject. When I studied the Korean traditional circus, farmers’ music always appeared without exception, and it was during this research process that I developed an interest in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farmers’ music. While conducting research, such as establishing a farmer’s music database, the regional farming music book and record project, and village research, I felt that a farmers’ music glossary desperately needed to be made. This was out of my own needs, because from my perspective as a researcher, I had experienced great difficulties because the concepts and uses of the farmers’ music terminology from all over the country has not been properly organized. Thus far, the farmers’ music glossary has involved the work of collecting the definitions, related terms, and similar terms concerning farmer’s music terminology into the form of a unified glossary, by synthesizing all the related materials and scholarly achievements produced by academia thus far, based on the materials related to farmer’s music that the Center for Farmers’ Music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has researched and organized. I think this project will make great contributions by manifestly organizing the key knowled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eld of farmer’s music, which has been diversely and disparately spread and passed down in each region, by providing a strong foundation for farmers’ music research, and by expanding the centrality and patrimony of Korean farmers’ music. Furthermore,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und in various regions across the globe, farmers’ music is the most widely and deeply practiced, and so this glossary will serve to further vitalize and enhance farmer’s music both inside and outside Korea. In this regard, there is also a need to publish the Glossary of Farmers’ Music in foreign languages such as English. 4. What has the research process been like And what improvements or additional support measures do you think are necessary for this program to contribute to the spreading of Korean Studies in the future? Although we’ve also faced many not-so-funny episodes when it comes to research personnel or text composition, the selection of the headwords has been a true dilemma from a scholarly perspective, as there are many variations in the vocabulary used to describe the same content, due to the strong regional nature of farmers’ music. Yet, under the notion that glossaries need to have a headword, a particular region’s vocabulary would for a while be considered a dialect. If such a glossary were to be used as an authoritative scholarly source, then this runs the danger that the diverse terms would be unified into a standard vocabulary, leading to the disappearance of a certain region’s vocabulary. Thus, we are taking the approach of jointly selecting regional headwords that show the local character. Though various issues have been resolved through scholarly discussions, it is nonetheless the first time thi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so we are doing our utmost within the limitations. They say that starting is half the battle, and so I hope that starting this project will allow future generations researching Korean Studies to later revise and supplement what we accomplished. As a first point of improvement, I think it would be good if research funds can be more freely allocated like is the case overseas. It seems there is no place more lacking than Korea when it comes to improving the treatment of researchers. Thus, I hope that research funds can be utilized more flexibly to allow for the support of diverse researchers. Second, this project is not simply the compilation of a linguistic glossary related to language. Rather visual and auditory materials, not only textual composition, are needed when it comes to the headwords and their explanations. For instance, when writing about the gutgarak rhythm as performed by a particular farmers’ music group, the score and original audio are also needed. When writing about the dance movements as performed by a particular farmers’ music group, a video or diagram is also needed. However, because the current regulations only permit the use of funds for mere “text composition” of each headword’s definition and explanation, we face great challenges in satisfactorily explaining the diverse headwords. Accordingly, the Koreanology Dictionaries program should tak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specialized field into account and accommodate the different funding needs faced during the compilation of each dictionary. Third, while conducting research to understand how farmers’ music is transmitted overseas, I realized that our Korean Studies cannot meet overseas demands and that the research conducted here in Korea is too shortsighted. Thus, after completing this glossary, I plan to compile an English or foreign language edition of the Glossary of Farmers’ Music. I think that if additional support for this kind of research is possible, it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advancement of Korean Studies. 