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온라인뉴스레터
Newsletter
Project Outcome
![이미지 제공: Martin Adams](https://static.wixstatic.com/media/nsplsh_5f4f5a436c345863705277~mv2_d_3062_3983_s_4_2.jpg/v1/fill/w_250,h_325,al_c,q_80,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nsplsh_5f4f5a436c345863705277~mv2_d_3062_3983_s_4_2.jpg)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서바이벌리스트.PNG](https://static.wixstatic.com/media/3722f7_81c32f67ed6c4988b90e9533769e2df5~mv2.png/v1/crop/x_0,y_34,w_535,h_768/fill/w_248,h_356,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EC%84%9C%EB%B0%94%EC%9D%B4%EB%B2%8C%EB%A6%AC%EC%8A%A4%ED%8A%B8_PNG.png)
사업명
한국학대형기획총서사업
과제명
해방 이후 ‘한국적인 것’의 역사적 형성
연구책임자
김경일
주관연구기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발행년월
2024.10.30.
저서명
서바이벌리스트 모더니티
저자
김홍중
출판사
도서출판 이음
초록
생존, 생존주의와 생존주의적 근대성의 세 개념으로 수렴되는 이 책은 박수근과 박완서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나목의 사상, 김기영의 시네마를 집중적으로 부각하여 검토한 생존주의 욕망기계, 서바이벌리스트 모더니티의 개념과 정의 내용에 대한 토의, 박정희 사례를 중심으로 생존주의적 통치성과 근대의 꿈을 살펴 본 데 이어서 정주영의 경우에 초점을 맞춰 한국 자본주의 정신을 탐구하고 신자유주의 서바이벌리스트의 초상에 어어서 생존주의, 사회적 가치, 그리고 죽음의 문제를 분석한다. 민중신학에서 생태계급에 이르는 민주의 자기초월을 살펴 본 데 이어서 마지막으로 공 개념과 ㅋ매노시스, 인류세 개념을 중심에 두고 21세기 생존주의를 재구성하고 그 미래를 조망하고자 하였다.
bottom of page