5. You have participated as a researcher or project manager for various projects supported by KSPS programs, including the Korean Studies Foundation Research and Koreanology Dictionaries in Korean and English programs. What stood out the most while participating in these programs, and what would you like to see from KSPS, including future directions? As I briefly mentioned earlier, I participated in the Compendium of Korean Oral Literature Revision and Expansion Project l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for five years beginning in 2008. When we the researchers visited the village community centers for our field research, there were times when we were shooed away because the locals thought we were trying to peddle medications, and there were also times when we were warmly welcomed and ended up shedding tears while hearing their vivid stories and songs. These feelings will be understood by any researcher who has engaged in field research. To me, this was a truly precious period of intensive study, and an opportunity to directly and indirectly experience people’s lives. I hope that such field research projects will continue across diverse fields of Korean Studies. Even from my own experience, such field research methodology is an absolute necessity that can contribute to the fostering of future generations and the advancement of Korean Studies. A few years ago, I visited universities in Lithuania and Latvia to give a special lecture on shamanistic offering rituals (gosagut ) and farmers’ music to commemorate the establishment of their centers for Korean Studies. Korean Studies is spreading across the globe, and this was an opportunity to keenly feel the globalization potential of farmers’ music. While conducting a local survey of Japan, I discovered that the practitioners there covered the heads of their drums and their sticks with sponge and cloth to prevent sound from being made while playing and familiarizing themselves with the rhythms through vocalization, so as to not disturb their neighbors. Seeing this, I couldn’t help but feel choked up as I felt the strong life force of the Korean people as they devoutly learned and practiced. In this way, I came to realize that more interest in Korean studies and support for the Korean culture in the overseas field research is what we desperately need. There were even cases when practitioners made their instruments themselves out of their eagerness to learn. Seeing this, I think that various cultural education support programs related to Korean Studies are needed, such as providing an education program to use farmers’ music. To this end, I hope in the future, the Center for Farmers’ Music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will seek out measures from multiple angles to expand and deepen research projects related to Korean farmer’s music. Although it is a good thing to support foreign scholars researching Korean Studies, I think it would be even better to diversify and vitalize the means of support so that researchers who have received their doctorate degrees in Korea can be actively sent to overseas universities or research centers supported by the KSPS Seed Program, to conduct comparative research. In my case as well, I wanted to conduct comparative research in India and Mongolia, but I ended up returning to Korea because of a lack of realistic funding. 6. What long-term goal or wish do you hope to achieve in the future while conducing the Korean Studies program? While conducting this Korean Studies project, I became keenly aware that this field needs to be saved and preserved. I wish that farmers’ music, a UNESCO Intangible Heritage that has been a project of our center for a long time, can take its place as a representative traditional performing cultural art of humanity, and I hope that other projects such as the Global University Studies Farmers’ Music Festival, the Farmers’ Music Universiad, and the Global Farmers’ Music Performers Festival can be held regularly. Korean farmers’ music is spreading across the globe, and holding these sorts of “farmers’ music festivals” will certainly be a great stimulus for the advancement and vitalization of not only Korean farmers’ music and its related studies, but also the “Korean Wave culture” on a broader stage. 7. Thank you for your detailed answers to our questions. In conclusion, please share a word with the newsletter’s readers, Korean Studies researchers both in Korea and abroad, and the KSPS. To the researchers and readers who immerse themselves in Korean Studies day and night, I hope that you take a greater interest in Korean Studies and Korean farmers’ music. Additionally, I wish for the health of all the people both in Korea and abroad who are protecting the practice of farmers’ music and passing down Korea’s traditional arts.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한말 사대가 평전 총서 연구책임자 한영규 주관연구기관 성균관대학교 발행년월 2024.02.10. 저서명 한말사대가 평전 4책 - 추금 강위 평전 저자 김진균,이은영,이은주,한영규 출판사 소명출판, 학자원 초록 한말사대가는 강위(姜瑋, 1820~1884)와 김택영(金澤榮, 1850~1927), 이건창(李建昌, 1852~1898), 황현(黃玹, 1855~1910) 네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들은 한문학이 공식 문장으로 활용되던 마지막 시기에 하나의 문학 그룹을 이루며 활동하였으며, 높은 수준의 한문학으로 자신의 시대를 기록한 명망가들이었다. 근대사에서 강위는 초기개화론자 혹은 온건개화파 대접을 받는다. 그가 개화파였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가 같은 세대의 초기개화론자들처럼 제한적 변화만을 추구했다거나 온건개화파들처럼 속도를 조절해가며 타협점을 찾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는 자신의 출신과 출신 때문에 출세를 막는 제도적 관행, 낡은 제도와 함께 돌아가는 지배 이념에서 벗어나고 싶어 했다. 결국 삶의 모든 관성에서 벗어나고 싶어 했던 것이다. 강위는 구질서를 낯설게 보고, 새로운 질서를 상상했다. 세상도 그러한 그를 낯설게 보았고 이단(異端)이라고 평하기까지 하였다. 기성 체제는 체제를 이탈하려는 시도를 억누르려 하지만, 오히려 ‘강위’라는 이단을 양산하고 급진의 연료를 제공했다.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2023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강진호 Kang Jinho (대한민국) 세부사업명 과제명 연구수행기관 연구기간 한국학기초자료사업 / 국학기초자료사업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성신여자대학교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19. 6. 1. ~ 2022. 5. 31. (36개월) | 1.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의미 ‘근대 교과서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사업은 개화기부터 일제강점기(1889∼1945)에 간행된 교과서[讀本類]를 조사·수집·해제하고, 해당 자료 전체를 전자 문서로 가공하여 통합 데이터베이스(이하 DB)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사업을 통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자료를 보존하는 단순한 DB가 아니라 텍스트 이미지를 통한 원문 검색과 텍스트 파일을 토대로 한 내용 검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통합 DB이다. 그래서 자료 간의 관계를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원문을 언어·간행 시기·간행 주체·원문 이미지 파일·텍스트 파일·해제 등 여러 유형의 정보로 위계화해서 구성·저장하였다. 데이터베이스에서 구축 대상이 된 ‘근대 교과서’는‘독본(讀本), 필독(必讀), 작문(作文), 필지(必知), 독습(讀習), 수신(修身), 지지(地誌, 地理), 사(史, 史略)’등의 제명을 가진 텍스트[讀本類]를 지칭한다. 이들 텍스트를‘근대 교과서’로 통칭한 것은 근대 국민 양성이 시급한 과제였던 근대 교육장(場)이 언어(국어)나 사상, 윤리 의식이나 지리 감각 등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은 채 국민의 정신과 소양을 구성하고 규율하는 기제로 이들 교재를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특히‘근대 교과서’는 교과 개념이나 체계에 대한 인식이 분화되지 않았던 상황에서 정치, 경제, 사회, 윤리(도덕), 지리, 역사, 작문 등의 근대지(知)를 망라한 통합적 성격의 교재로 기능했다. 그런 사실을 전제로 본 사업에서는 한국 근대 사회에서 지식과 가치의 제도화 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핵심 자료인 이들 교과서를 DB로 구축하고 해제집을 간행하여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했다. | 2. 근대 교과서[讀本類]란 무엇인가 개화기 교과서는 전대의 교재를 계승하고 한편으로는 일본과 서구의 교과서를 참조하면서 근대 개화 현실에 맞게 창안·개발되었다. 개화기 교과서는 근대적 교과가 분화되기 이전의 독본 성격의 교재로 수신과 문전(文典), 작문과 필지(必知), 지지와 역사 등의 내용을 포괄한다. 이들 독본류(類)는 일제강점기에 국어(일본어) 및 조선어 독본과 역사, 지지(지리), 수신 교재의 형태로 계승되어 학교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었다. 물론 교과의 내용은 일제의 정신과 가치를 담고 있다. 대한제국 학부, 조선총독부, 민간단체(개인) 등 다양한 편찬 주체에 의해 제작된 근대 교과서는 동일한 교과나 학년급을 표방하고 있더라도 편찬 주체의 가치와 이념에 따라 그 내용과 형식이 다양하다. 이는 근대 교과서가 다루고 있는 근대지(知)의 내용과 형식이 당대 현실에 대한 주체의 관점에 의해 매개된 결과물인 까닭이다. 그런 관계로 근대 교과서는 한국 근대 사회에서 지식과 가치의 제도화 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핵심적인 자료가 된다. 근대 교과서는 또한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를 통해 한국 근대사의 부침을 투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일관계를 중심으로 한 근대 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다. 그것은 또한 해방 이후에도 한국의 교과서나 교과 체제 등과 같은 교육제도와 내용에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가 조사·수집한 자료의 유형과 분량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단순히 자료만을 집성하는 것은 연구와 교육 측면에서 활용도가 낮다. 자료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공공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분류와 검색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개화기 및 일제강점기, 사찬 및 관찬, 국한문·한국어 및 일본어, 초등 및 중등교육 교재를 망라하는 교과서 전체를 분류·종합하는 체계를 마련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DB를 구축하였다. 원문 텍스트는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 3. 연구의 결과물 및 활용 방안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의 연구 결과물은 크게 다음 세 가지이다. 1) 통합 데이터베이스 개화기와 일제강점기에 발간된 근대 교과서의 모든 텍스트를 ‘이미지 파일(PDF)’과 ‘텍스트 파일’로 가공하여 원문을 제공하고 동시에 검색 기능을 지원하여 연구자들의 자료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이고자 했다. 특히 서지 정보와 원문 텍스트 자료를 적절히 연결할 수 있는 편저자, 제목, 출판사, 간행 시기 등과 같은 정보를 헤더에 포함함으로써 DB의 활용 범위를 극대화하였다. 2) 근대 한국학 교과서 해제집 『해제집』은 한국학 교과서 156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156종이라는 텍스트 종수는 교과서의 체계 및 발간 배경 등 출판 관련 정보가 확인 가능하고, 수집된 텍스트의 분량이 독자적인 해제로 쓰이기에 모자람이 없는 대상들만을 선정하였다. 원고에는 서명, 저자, 형태, 발행, 소장처는 물론 표지 및 내지 사진 등 텍스트 외부 정보를 반영하였고, 본문은 개요, 저자, 내용 및 구성, 핵심어, 참고문헌의 다섯 항목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3) 근대 한국학 교과서 총서(영인본) 본 연구를 위해 수집한 교과서 텍스트를 정돈하여 54종 133권을 수록한 『근대 한국학 교과서 총서』(9권)를 간행하였다. 일문 텍스트를 제외한 국한문 텍스트로만 구성하였으며 국어과, 수신과, 역사과, 지리과로 나누어 정돈하였다. 그동안 근대 교과서에 대한 관심이 적었던 것은 교과서 자체가 온전한 형태로 복원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자료들이 여기저기 산재해 있고, 그것들의 내역과 계통을 파악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일부를 공간함으로써 교과서에 대한 다양한 관심과 연구가 촉발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1889∼1945년 사이의 근대 교과서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개화기 교재는 기초적인 서지 작업도 완수되지 못했고, 일제강점기 교과서에 대해서는 일본어/조선어 사이의 역동적인 길항 관계와 상호관계가 도외시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개별 교과서 각각에 대한 서지 정보와 내용상의 특성을 정리하고, 그것을 집성한 해제집을 간행, 학계에 보고하여 관련 연구자들은 물론 일반 대중에게 해당 자료에 대한 종합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근대는 서양의 새로운 개념과 가치가 한국 사회에 본격적으로 유입된 시기이다. 그 결과 문학, 과학, 사회, 감정, 윤리 등과 같은 어휘는 서양 언어의 번역어로서 전통적인 용례에서 이탈하거나 그것으로부터 조정되어 새로운 의미를 획득한다. 한국어가 개화기와 일제강점기에 겪게 되는 내포의 변화를 살펴보는 일은 현재 통용되는 다양한 개념들의 기원이나 본래 의미를 확인하여 현재적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는 작업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근대의 언어, 특히 교과서라는 공식적이고 파급력이 큰 텍스트를 살피는 일은 언어와 개념의 근대적 변모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참조가 될 것이다. 근대 독본류에 수록된 언어는 무엇보다 당대 한국어의 표준으로 인정된 것이며 교육 행위를 통해 언중에게 폭넓은 영향을 끼친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팀에서 입력한 ‘텍스트 파일’이 여러 형태로 활용되어 국어와 한문, 도덕‧윤리, 역사, 지리 등 제반 영역의 연구는 물론 교과서 삽화나 언어, 서지 등 다양한 방식의 인문사회 융복합연구의 소중한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2023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Research Excellence Award The Annotation and Database Development of Modern Textbooks Kang Jinho (Sungshin Women's University) | 1. The Meaning of Database Development The “Modern Textbook Annotation and Database Development” project aimed to survey, collect, and annotate textbooks (讀本類) published during the so-called Enlightenment period and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1889-1945), and then process all relevant materials into electronic documents to create an integrated database. The database created through this project does not simply store the materials but rather is designed to allow the original texts and the content of the text files to be searchable. Therefore, to maintain and manag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terial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were organized and stored in a hierarchical manner, including the language of the original text, the period of publication, the publishing institution, the original text image file, the text file, and the annotations. The “modern textbooks” included in the database are varieties of ‘reading fundamentals’ (讀本類) produced under various names, including reading fundamentals (讀本), required readings (必讀), composition (作文), required knowledge (必知), reading practice (讀習), morals (修身), geographies (地誌, 地理), and histories (史, 史略). They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odern textbooks” because they were used as teaching materials in modern educational venues as a means to shape and regulate the consciousness and knowledge of the citizens in language, thought, ethical understanding, or sense of geography (various subjects as a whole), in order to address the urgent task of educating the modern citizens. In particular, before the introduction of a concept or system of segmented “educational subjects,” it was possible to teach materials of an integrated nature that inclusively covered the knowledge of the modern period, such as politics, economics, society, ethics (morals), geography, history, and composition. With that in mind, this project aimed to provide overall information on these textbooks, which are key materials that would help trace the process of knowledge and values being systemized in the modern Korean society, by developing a database and publishing an annotated collection. | 2. What is a modern textbook? Textbooks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were a continuation of their counterparts from the prior period, consulting Japanese and Western textbooks on one hand, while inventing and developing them according to the realities of the time on the other. As educational materials that retained the character of “reading fundamentals” from before the separation between modern educational subjects, Enlightenment-period textbooks broadly covered contents such as written compendiums, composition and required knowledge, and geography and history.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se varieties of “reading fundamentals” continued to be created in the form of Japanese- and Korean-language reading fundamentals, as well as in the form of educational materials on history, geography and ethics, and were widely used in schools and similar venues. Of course, the content of these subjects contained the consciousness and values of imperial Japan. Such modern textbooks, which were produced by a variety of entities including the Daehan Empire’s Ministry of Education,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fice, and private organizations (individuals), had diverse content and forms according to the values and ideologies of the main agent behind their compilation, even when the subject or targeted education level was the same. This is why the content and form of the modern knowledge covered in modern textbooks can be seen as outcomes mediated by the agent of production’s perspective on the contemporary reality. Through such a relationship, modern textbooks are key materials that could help us trace the process of systematization of knowledge and values in modern Korean society. Furthermore, modern textbooks are important materials in the research of modern East Asian history and culture, centered a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as they reflect the ups and downs of modern Korean history throughout the enlightenment and colonial periods. They also carry great meaning because of their influence on the systems, content of textbooks and educational subjects in Korea after liberation in 1945. The form and quantity of the materials surveyed and compiled by this research project are as follows. From a research and educational perspective, simple gathering of materials is not that useful. Thus, in order to enhance the utility and increase the public interest, systematic classification was required, and systemic search had to be enabled. To this end, a system for classifying and synthesizing the entirety of the textbooks—comprising materials from the Enlightenment and Japanese Occupation periods, materials that were privately and publically compiled, material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Korean, and Japanese, and materials designed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was established, and based on that system a database was developed. The original texts are classified as follows. | 3. Research Results and Utilization Measures There are three main research outcomes from the “Modern Textbook Annotation and Database Development” project. 1) Integrated Database All texts of the modern textbooks published in the Enlightenment and Japanese Occupation periods were processed into image files (PDF) and text files, so that the original text can be provided while search features are also supported. This was done in the aim of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materials for researchers. In particular, the database’s scope of utilization was enhanced through the inclusion of information in the headers, such as the compiler, the title, the publisher, and the publication period, which allow for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original text materials to be connected appropriately. 2) Annotated Collection of Modern Korean Studies Textbooks This annotated collection comprises 156 types of Korean Studies textbooks. These 159 textbooks were particularly selected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confirming publi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textbooks’ structure and their publication background, and also because their volume were large enough to justify an individual annotation. Information apart from the text itself, such as the title, form, publication, and holding institution, as well as images of the cover and title pages, were provided with the original text, while the main text was divided into five sections, including a summary, author information, content and composition, keywords, and reference materials. 3) Compendium of Modern Korean Studies Textbooks (Facsimile Edition) Among the textbooks collected for this research, the texts of 133 volumes of 54 types were published as the Compendium of Modern Korean Studies Textbooks (nine volumes). The compendium includes only the texts written in Korean (including classical Chinese), excluding those written in Japanese, and organizes the texts into the subjects of Korean language, ethics, history, and geography. The reason that there had thus far been little interest in modern textbooks was because the textbooks themselves had not been recreated in its intact form. The materials were scattered here and there, and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 details and the background could not be ascertained. By openly publishing some of these textbooks, this research project aimed to provide an impetus that will spark diverse interest in and research on the textbooks. Thus far,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research on modern textbooks from between 1889 and 1945. The basic bibliographic work concerning educational materials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is not finished, and the dynamic antagonistic and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has largely been ignored when looking at education materials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ccordingly, by organizing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character of the content of each individual textbook, gathering and publishing them as an annotated compendium, and reporting this to academia, this research project aimed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the relevant materials not only to researchers in the field, but also to the general public. The modern period was a time in which new ideas and values of the West were actively introduced to Korean society. As a result, used were translations from Western language vocabulary such as “literature (문학),” “science (과학),” “society (사회),” “emotion (감정),” and “ethics (윤리).” They took on new meanings that broke away from or were modified from traditional glossaries. By confirming the origins and original meanings of such words, the work of looking at the changes in connotation experienced by the Korean language in the Enlightenment and Japanese Occupation periods can shed new light on the contemporary meanings of the diverse concepts used today. In this light, the work of looking at modern language materials, especially official and influential texts such as textbooks, will become important reference materials in the study of the modern changes in language and concepts. This is because language contained within modern textbooks is recognized, more than anything else, as the standard of the Korean language at the time, which would have greatly influenced speakers of the language through the act of education. The research team hopes that the inputted text files will be utilized in various forms and become valued research materials not only in fields such as Korean language and classical Chinese, ethics/morals, history and geography, but also in various kinds of multidisciplinary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research, such as that involving textbook illustrations, language, and bibliographies. 목차

  • 뉴스레터제작 | 마이온코리아

    뉴스레터/웹진 제작부터 메일발송까지 마이온코리아에 문의하세요 전문성과 만족도/완성도를 약속합니다. 뉴스레터/홈페이지/온라인광고/SMS솔루션/장애관리시스템 전문 Newsletter/Webzine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한국 사회주의 사상.문화사 연구책임자 박종린 주관연구기관 한남대학교 발행년월 2025.01.10. 저서명 또 다른 사회주의 -한국 사회민주주의의 역사적 기원- 저자 윤덕영 출판사 역사비평사 초록 이 책은 세계 사회민주주의의 역사적 상황과 특징에 유의하면서, 한국 사회주의운동의 역사 속에서 소련과 코민테른에 의해 지도되거나 이를 지향한 공산주의운동이 아닌, 또 다른 사회주의운동의 양상을 1920년대 초반부터 해방직후 시기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이 책에서는 당시 '좌익 사회민주주의'라 불리면서, 사회민주주의로 포섭되어 갔던 식민지 조선 사회주의 흐름의 일부를 서구와 일본 사회주의운동의 흐름과 구체적으로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이 책은 일제하에서 해방 직후 사회주의 운동을 공산주의 운동 범주만으로 전일화시켜 살펴보는 기존의 이해를 극복하기 위해서, 또한 식민지 조선은 서구나 일본과 달리 사회주의 이념이 민족주의의 영향 하에 미분화되었다는 인식을 부정하기 위해 쓰였다. 조선이 낙후된 식민지였고, 사회주의자들에게 민족주의적 의식이 강하게 잔존했던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20년대 중반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도 마르크스레닌주의가 공산주의 운동에 명백히 관철되어갔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볼셰비즘과 그렇지 않은 사회주의 사상이 구분되었다. 1920년대 후반 스탈린주의가 코민테른을 통해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그 양상이 분명해졌다. 이 책에서 다루는 사람들 다수는 일제하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했지만 여러 계기로 공산주의 운동에서 떨어져 나와 코민테른과 다른 길을 걸은 사람들이다. 그리고 이들 중 상당수는 사회민주주의의 정체성을 가지고 해방 후 대표적 우익 정당인 한국민주당에 합류한다. 이들은 초기 한국민주당의 진보적 흐름을 이끌어내는 데 일정한 역할을 담당했지만, 1946년 좌우합작운동을 계기로 대부분 탈당하고 민중동맹 등 중간파 세력을 형성한다. 목차

KSPS

온라인뉴스레터Newsletter

Naself CEO Hye-Young Kim | Business number: 162-87-00920

Tel. 02 900 8653 ~ 5 | Fax. 02 6455-8654 | Mail: master@myonkorea.com


Location: 48th floor, 48, 191, Dongil-ro, Nowon-gu, Seoul

Location: (Governor) 12th Floor, Prime Business Center (Gongdeok Building), Mapo-gu, Seoul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Dong-sub Song 02-900-8655

  • Facebook
  • YouTube

SSL / TLS authentication sit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